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그대로 "인구절벽"…출생아 30만명 첫 붕괴 '역대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합계출산율 2018년 1명 아래로 떨어진 뒤 0명대 지속
한국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가 지난해 역대 최저인 0.84명까지 떨어졌다. 이는 3년 연속 0명대로, 합계출산율이 0명대인 국가는 3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진 뒤 0명대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 현상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이다.
작년 수치는 OECD 37개 회원국 평균인 1.63명(2018년 기준) 아래다.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이스라엘은 3.09명이고 가장 낮은 스페인(1.26명)도 1명은 넘는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粗)출생률도 1년 전보다 0.6명 감소한 5.3명으로 집계돼 사상 최저로 나타났다.
작년 출생아 수는 27만2400명으로 30만명대가 처음으로 붕괴됐다. 1년 전 30만2700명보다 3만300명(10%)이 감소하면서 이 역시 통계작성 뒤 최저치를 기록했다.
1970년대 100만명대였던 출생아 수는 2002년 처음 49만명대로 50만명을 밑돌게 됐고, 2017년부터는 30만명대로 떨어졌다.
모(母)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1세로 전년 대비 0.1세 상승했다. 첫째아이 출산 연령은 32.3세, 둘째아이 33.9세, 셋째아이 이상 35.3세다. 전년 대비 각각 0.1세씩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3.8%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출산 순위별로 보면 첫째아가 15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4000명(-8.5%) 감소했다. 둘째아이는 9만6000명으로 1만3000명(11.7%), 셋째아이 이상은 2만3000명으로 3000명(-12.2%) 각각 감소했다. 첫째아이 비중은 56.6%로 0.9%포인트 증가했고, 둘째아이(35.1%)·셋째아이 이상(8.3%)은 각각 0.7%포인트·0.2%포인트 감소했다.
출생을 결혼 생활 기간별로 보면 결혼 후 2년 이상~5년 미만 때 낳는 비중이 40.6%로 가장 많았다. 2년 미만 33.9%, 5년 이상 25.5% 순이다. 2~5년 미만은 전년 대비 0.2%포인트, 2년 미만은 0.4%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5년 이상은 0.5%포인트 증가했다.
월별 출생은 12개월 모두 출생아 수가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11월(-15.5%)의 감소율이 가장 컸다.
시도별 합계 출산율은 세종(1.28명)·전남(1.15명)·강원(1.04명) 순으로 높고, 서울(0.64명), 부산(0.75명), 대구·광주·대전(각 0.81명) 순으로 낮다.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고, 대구(-13.3%)·세종(-13.1%)·인천(-11.8%)의 감소율이 컸다. 시·도별 출생아 수는 경기(7만8000명)·서울(4만7000명)·경남(1만7000명) 순으로 많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1970년 통계작성 시작 이래 역대 최저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 통계 잠정 결과'에 따르면 작년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1년 전보다 0.08명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이는 1970년 통계작성 시작 이래 역대 최저치다.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 1명 아래로 떨어진 뒤 0명대로 굳어지고 있다. 인구 현상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1명이다.
작년 수치는 OECD 37개 회원국 평균인 1.63명(2018년 기준) 아래다.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이스라엘은 3.09명이고 가장 낮은 스페인(1.26명)도 1명은 넘는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粗)출생률도 1년 전보다 0.6명 감소한 5.3명으로 집계돼 사상 최저로 나타났다.
작년 출생아 수는 27만2400명으로 30만명대가 처음으로 붕괴됐다. 1년 전 30만2700명보다 3만300명(10%)이 감소하면서 이 역시 통계작성 뒤 최저치를 기록했다.
1970년대 100만명대였던 출생아 수는 2002년 처음 49만명대로 50만명을 밑돌게 됐고, 2017년부터는 30만명대로 떨어졌다.
연령별 출산율 30~34세 가장 높아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30~34세가 79.0명으로 가장 높고 35~39세 42.3명, 25~29세 30.6명 순이다. 전년에 비해서는 30~34세 마이너스(-) 7.2명, 25~29세 -5.1명, 35~39세 -2.7명 순으로 출산율이 많이 감소했다. 40~44세(0.1명), 45~49세(0.0명)을 제외하고는 전 연령층에서 감소했다.모(母)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1세로 전년 대비 0.1세 상승했다. 첫째아이 출산 연령은 32.3세, 둘째아이 33.9세, 셋째아이 이상 35.3세다. 전년 대비 각각 0.1세씩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3.8%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출산 순위별로 보면 첫째아가 15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4000명(-8.5%) 감소했다. 둘째아이는 9만6000명으로 1만3000명(11.7%), 셋째아이 이상은 2만3000명으로 3000명(-12.2%) 각각 감소했다. 첫째아이 비중은 56.6%로 0.9%포인트 증가했고, 둘째아이(35.1%)·셋째아이 이상(8.3%)은 각각 0.7%포인트·0.2%포인트 감소했다.
출생을 결혼 생활 기간별로 보면 결혼 후 2년 이상~5년 미만 때 낳는 비중이 40.6%로 가장 많았다. 2년 미만 33.9%, 5년 이상 25.5% 순이다. 2~5년 미만은 전년 대비 0.2%포인트, 2년 미만은 0.4%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5년 이상은 0.5%포인트 증가했다.
월별 출생은 12개월 모두 출생아 수가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 11월(-15.5%)의 감소율이 가장 컸다.
시도별 합계 출산율은 세종(1.28명)·전남(1.15명)·강원(1.04명) 순으로 높고, 서울(0.64명), 부산(0.75명), 대구·광주·대전(각 0.81명) 순으로 낮다.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고, 대구(-13.3%)·세종(-13.1%)·인천(-11.8%)의 감소율이 컸다. 시·도별 출생아 수는 경기(7만8000명)·서울(4만7000명)·경남(1만7000명) 순으로 많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