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무 창원시장(왼쪽 첫 번째)이 지능형 전기차 로봇충전 시스템을 개발한 지역 업체 모던텍을 방문해 시연하는 모습을 살펴보고 있다.  /창원시 제공
허성무 창원시장(왼쪽 첫 번째)이 지능형 전기차 로봇충전 시스템을 개발한 지역 업체 모던텍을 방문해 시연하는 모습을 살펴보고 있다. /창원시 제공
‘전기자동차 선도 도시’를 표방하는 경남 창원시가 기업과 손잡고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사업에 본격 나선다.

창원시는 센트랄, ROFA 등 두 기업과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산업 기술·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4일 발표했다. 협약을 통해 시는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자원화하는 방안뿐만 아니라 민관 공동협력을 통해 폐배터리를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키우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한국전기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을 비롯해 지역 기업과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특히 이번 협약을 맺은 관내 기업 두 곳이 전기차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 개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앞으로 창원시는 소비자로부터 반납받은 폐배터리를 기술 개발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 제공한다. 협약 참여 업체는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를 재사용하거나 로봇을 활용해 폐배터리를 분해하는 자동화 기술 개발 등을 진행한다.

창원에 본사를 둔 센트랄은 1971년 창립한 이후 지역 내 자동차부품 대표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2018년 설립한 ROFA는 로봇 및 자동화기기 관련 중소기업이다.

창원시, 폐배터리 재활용사업 '액셀'
전기차 폐배터리산업은 그린뉴딜과 탄소중립 등 정책이 추진되는 가운데 친환경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국내 전기차 보급과 배터리 교체주기를 고려했을 때 폐배터리 배출량이 2024년 연간 1만 대, 2030년에는 약 8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1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시작한 창원시는 현재 2848대를 보급했다. 이 중 향후 2~3년 내 수명이 다한 전기차 배터리가 상당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성능 기준이 높아 초기 대비 용량 80% 이상 감소하면 교체 대상이 된다. 하지만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배터리 활용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미국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독일재생에너지협회(BEE) 등에 따르면 7~8년간 사용한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할 경우 초기 용량의 70~80% 수준에서도 10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 현대글로비스, 현대자동차, LG화학, 굿바이카 등 주요 기업이 폐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차 급속 충전용 ESS 제작과 캠핑용 파워뱅크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는 차량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부품으로, 폐배터리는 신규 배터리 대비 가격이 낮아 다양한 활용 방안을 찾을 수 있다”며 “2~3년 내 전기차 폐배터리가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돼 사전에 사업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