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사태' 포털에 화풀이?…與 "보수 언론 기사 더 노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인터넷 포털 네이버와 다음의 기사 노출 문제를 물고 늘어졌다. 이들 포털의 보수 언론 기사 노출이 진보 언론 기사 노출 보다 잦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국회 차원의 개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민주당이 LH 사태 등으로 지지율이 떨어지자 포털에 책임을 전가하면서 외압을 행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 위원은 10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털 뉴스는 마치 전국이 하나의 마음으로 연결돼있는 상수도 시스템 같은 것"이라며 "문제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피해는 국민들과 민주주의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게 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월 7일 MBC '스트레이트' 보도를 인용해 "포털 '네이버'와 '다음' 뉴스의 기사 노출에서 보수 편향이 심각하다는 심층 취재 보도가 나왔다"고 전했다.
김 위원은 "네이버를 보면, 보수 언론 기사 노출이 48%인데 반해서, 진보 언론은 3.6% 수준이라고 한다"며 "진보 언론 기사 노출이 한 번 될 때, 보수 언론 노출은 13번 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음도 진보 언론의 기사 노출은 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김 위원은 "네이버에서는 '기사 송고량이 많은 언론사가 비례적으로 노출이 많다'고 해명했다"며 "그러나 해명과 달리 점유율 1위인 중앙일보의 송고량은 21개 언론사 중 14위, 점유율 4위인 조선일보 송고량은 18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수 성향 매체의 기사를 보는 이용자뿐만 아니라, 진보 성향의 기사만 보는 이용자에게도 보수 성향 매체의 기사를 더 많이 추천하고 있는 것도 조사 결과 드러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우리는 '포털은 사람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하고 AI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기사를 자동적으로 배치해서 공정하다'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사실과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근본적으로 알고리즘은 플랫폼 사용자가 좀 더 오랜 시간 포털에 묶어 두고 더 많은 정보를 노출시키려는 상업적 목적을 지닌 것"이라며 "그러나 언론 보도라는 사회적 공론 시스템을 취미나 쇼핑 목록과 마찬가지로 알고리즘에 따라 제공하는 것이 과연 맞는가, 그리고 포털은 책임과 윤리 의식 없이 AI 뒤에 숨어서 균형 잡힌 식단이 아닌 정보의 정크푸드를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는 "우리도 이제 포털 업체의 자율적 해결만 기대해서는 안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국회와 언론, 시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서 사회적 합의를 빨리 만들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앞서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9월 국회 본회의 도중 보좌진에게 “카카오 너무하네요. 들어오라고 하세요”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에 포착돼 외압 논란이 일었다. 해당 문자메시지는 당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포털사이트 다음의 메인 화면에 걸렸다는 이유로 카카오에 항의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윤 의원이 다음날 "엄밀한 자세와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 점에 대해 질책을 달게 받겠다”고 했지만 '표현이 다소 부적절했다'는 정도 취지의 사과여서 '반쪽 사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김 위원은 10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털 뉴스는 마치 전국이 하나의 마음으로 연결돼있는 상수도 시스템 같은 것"이라며 "문제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피해는 국민들과 민주주의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게 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월 7일 MBC '스트레이트' 보도를 인용해 "포털 '네이버'와 '다음' 뉴스의 기사 노출에서 보수 편향이 심각하다는 심층 취재 보도가 나왔다"고 전했다.
김 위원은 "네이버를 보면, 보수 언론 기사 노출이 48%인데 반해서, 진보 언론은 3.6% 수준이라고 한다"며 "진보 언론 기사 노출이 한 번 될 때, 보수 언론 노출은 13번 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음도 진보 언론의 기사 노출은 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김 위원은 "네이버에서는 '기사 송고량이 많은 언론사가 비례적으로 노출이 많다'고 해명했다"며 "그러나 해명과 달리 점유율 1위인 중앙일보의 송고량은 21개 언론사 중 14위, 점유율 4위인 조선일보 송고량은 18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수 성향 매체의 기사를 보는 이용자뿐만 아니라, 진보 성향의 기사만 보는 이용자에게도 보수 성향 매체의 기사를 더 많이 추천하고 있는 것도 조사 결과 드러났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우리는 '포털은 사람의 주관적 개입을 배제하고 AI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기사를 자동적으로 배치해서 공정하다'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사실과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은 "근본적으로 알고리즘은 플랫폼 사용자가 좀 더 오랜 시간 포털에 묶어 두고 더 많은 정보를 노출시키려는 상업적 목적을 지닌 것"이라며 "그러나 언론 보도라는 사회적 공론 시스템을 취미나 쇼핑 목록과 마찬가지로 알고리즘에 따라 제공하는 것이 과연 맞는가, 그리고 포털은 책임과 윤리 의식 없이 AI 뒤에 숨어서 균형 잡힌 식단이 아닌 정보의 정크푸드를 강요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고 했다. 그는 "우리도 이제 포털 업체의 자율적 해결만 기대해서는 안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국회와 언론, 시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서 사회적 합의를 빨리 만들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앞서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9월 국회 본회의 도중 보좌진에게 “카카오 너무하네요. 들어오라고 하세요”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에 포착돼 외압 논란이 일었다. 해당 문자메시지는 당일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이 포털사이트 다음의 메인 화면에 걸렸다는 이유로 카카오에 항의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윤 의원이 다음날 "엄밀한 자세와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못한 점에 대해 질책을 달게 받겠다”고 했지만 '표현이 다소 부적절했다'는 정도 취지의 사과여서 '반쪽 사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