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재팬'에 코로나까지…韓~日 여객선사 줄폐업 기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속선사 6곳 중 2곳 폐업
남은 4곳도 휴항·무급휴직
"정부 지원, 화물선사에 집중
요건도 까다로워 도움 안돼"
남은 4곳도 휴항·무급휴직
"정부 지원, 화물선사에 집중
요건도 까다로워 도움 안돼"
부산과 일본을 오가는 국제여객선사들이 일본 여행 보이콧에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까지 맞으면서 줄폐업 위기에 처했다. 부산항 면세점 등 한·일 항로 여객 관련 업체들도 문을 닫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3일 부산항국제여객선협의회에 따르면 일본 여행 보이콧이 시작된 2019년 7월부터 그해 말까지 한·일 항로 여객선 승객은 전년보다 80% 가까이 줄었다. 지난해 4월부터는 코로나19로 승객의 발길이 끊기다시피했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배편으로 일본 대마도(쓰시마), 후쿠오카, 오사카, 시모노세키 등지를 오간 승객은 2018년 142만6000여 명으로 최고치를 찍었다가 2019년 93만2000여 명, 2020년에는 6만여 명으로 급감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4월 이후 현재까지 승객이 전혀 없어 고속여객선들은 모두 운항을 중단했고 부관훼리, 팬스타라인닷컴, 고려훼리 등 카페리 여객선들은 화물만 실어나르고 있다.
고속여객선사 6개사 중 2개사가 폐업했고, 이 회사들이 운항하던 선박 2척은 경매에 넘어간 상태다. 남아 있는 대아고속해운 등 4개 선사도 지난해 3월부터 현재까지 휴항이 이어지면서 직원 대부분이 무급휴직에 들어가는 등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선사들이 자산 매각, 구조조정 등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더는 버티기 어려운 한계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위한 자금 지원도 여객선사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금융회사들이 별도의 담보나 인적 보증을 요구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내세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원도 외항 화물선사에 집중돼 국제여객선사는 소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협의회 측은 선박 외에 자산이 별로 없는 국제여객선사들이 이 위기를 넘기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외항 화물선사처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선사로부터 선박을 매입해 다시 빌려주는 방식이나 선박 후순위 담보 투자, 장기 저리 운영자금 등을 통한 지원을 요청했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영업하던 부산면세점은 지난해부터 문을 닫은 채 한·일 항로가 다시 가동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문을 닫으면서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고, 회사도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더 답답한 것은 한·일 간 정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언제 코로나가 끝나 배들이 다시 오갈지 알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터미널에 입주한 기념품점과 음식점 등도 사정은 비슷하다. 20여 곳이 영업을 중단했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승객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제여객터미널 입주 업체와 선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임차료 납부를 유예하고 항만시설 사용료 등을 감면해주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몰라 서로 애만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3일 부산항국제여객선협의회에 따르면 일본 여행 보이콧이 시작된 2019년 7월부터 그해 말까지 한·일 항로 여객선 승객은 전년보다 80% 가까이 줄었다. 지난해 4월부터는 코로나19로 승객의 발길이 끊기다시피했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배편으로 일본 대마도(쓰시마), 후쿠오카, 오사카, 시모노세키 등지를 오간 승객은 2018년 142만6000여 명으로 최고치를 찍었다가 2019년 93만2000여 명, 2020년에는 6만여 명으로 급감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4월 이후 현재까지 승객이 전혀 없어 고속여객선들은 모두 운항을 중단했고 부관훼리, 팬스타라인닷컴, 고려훼리 등 카페리 여객선들은 화물만 실어나르고 있다.
고속여객선사 6개사 중 2개사가 폐업했고, 이 회사들이 운항하던 선박 2척은 경매에 넘어간 상태다. 남아 있는 대아고속해운 등 4개 선사도 지난해 3월부터 현재까지 휴항이 이어지면서 직원 대부분이 무급휴직에 들어가는 등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선사들이 자산 매각, 구조조정 등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더는 버티기 어려운 한계상황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위한 자금 지원도 여객선사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금융회사들이 별도의 담보나 인적 보증을 요구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내세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원도 외항 화물선사에 집중돼 국제여객선사는 소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협의회 측은 선박 외에 자산이 별로 없는 국제여객선사들이 이 위기를 넘기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외항 화물선사처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선사로부터 선박을 매입해 다시 빌려주는 방식이나 선박 후순위 담보 투자, 장기 저리 운영자금 등을 통한 지원을 요청했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영업하던 부산면세점은 지난해부터 문을 닫은 채 한·일 항로가 다시 가동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문을 닫으면서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고, 회사도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더 답답한 것은 한·일 간 정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언제 코로나가 끝나 배들이 다시 오갈지 알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터미널에 입주한 기념품점과 음식점 등도 사정은 비슷하다. 20여 곳이 영업을 중단했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승객 급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제여객터미널 입주 업체와 선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임차료 납부를 유예하고 항만시설 사용료 등을 감면해주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몰라 서로 애만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