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라는 거인의 어깨 올라탈 수 있게 정부가 적극 밀어줘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미래포럼 창립 웨비나
주제발표 - 하정우 네이버 AI랩장 'AI 연구 동향과 과제'
美는 정치권서도 AI에 관심
정권 바뀌었지만 정책은 그대로
의회 보고서 'AI 언급' 급증세
한국은 아직 걸음마 단계
'데이터 댐' 정책 지속 추진하고
해외 연구자 비자 규제 완화를
기업 중심 연구생태계 구축해야
주제발표 - 하정우 네이버 AI랩장 'AI 연구 동향과 과제'
美는 정치권서도 AI에 관심
정권 바뀌었지만 정책은 그대로
의회 보고서 'AI 언급' 급증세
한국은 아직 걸음마 단계
'데이터 댐' 정책 지속 추진하고
해외 연구자 비자 규제 완화를
기업 중심 연구생태계 구축해야
“전 국민이 인공지능(AI)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AI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하정우 네이버 AI LAB 연구소장은 17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AI미래포럼 창립 웨비나’에서 “AI라는 거대한 거인의 어깨 위에서 멀리 볼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하 소장은 이날 ‘AI 연구의 최신 동향과 한국의 과제’를 주제로 연사로 나섰다. 그는 네이버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설립한 ‘네이버 AI LAB’의 초대 소장을 맡고 있다. 네이버 AI랩은 주로 중장기 선행 AI 기술을 연구하는 곳이다.
반면 우리 정부의 AI 연구 지원은 ‘시작 단계’라는 게 하 소장의 지적이다. 그는 “정부가 지난해부터 ‘데이터 댐’ 구축 사업에 굉장히 많은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와 데이터 재가공을 위한 지원도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일명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가공하는 ‘데이터 댐’ 구축을 관련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도 제안했다. 해외 연구자의 비자 발급 제도 개선이 대표적이다. 그는 “한국의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외 유수 연구자를 영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직도 비자 발급받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토로했다. 정부의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도 개선 대상으로 꼽았다. 하 소장은 “정부의 관련 부처 간 이해관계로 칸막이가 생겨 지원 체계의 효율성도 떨어진다”며 “AI 정책과 관련해 강력한 오너십을 가진 정부 조직을 구성해 지금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 중심으로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AI 인덱스 2021’에 따르면 북미의 AI 분야 신규 박사 학위 연구자가 산업계에서 둥지를 튼 비율은 2010년 44%에서 2019년 65%로 증가했다. 정부가 AI 기업에 대한 지원을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하 소장은 “AI 연구의 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관련 연구 시설도 운영할 수 있는 기업으로 AI 연구의 중심이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특정 회사 하나만의 노력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의 협업과 공동학위연구 등 산학협력 시스템 강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주완/이시은 기자 kjwan@hankyung.com
하정우 네이버 AI LAB 연구소장은 17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AI미래포럼 창립 웨비나’에서 “AI라는 거대한 거인의 어깨 위에서 멀리 볼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하 소장은 이날 ‘AI 연구의 최신 동향과 한국의 과제’를 주제로 연사로 나섰다. 그는 네이버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설립한 ‘네이버 AI LAB’의 초대 소장을 맡고 있다. 네이버 AI랩은 주로 중장기 선행 AI 기술을 연구하는 곳이다.
○미국은 정권 교체해도 AI 연구 지원
하 소장은 정부의 AI 연구 지원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AI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은 조 바이든 정부까지 최근 세 번 정권이 바뀌었지만 AI 관련 정책은 바뀌지 않고 오히려 정부가 지원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정치권에서도 AI에 대한 관심이 크다. 미국 의회의 입법 관련 보고서에서 AI에 대한 언급은 115대 의회(2017~2018년) 149회에서 116대(2019~2020년) 486회로 세 배 이상 증가했다.반면 우리 정부의 AI 연구 지원은 ‘시작 단계’라는 게 하 소장의 지적이다. 그는 “정부가 지난해부터 ‘데이터 댐’ 구축 사업에 굉장히 많은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와 데이터 재가공을 위한 지원도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일명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가공하는 ‘데이터 댐’ 구축을 관련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도 제안했다. 해외 연구자의 비자 발급 제도 개선이 대표적이다. 그는 “한국의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외 유수 연구자를 영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직도 비자 발급받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토로했다. 정부의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도 개선 대상으로 꼽았다. 하 소장은 “정부의 관련 부처 간 이해관계로 칸막이가 생겨 지원 체계의 효율성도 떨어진다”며 “AI 정책과 관련해 강력한 오너십을 가진 정부 조직을 구성해 지금보다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3의 글로벌 AI 리더십 필요
글로벌 AI 연구는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가 최근 내놓은 ‘AI 인덱스 2021’에 따르면 중국은 AI 관련 논문의 출판 수에 이어 저널 인용 수에서도 미국을 처음으로 추월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AI의 바탕인 데이터 분석에서 한국어 모델이 부실하다. 역대 최고의 자연어 처리 기반 AI로 평가받는 오픈AI사의 ‘GPT-3’ API(프로그램 언어 형식)를 분석해보면 97%가 영어다. 한국어는 0.01%에 불과하다. 애초에 글로벌 인터넷상 한국어 데이터가 0.6%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 소장은 “미국과 중국이 아닌 강력한 제3의 글로벌 AI 리더십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기업 중심으로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AI 인덱스 2021’에 따르면 북미의 AI 분야 신규 박사 학위 연구자가 산업계에서 둥지를 튼 비율은 2010년 44%에서 2019년 65%로 증가했다. 정부가 AI 기업에 대한 지원을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하 소장은 “AI 연구의 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관련 연구 시설도 운영할 수 있는 기업으로 AI 연구의 중심이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특정 회사 하나만의 노력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의 협업과 공동학위연구 등 산학협력 시스템 강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주완/이시은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