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웠다가 포근했다가' 지난 겨울 기온변동폭 역대 두번째로 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저기온 1월 7∼10일 4일연속 가장 낮고, 21∼25일 5일연속 가장 높아
지난 겨울(2020.12∼2021.2) 기온 변동 폭이 역대 두 번째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지난 겨울은 찬 대륙고기압과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 변동 폭이 전국 기상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컸다고 7일 밝혔다.
특히 1월은 7∼10일 4일 연속 하루 최저기온이 역대로 가장 낮았고, 21∼25일 5일 연속은 하루 최고기온이 가장 높아 1973년 이후 변동 폭이 가장 컸다.
2월은 큰 기온 변동과 함께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이 우세한 가운데 강한 햇볕까지 더해져 고온현상을 보인 날이 많았다.
한파가 발생한 원인은 12월 중순∼1월 상순 북극 기온이 높아 제트기류(상층의 강한 바람띠)가 약해진 데다 우랄산맥 부근에 따뜻한 공기 덩어리가 정체하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열대 태평양에서는 라니냐가 지속하는 가운데 서태평양에서는 상승기류(대류활동 증가)가, 중태평양에서는 하강기류(대류활동 감소)가 각각 우세해져 열대-중위도의 대기 반응이 우리나라 북동쪽 저기압 발달에 기여하면서 찬 북풍 기류가 세졌다.
1월 중순 이후에는 우랄산맥 부근의 따뜻한 공기덩어리가 약화하고 상층 흐름이 남북에서 동서로 바뀌면서 찬 공기의 중심이 북동쪽으로 이동해 대기 하층에서는 찬 대륙고기압 대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1월 말과 2월 말에는 남풍 기류의 유입과 함께 강한 햇볕, 일시적 동풍에 의한 푄 효과가 더해지면서 전국에 고온현상이 나타났다.
강수는 1973년 이후 여섯 번째로 적었다.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과 따뜻하고 건조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건조한 상황에서 서해상의 해기차(해수면 온도와 대기의 온도차)와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눈과 비가 여러 차례 내리는 등 날씨 변화가 컸지만, 전국 강수량은 역대 최소 6위인 464.7㎜에 머물렀다.
강원 영동은 동풍이 약해 강수 현상이 매우 적었고, 중부지방을 중심으로는 서∼남서쪽에서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가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상층의 매우 찬 공기와 충돌하면서 눈구름대가 자주 발달하는 특징을 보였다.
1월 28∼29일과 2월 15∼17일은 발달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고 그 뒤를 따라 찬 대륙고기압이 빠르게 접근하면서 전국에 매우 강한 바람이 불어 구조물 추락 등 강풍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은 본토의 70% 이상이 눈으로 덮였고 텍사스주에는 이례적 폭설과 한파로 인해 1조원 이상의 피해가 나타났다.
또 대만은 북극발 한파로 인해 10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해 곳곳에서 기상재해가 빈번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난 겨울은 강한 한파와 기습 폭설, 강한 바람, 이상고온 등 계절 내 기후 변동이 급격하게 나타났다"며 "기상청은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기상재해와 기후분석 정보를 미리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상청은 지난 겨울은 찬 대륙고기압과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 변동 폭이 전국 기상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컸다고 7일 밝혔다.
특히 1월은 7∼10일 4일 연속 하루 최저기온이 역대로 가장 낮았고, 21∼25일 5일 연속은 하루 최고기온이 가장 높아 1973년 이후 변동 폭이 가장 컸다.
2월은 큰 기온 변동과 함께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이 우세한 가운데 강한 햇볕까지 더해져 고온현상을 보인 날이 많았다.
한파가 발생한 원인은 12월 중순∼1월 상순 북극 기온이 높아 제트기류(상층의 강한 바람띠)가 약해진 데다 우랄산맥 부근에 따뜻한 공기 덩어리가 정체하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열대 태평양에서는 라니냐가 지속하는 가운데 서태평양에서는 상승기류(대류활동 증가)가, 중태평양에서는 하강기류(대류활동 감소)가 각각 우세해져 열대-중위도의 대기 반응이 우리나라 북동쪽 저기압 발달에 기여하면서 찬 북풍 기류가 세졌다.
1월 중순 이후에는 우랄산맥 부근의 따뜻한 공기덩어리가 약화하고 상층 흐름이 남북에서 동서로 바뀌면서 찬 공기의 중심이 북동쪽으로 이동해 대기 하층에서는 찬 대륙고기압 대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1월 말과 2월 말에는 남풍 기류의 유입과 함께 강한 햇볕, 일시적 동풍에 의한 푄 효과가 더해지면서 전국에 고온현상이 나타났다.
강수는 1973년 이후 여섯 번째로 적었다.
차고 건조한 대륙고기압과 따뜻하고 건조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건조한 상황에서 서해상의 해기차(해수면 온도와 대기의 온도차)와 기압골의 영향을 받아 눈과 비가 여러 차례 내리는 등 날씨 변화가 컸지만, 전국 강수량은 역대 최소 6위인 464.7㎜에 머물렀다.
강원 영동은 동풍이 약해 강수 현상이 매우 적었고, 중부지방을 중심으로는 서∼남서쪽에서 유입되는 따뜻한 공기가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상층의 매우 찬 공기와 충돌하면서 눈구름대가 자주 발달하는 특징을 보였다.
1월 28∼29일과 2월 15∼17일은 발달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하고 그 뒤를 따라 찬 대륙고기압이 빠르게 접근하면서 전국에 매우 강한 바람이 불어 구조물 추락 등 강풍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은 본토의 70% 이상이 눈으로 덮였고 텍사스주에는 이례적 폭설과 한파로 인해 1조원 이상의 피해가 나타났다.
또 대만은 북극발 한파로 인해 10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해 곳곳에서 기상재해가 빈번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난 겨울은 강한 한파와 기습 폭설, 강한 바람, 이상고온 등 계절 내 기후 변동이 급격하게 나타났다"며 "기상청은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기상재해와 기후분석 정보를 미리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