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은 환경 이슈를 무역장벽 구축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서둘러야 합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원장(59·사진)은 1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ESG 경영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신 원장은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로 한국증권학회장 등을 지냈다. 2019년 6월부터 지배구조원 원장을 맡고 있다.

ESG 경영에 대해 신 원장은 “기업의 의사결정에 환경이나 사회처럼 기업 활동으로 영향을 받는 부문까지 포괄적으로 반영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ESG 경영과 투자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했다.

그는 “기업들의 ESG 경영 성과는 결국 투자자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며 “글로벌 차원에서 분산투자를 하는 대형 기관투자가로서는 기후변화와 같은 전 지구적 환경문제 대응을 기업에 요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지배구조원은 2010년 제정된 ESG 모범규준을 11년 만에 개정하는 방안을 추진(본지 3월 12일자 A1, 8면 참조)하고 있다. 개정안에는 석탄화력발전소 등 환경 변화로 자산가치가 떨어져 상각되거나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뜻하는 ‘좌초자산’과 ‘인권영향평가’, ‘생활임금’ 등의 개념이 대거 포함됐다.

신 원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ESG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 점을 고려하면 이번 개정은 늦은 감이 있다”며 “좌초자산 개념을 활용한 자산가치 재평가는 이미 유럽 등 선진국 중앙은행이 금융회사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재무 건전성 평가)에서 요구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도 금융감독원이 금융사 건전성 평가에 기후변화 위험을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는 “기업 활동의 모든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겪는 인권 이슈를 파악하는 인권영향평가와 근로자에게 최저임금 이상의 적정 임금을 지급하라는 생활임금도 선진국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후변화 위험 등 기업의 ESG 관련 비재무적 정보를 회계와 같은 재무영역에도 반영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일단 비재무 정보에 대한 공시 등 보고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으로는 ESG 정보가 국제회계기준(IFRS) 같은 기존 회계 체계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했다.

신 원장은 한국 기업들의 ESG 수준에 대해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전반적인 개선이 있었지만 환경·사회 분야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않은 국가에 탄소조정세 부과를 공약으로 내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것은 한국 기업에 위기이자 기회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미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전력의 석탄화력발전 사업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ESG 이슈가 한국 기업에 위기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투자가 늘면서 관련 기업들은 혜택을 받을 여지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지난 1월 금융위원회는 2030년까지 모든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신 원장은 “기업들이 먼저 전향적으로 ESG 경영과 정보공시에 적극 나서는 점을 고려하면 의무화 시기를 앞당기거나 대상 기업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