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본색원" 방침 밝혔지만 당내 의혹 불거지며 '당혹'
탈세·다주택 이어 투기 의혹…또 도진 與 비례대표 리스크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김경만 의원의 3기 신도시 인근 투기 의혹이 불거지는 등 21대 들어 여당 비례대표 의원들을 둘러싼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21대 국회 임기 시작 전부터 줄줄이 이어진 비례대표 의원 관련 의혹과 자질 시비로 '부실 검증'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총선 당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따라 더불어시민당이 급조되면서 비례대표에 대한 검증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탓이다.

당장 21대 국회 임기 시작 전인 지난해 4월 더불어시민당 소속 당선인 신분이었던 양정숙 의원이 부동산 명의 신탁을 통한 탈세, 정수장학회 출신 모임 임원 경력으로 논란에 휩싸인 뒤 제명됐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인 김홍걸 의원은 10억원이 넘는 아파트 분양권을 누락하는 등 부동산 자산 부실 신고 문제로 역시 제명됐다.

윤미향 의원은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후원금 회계 누락 의혹 등으로 임기 시작 전후로 정국을 뒤흔들었고 결국 검찰에 기소됐다.

이번에 문제가 된 두 의원의 경우 양이원영 의원은 지난 2019년 어머니가 3기 신도시 예정지인 광명 가학동 인근 땅을 지분 쪼개기 형태로 매입한 것이, 김경만 의원은 배우자가 2016∼2018년 경기도 시흥 일대 땅을 매입한 것이 논란이 됐다.

두 의원은 토지 매입 사실을 몰랐다거나 신도시 예정지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으나 LH 의혹과 맞물려 이들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김태년 당대표 직무대행은 11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해당 문제에 대해 "윤리감찰단에서 조사를 하고 있고 1차 판단을 해볼 것"이라며 "의원이 되기 전인 경우도 있어서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기준을 잡아봐야 한다.

그 경우 최소한 공직을 이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당 윤리감찰단 차원의 조사를 시작하면서 투기 적발 시 '호적을 판다'는 각오로 영구제명 등 가장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이미 공언한 상황이다.

조사의 범위도 의원 본인 뿐 아니라 배우자, 직계비존속까지 포함돼 있어 이들 거래가 투기로 판정되면 민주당 비례대표 의원들의 잔혹사가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탈세·다주택 이어 투기 의혹…또 도진 與 비례대표 리스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