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추진 15년 만에…'상도역 롯데캐슬' 집들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역주택조합 950가구
서울 동작구 상도동 ‘상도역 롯데캐슬’(사진)이 지난 20일부터 집들이에 나섰다. 지난해 하반기 ‘한경주거문화대상 종합대상’을 받은 이 단지는 재개발이 무산된 옛 상도7구역에 건립된 조합아파트다. 지하 5층~지상 20층, 13개 동, 950가구(전용 59~110㎡)로 이뤄졌다. 시공은 롯데건설이 맡았다.
지난 15년 동안 사업 추진에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사업지에 토지를 보유한 사업주관사인 태려건설산업의 김동석 회장은 무허가 원주민 등의 정착을 돕기 위해 지역주택조합 방식을 도입하고 총 950가구 중 원주민 몫으로 476가구를 배정했다. 정부 정책 변화로 모델하우스를 세 차례나 지었다가 분양을 포기하고 골조공사를 완성한 뒤 지난해 상반기 후분양을 시행했다. 당시 474가구 모집에 총 1만798명(평균 경쟁률 22.78 대 1)이 몰렸다.
이 단지는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서울지하철 7호선 상도역을 통해 강남구청 등 강남 주요 지역으로 오가기 편하다. 녹지도 풍부하다. 단지 내 어린이공원과 파인트리애비뉴, 산수정원 및 석가산 등 조경을 특화했다. 단지 앞 35만㎡ 규모의 상도근린공원과도 연결된다.
김 회장은 사업 장기화에 따라 비용이 증가했지만 책정된 분담금만 받고 사업이 종료된 뒤에도 추가 부담금을 받지 않았다. 조경 등 단지 특화비용은 추가로 집행했다.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원주민과의 상생을 실천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조합원들은 최근 김 회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지난 15년 동안 사업 추진에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사업지에 토지를 보유한 사업주관사인 태려건설산업의 김동석 회장은 무허가 원주민 등의 정착을 돕기 위해 지역주택조합 방식을 도입하고 총 950가구 중 원주민 몫으로 476가구를 배정했다. 정부 정책 변화로 모델하우스를 세 차례나 지었다가 분양을 포기하고 골조공사를 완성한 뒤 지난해 상반기 후분양을 시행했다. 당시 474가구 모집에 총 1만798명(평균 경쟁률 22.78 대 1)이 몰렸다.
이 단지는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다. 서울지하철 7호선 상도역을 통해 강남구청 등 강남 주요 지역으로 오가기 편하다. 녹지도 풍부하다. 단지 내 어린이공원과 파인트리애비뉴, 산수정원 및 석가산 등 조경을 특화했다. 단지 앞 35만㎡ 규모의 상도근린공원과도 연결된다.
김 회장은 사업 장기화에 따라 비용이 증가했지만 책정된 분담금만 받고 사업이 종료된 뒤에도 추가 부담금을 받지 않았다. 조경 등 단지 특화비용은 추가로 집행했다.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원주민과의 상생을 실천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조합원들은 최근 김 회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