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고촌, 고양 화전, 하남 감북…다음 신도시 후보지 땅값도 '들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촌, 광명 지정 후 매물 사라져
"도로 낀 땅 3.3㎡당 1800만원"
감북지구는 강남권 접해있지만
가격 뛴 탓에 토지보상 '걸림돌'
"도로 낀 땅 3.3㎡당 1800만원"
감북지구는 강남권 접해있지만
가격 뛴 탓에 토지보상 '걸림돌'
경기 하남 감북과 김포 고촌, 고양 화전 일대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3기 신도시 추가 카드를 꺼내자 택지 개발 기대가 번지고 있는 것이다.
25일 김포 고촌읍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주변 지역 땅을 매매하려는 투자자 문의가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상반기 추가 발표하기로 한 수도권 택지에 포함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김포 A공인 관계자는 “‘2·4 부동산 대책’ 이후 신도시 후보지로 줄곧 언급되면서 매수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며 “옛 광명시흥보금자리지구가 3기 신도시로 추가된 뒤 매물이 쏙 들어갔다”고 말했다. 인근 B공인 관계자도 “도로를 끼고 있는 땅은 3.3㎡당 1700만~1800만원을 호가한다”면서 “가격대가 이미 많이 올라 거래는 원활하지 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김포 고촌지구는 서울 접근성이 좋은 게 장점으로 꼽힌다. 강서구와 경계를 맞대고 있는 데다 주변에 지하철 9호선과 김포골드라인(도시철도) 등 교통망이 잘 깔려 있어서다. 개발할 수 있는 면적도 2000만㎡가량으로 넓은 편이다. 김포 고촌이 3기 신도시 추가 후보지로 꾸준히 언급되는 이유다.
고양 화전지구도 상암디지털미디어시티(DMC) 등 서울 업무지구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강변북로를 끼고 있어 신도시 후보지로 자주 물망에 오른다. 창릉신도시와 연계해서 개발이 가능한 것도 매력이다.
중앙보훈병원 인근 하남 감북지구는 서울 강남 주택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최적지로 꼽힌다. 송파·강동구와 접하고 있어 별도의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미니 신도시를 조성할 수 있다. 과거에도 감북·감일·광암·초이동 일대 267만㎡가 보금자리주택지구(1만4000가구)로 지정된 바 있다. 인근 C공인 관계자는 “이달 중순 초일·초이·광암동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다”며 “문의가 많아도 물건이 없어 거래를 못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감북지구 개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미 땅값이 오를 대로 올라 토지보상비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수차례 수도권 택지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우선순위에서 배제된 이유다.
앞서 정부는 ‘2·4 부동산 대책’에서 전국 10~15개 택지에서 25만 가구 공급 계획을 밝혔다. 지난 24일 후속 조치로 광명시흥 등 3개 택지에서 10만 가구 공급 계획을 내놓았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추가 발표하는 택지는 중·소규모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며 “기존에 확정된 광역교통망과 연계된 곳의 택지지구를 선정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25일 김포 고촌읍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주변 지역 땅을 매매하려는 투자자 문의가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상반기 추가 발표하기로 한 수도권 택지에 포함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김포 A공인 관계자는 “‘2·4 부동산 대책’ 이후 신도시 후보지로 줄곧 언급되면서 매수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며 “옛 광명시흥보금자리지구가 3기 신도시로 추가된 뒤 매물이 쏙 들어갔다”고 말했다. 인근 B공인 관계자도 “도로를 끼고 있는 땅은 3.3㎡당 1700만~1800만원을 호가한다”면서 “가격대가 이미 많이 올라 거래는 원활하지 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김포 고촌지구는 서울 접근성이 좋은 게 장점으로 꼽힌다. 강서구와 경계를 맞대고 있는 데다 주변에 지하철 9호선과 김포골드라인(도시철도) 등 교통망이 잘 깔려 있어서다. 개발할 수 있는 면적도 2000만㎡가량으로 넓은 편이다. 김포 고촌이 3기 신도시 추가 후보지로 꾸준히 언급되는 이유다.
고양 화전지구도 상암디지털미디어시티(DMC) 등 서울 업무지구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강변북로를 끼고 있어 신도시 후보지로 자주 물망에 오른다. 창릉신도시와 연계해서 개발이 가능한 것도 매력이다.
중앙보훈병원 인근 하남 감북지구는 서울 강남 주택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최적지로 꼽힌다. 송파·강동구와 접하고 있어 별도의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미니 신도시를 조성할 수 있다. 과거에도 감북·감일·광암·초이동 일대 267만㎡가 보금자리주택지구(1만4000가구)로 지정된 바 있다. 인근 C공인 관계자는 “이달 중순 초일·초이·광암동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다”며 “문의가 많아도 물건이 없어 거래를 못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감북지구 개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미 땅값이 오를 대로 올라 토지보상비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수차례 수도권 택지를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우선순위에서 배제된 이유다.
앞서 정부는 ‘2·4 부동산 대책’에서 전국 10~15개 택지에서 25만 가구 공급 계획을 밝혔다. 지난 24일 후속 조치로 광명시흥 등 3개 택지에서 10만 가구 공급 계획을 내놓았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추가 발표하는 택지는 중·소규모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며 “기존에 확정된 광역교통망과 연계된 곳의 택지지구를 선정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