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서정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이 10일 오전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뉴스1
임서정 대통령비서실 일자리수석이 10일 오전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뉴스1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18일 "1월을 저점으로 해서 고용 상황이 더 나빠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서정 수석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1분기에 90만개 일자리를 우선 투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먼저 "1월 실업률은 4.5%에서 5.7%로 늘었다.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임서정 수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때문에 방역이 강화되니까 대면 서비스 업종에서 많이 빠질 수밖에 없다. 음식·숙박·도소매에서 60만명 가까이 빠졌고, 제조업에서도 경기가 좋아지고 고용까지 이어지는 데는 조금 시간이 걸린다"며 "연말에 정부가 지원하는 일자리 사업에서 공백이 생긴 것도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임서정 수석은 정부가 약속한 '1분기 내 공공부문 일자리 90만개 창출'에 대해선 가능할 것이라 자신했다.

임서정 수석은 "지난해 중앙부처에서 104만개 일자리를 하겠다고 예산을 반영했는데, 1/4분기 중에 83만개 계획하고 있고, 지방정부에서도 자체 예산으로 17만7000개 일자리를 계획하고 있다"며 "1/4분기에 7만명 이상 채용하도록 권고하면 90만개 일자리를 우선 투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공공일자리 대부분이 '단기 일자리'에 불과하다는 비판에는 "취약계층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면 정부가 직접 개입해 일자리를 단기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민간 고용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우선 단기적으로 약속한 90만개는 정부가 직접 개입해서 만드는 일자리"라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기업 투자와 민자사업, 공공투자를 통해 110조원 프로젝트를 통해서 좋은 일자리를 만들려고 한다. 중장기적으로 만드는 일자리와 우선 급한 단기적인 일자리들이 결합해 고용 사정이 조금 더 나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아울러 임서정 수석은 "인턴 등 일을 경험해볼 수 있는 일자리도 만들어 제공할 것"이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민간에서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정답이다. 한국판 뉴딜이나 벤처창업 지원 등으로 민간 일자리를 만들려 한다"고 덧붙였다.

임서정 수석은 정부가 준비하는 4차 추가경정예산안과 관련해서는 "일자리 예산을 추가할 계획"이라며 "청년이나 여성 고용유지를 돕기 위한 예산을 포함하는 방안도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임서정 수석은 "선진국들이 코로나19 백신, 치료제가 나오면서 감소 추세에 있고, 우리나라도 그런 형태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고용 회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