[그림이 있는 아침] 절친이었던 시인 이상의 얼굴…구본웅 '친구의 초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빛을 받아 한쪽 면만 밝게 드러난 창백한 얼굴. 치켜올린 굵은 눈썹에 형형한 눈빛이 범상치 않다. 붉은색으로 강조한 눈매마저 날카롭다. 파이프 담배를 문 두툼하고 새빨간 입술과 강렬한 이목구비를 보노라면 이 남자의 남루한 옷차림은 놓치기 일쑤다. 구본웅(1906~1953)이 1935년께 그린 ‘친구의 초상’이다. 이 작품의 모델은 그의 절친인 이상(1910~1937)이다. 전위적인 문체로 파란을 일으켰던 이상의 작품처럼 초상에도 파격적이고 예민한 느낌이 곳곳에 살아 있다. 삐뚤어진 모자와 삐딱한 고개, 어두운 배경은 멋스러우면서도 어두운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전형이다. 거친 붓질에선 20세기 초 서구 모더니즘의 경향인 야수파 화풍에 표현주의 등이 묻어난다.
두 사람은 네 살의 나이 차이를 뛰어넘어 우정을 나눴다. 본명(김해경) 대신 사용한 필명 ‘이상’은 구본웅이 졸업 선물로 준 오얏나무(李) 상자(箱)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구본웅은 이상이 조선총독부 하급직인 건축기수 일을 그만두자 일자리를 구해주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두 사람의 우정이 담긴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이 덕수궁관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에서 마주할 수 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두 사람은 네 살의 나이 차이를 뛰어넘어 우정을 나눴다. 본명(김해경) 대신 사용한 필명 ‘이상’은 구본웅이 졸업 선물로 준 오얏나무(李) 상자(箱)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구본웅은 이상이 조선총독부 하급직인 건축기수 일을 그만두자 일자리를 구해주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두 사람의 우정이 담긴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이 덕수궁관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에서 마주할 수 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