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기상 악화로 인한 콩 생산량 감소 때문이라고 분석했지만 업계의 이야기는 다르다. 정부가 3년간 쌀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시행한 ‘타 작물 재배사업’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두부 한 모에 3800원…"정부가 시장 개입한 탓"
4일 업계에 따르면 국산 콩으로 만든 두부 가격은 지난 3년간 최대 59% 올랐다. 대상이 판매하는 ‘국산콩 고소한두부 부침용’ 가격은 2019년 2251원에서 올해 3584원으로 올랐다. 이 기간 풀무원의 ‘국산콩두부 찌개용’도 3318원에서 3783원으로 상승했다.

두부 가격은 올해 더 오를 전망이다. 지난해 수확기 생산한 콩 도매 가격은 ㎏당 6100원으로 전년(5781원)보다 5.5% 올랐다. 콩 자급률은 1960년 79.3%에서 2010년 10%대로 줄었다. 2017년에는 5.4%까지 떨어졌다. 사료용으로 쓰이는 콩을 대거 수입에 의존한 영향이다.

정부는 공급과잉인 쌀 재배면적을 줄이고 연간 1조원에 달하는 쌀 보조금을 감축하기 위해 논을 밭으로 바꾸는 농가에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콩으로 작물 전환을 할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경작 기기 등을 지원하고, 정부는 생산량 전량을 수매한다고 약속했다. 정부의 논 전환 정책에 참여한 전체 면적 중 콩으로 전환한 비율은 35%에 달한다.

정부가 농가로부터 사들이는 콩 수매 가격은 2016년 ㎏당 3868원에서 지난해 4500원으로 올랐다. 콩 수매 시 품질에 매기는 등급도 1~3등급 외에 ‘특등급’을 신설하면서 더 높은 가격에 콩을 사들였다. 정부의 콩 수매량은 2016년 연 2만5000만t에서 지난해 6만t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비축한 콩을 공매 방식으로 방출하면서 소비자 가격도 급격히 끌어올리고 있다는 점이다. 식품기업들은 국산 콩을 정부, 농협, 영농법인 등 크게 세 가지 유통 경로로 수급한다. 농민들은 세 곳 중 수매가가 가장 높은 곳에 그해 생산한 콩을 판매한다. 정부의 수매 가격이 오르면 농협과 영농법인 등도 이 가격을 반영해 가격을 끌어올릴 수밖에 없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국산 콩으로 만든 두부, 두유 등 제품을 찾는 소비자는 늘고 있는 반면 정부 수매 가격 인상으로 인해 국산 콩 원재료 값은 수년째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