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에 산소 공급해 '악성 뇌종양' 잡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흥규 KAIST 교수 연구팀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 주목
항암치료제 후보물질로 주목
국내 연구진이 뇌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흥규 KAIST 교수 연구팀이 면역세포인 감마델타 T 세포의 활력 저하 현상은 뇌종양 세포가 주변 산소를 빠르게 먹어 치우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 따라 뇌종양 세포에 산소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 그동안 효과가 적었던 감마델타 T 세포를 활용한 면역항암치료제를 보완할 방법으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감마델타 T 세포는 피부나 장 같은 점막에 주로 존재하는 선천성 T 세포다. 뇌종양 세포 표면에 많이 생기는 리간드(수용체와 같은 큰 분자에 결합하는 물질)를 직접 인식하는 수용체가 있어 종양에 대항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킬 주체로 새롭게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세포를 활용한 방법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했다.
연구팀은 뇌종양의 악성도가 높을수록 감마델타 T 세포의 활력이 떨어지고 저산소 현상이 심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감마델타 T 세포가 많이 유입된 환자의 예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저산소 환경을 해소해 감마델타 T 세포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한다면 활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뇌종양에 걸린 생쥐를 활용해 실험을 했다. 뇌종양의 과도한 산소대사를 막는 화합물을 감마델타 T 세포와 함께 생쥐에 투여하자 면역세포의 종양조직 침투가 늘고 생존율이 높아졌다. 감마델타 T 세포의 저산소 환경을 해소하자 종양에 대항하는 면역반응이 개선된 것이다.
이번 연구로 감마델타 T 세포를 활용한 항뇌종양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감마델타 T 세포를 이용한 치료제가 충분히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사람에게도 효과적일지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해낸 것이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및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이뮤놀로지’ 지난 11일자에 게재됐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한국연구재단은 이흥규 KAIST 교수 연구팀이 면역세포인 감마델타 T 세포의 활력 저하 현상은 뇌종양 세포가 주변 산소를 빠르게 먹어 치우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 따라 뇌종양 세포에 산소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 그동안 효과가 적었던 감마델타 T 세포를 활용한 면역항암치료제를 보완할 방법으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감마델타 T 세포는 피부나 장 같은 점막에 주로 존재하는 선천성 T 세포다. 뇌종양 세포 표면에 많이 생기는 리간드(수용체와 같은 큰 분자에 결합하는 물질)를 직접 인식하는 수용체가 있어 종양에 대항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킬 주체로 새롭게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세포를 활용한 방법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했다.
연구팀은 뇌종양의 악성도가 높을수록 감마델타 T 세포의 활력이 떨어지고 저산소 현상이 심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감마델타 T 세포가 많이 유입된 환자의 예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저산소 환경을 해소해 감마델타 T 세포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한다면 활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뇌종양에 걸린 생쥐를 활용해 실험을 했다. 뇌종양의 과도한 산소대사를 막는 화합물을 감마델타 T 세포와 함께 생쥐에 투여하자 면역세포의 종양조직 침투가 늘고 생존율이 높아졌다. 감마델타 T 세포의 저산소 환경을 해소하자 종양에 대항하는 면역반응이 개선된 것이다.
이번 연구로 감마델타 T 세포를 활용한 항뇌종양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감마델타 T 세포를 이용한 치료제가 충분히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사람에게도 효과적일지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해낸 것이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및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이뮤놀로지’ 지난 11일자에 게재됐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