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패스가 비마약성 진통제로 개발 중인 리보핵산(RNA) 치료제 임상에서 악재를 만났다. 안전성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지만 가짜약의 통증 감소 효과가 더 좋게 나왔다. 회사 측은 투약 용량 증가를 검토한 뒤 올 하반기 임상 2상에 착수하기로 했다.

올리패스는 ‘OLP-1002’의 호주 임상 1b상 중간 결과를 8일 공시했다. OLP-1002는 인공 유전자인 ‘PNA’를 이용한 RNA 치료제다. 이 회사는 고관절·슬관절염으로 중등증 이상 통증을 겪고 있는 환자 30명을 가짜약 투여군과 약물 투여군으로 나눈 뒤 2주간 5회 투약 후 6주간 평가를 거쳤다.

평가 결과 가짜약 투여군에서 통증 감소율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올리패스의 RNA 치료제를 5㎍(마이크로그램)과 10㎍으로 나눠 투여한 두 군에선 5주 뒤 평균 통증 감소율이 각각 15%, 19%를 기록했다. 반면 가짜약 투여군에선 같은 기간 평균 통증 감소율이 44%였다. 가짜약을 맞은 환자 10명 중 5명에선 70% 이상까지 통증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실제 약물 투여군에선 70% 이상 통증 감소 환자가 3명에 불과했다. 진통제 투약 없이 통증이 40% 이상 감소하는 건 매우 이례적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일각에선 임상 설계에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가짜약 투여군에서 다른 진통제를 혼용했거나 데이터가 섞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회사 측은 환자별 통증 감소 정도의 차이가 커 약물 투약군과 위약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뜻밖의 결과가 나오면서 이날 올리패스 주가는 전일 대비 9050원 하락하며 하한가(2만1250원)로 떨어졌다.

올리패스는 통증 지표인 ‘VAS’와 ‘WOMAC’의 변화가 환자별로 유사하게 나타난 만큼 평가법에선 이상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러한 결과가 나온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선 임상 데이터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며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논의해 임상 관리 등 전반을 검토해 원인을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해당 임상은 호주 CRO 기업인 '노보텍'이 관리 하에 진행됐다.

임상 1상의 주목적인 안전성은 확인됐다. 약물 투여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올리패스는 세포막을 잘 투과하는 인공유전자를 사용해 다른 경쟁 약물 대비 투약 용량을 100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다.

올리패스는 투약 용량을 늘리는 것을 검토한 뒤 올 하반기 예정대로 호주서 만성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앞서 영국서 진행했던 임상 1상에선 최대 160마이크로그램까지 투약 용량을 늘렸음에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었던 만큼 투약 용량을 더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회사 관계자는 “당초 임상 2상에서 효능을 보기 위해 더 높은 용량으로 투약을 진행할 예정이었다”며 “안전성은 검증된 만큼 이번 데이터를 분석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계획대로 임상 2상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