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유럽에 맞서…GE·도시바 '해상풍력 동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탈석탄 선언' 이후 火電 접은
도시바 요코하마 공장 활용
핵심설비인 발전장치 공동생산
유럽·중국이 82% 장악한 시장
美·日, 기업 稅혜택 늘려 '추격'
도시바 요코하마 공장 활용
핵심설비인 발전장치 공동생산
유럽·중국이 82% 장악한 시장
美·日, 기업 稅혜택 늘려 '추격'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도시바가 제휴관계를 맺고 해상풍력발전의 핵심 설비를 공동으로 생산한다. 세계 시장을 장악한 유럽과 중국에 맞서는 미국과 일본 대표 에너지 기업의 연합전선이 구축된 것이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GE와 도시바는 해상풍력발전의 핵심 설비인 발전장치(나셀)를 공동 생산하는 협상을 벌이고 있다. 두 회사가 기술력을 모아 도시바의 발전 계열사인 도시바에너지 요코하마 공장에서 발전설비를 공동 생산할 방침이다. 도시바가 최근 화력발전사업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하면서 남게 된 요코하마 공장의 설비와 인력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 수익성이 높은 발전시설의 보수·운용 서비스로 제휴 범위를 넓히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일본과 기상 조건 및 해역의 지질학적 특성이 비슷한 아시아 지역에 공동으로 진출하는 방안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이르면 다음달 제휴관계 체결 협약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의 에너지 기업을 대표하는 두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 손을 맞잡는 건 이해관계가 일치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시바는 세계적인 탈석탄 흐름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도시바보다 규모가 큰 GE와 해상풍력발전 핵심 설비를 공동 생산하면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GE는 육상풍력발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한 반면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는 후발주자로 분류된다. 도시바와의 제휴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건설이 예정된 일본에 거점을 확보해 선두권 기업과의 격차를 줄이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양사는 이미 원자력발전과 화력발전 분야에서 제휴관계를 맺었다.
일본 정부도 자국 기업의 해상풍력발전 투자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실질 배출량을 ‘제로(0)’로 줄여 탈석탄사회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2019년 19%인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50년까지 50~60%로 높일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일본 정부가 특히 주목하는 분야는 해상풍력발전이다. 국토가 좁은 일본에선 태양광발전 또는 육상풍력발전을 큰 폭으로 늘리기는 어렵다고 판단해서다. 일본 정부는 현재 2만㎾에 불과한 해상풍력발전을 2030년까지 1000만㎾, 2040년까지 4500만㎾로 확대할 계획이다.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수십억엔 규모인 일본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2030년 9200억엔(약 9조7232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하지만 일본 내에선 자칫 다른 나라 기업만 배불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히타치, 일본제강소 등 대부분의 일본 기업이 협소한 자국 시장 규모와 수익성 부진을 이유로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이다.
2019년 말 세계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유럽의 지멘스가메사(점유율 39%), 덴마크의 베스타스(15%), 중국 SE윈드(10%), 엔비전(9%), 골드윈드(9%) 등 유럽과 중국 기업 5곳이 82%를 점유하고 있다. 차세대 주력 에너지원으로 해상풍력발전을 활용하려면 일본 기업을 육성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본 정부는 2040년까지 자국산 부품 조달비율을 60%까지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의 대책을 마련했고 2019년에는 신재생에너지 해역이용법을 시행해 해상풍력발전의 근거법도 제정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GE와 도시바는 해상풍력발전의 핵심 설비인 발전장치(나셀)를 공동 생산하는 협상을 벌이고 있다. 두 회사가 기술력을 모아 도시바의 발전 계열사인 도시바에너지 요코하마 공장에서 발전설비를 공동 생산할 방침이다. 도시바가 최근 화력발전사업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하면서 남게 된 요코하마 공장의 설비와 인력을 활용할 계획이다.
또 수익성이 높은 발전시설의 보수·운용 서비스로 제휴 범위를 넓히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일본과 기상 조건 및 해역의 지질학적 특성이 비슷한 아시아 지역에 공동으로 진출하는 방안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이르면 다음달 제휴관계 체결 협약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의 에너지 기업을 대표하는 두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 손을 맞잡는 건 이해관계가 일치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시바는 세계적인 탈석탄 흐름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도시바보다 규모가 큰 GE와 해상풍력발전 핵심 설비를 공동 생산하면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GE는 육상풍력발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한 반면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는 후발주자로 분류된다. 도시바와의 제휴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건설이 예정된 일본에 거점을 확보해 선두권 기업과의 격차를 줄이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양사는 이미 원자력발전과 화력발전 분야에서 제휴관계를 맺었다.
일본 정부도 자국 기업의 해상풍력발전 투자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실질 배출량을 ‘제로(0)’로 줄여 탈석탄사회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2019년 19%인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50년까지 50~60%로 높일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일본 정부가 특히 주목하는 분야는 해상풍력발전이다. 국토가 좁은 일본에선 태양광발전 또는 육상풍력발전을 큰 폭으로 늘리기는 어렵다고 판단해서다. 일본 정부는 현재 2만㎾에 불과한 해상풍력발전을 2030년까지 1000만㎾, 2040년까지 4500만㎾로 확대할 계획이다.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수십억엔 규모인 일본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2030년 9200억엔(약 9조7232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하지만 일본 내에선 자칫 다른 나라 기업만 배불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히타치, 일본제강소 등 대부분의 일본 기업이 협소한 자국 시장 규모와 수익성 부진을 이유로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이다.
2019년 말 세계 해상풍력발전 시장은 유럽의 지멘스가메사(점유율 39%), 덴마크의 베스타스(15%), 중국 SE윈드(10%), 엔비전(9%), 골드윈드(9%) 등 유럽과 중국 기업 5곳이 82%를 점유하고 있다. 차세대 주력 에너지원으로 해상풍력발전을 활용하려면 일본 기업을 육성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본 정부는 2040년까지 자국산 부품 조달비율을 60%까지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의 대책을 마련했고 2019년에는 신재생에너지 해역이용법을 시행해 해상풍력발전의 근거법도 제정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