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관계 수정에 관한 협의 참석 위해"…미-러 대립 악화일로
미-러 갈등 격화…주미 러시아 대사 소환 귀국
미국과 러시아 간 외교 갈등의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본국 소환지시를 받은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가 21일(현지시간) 귀국했다고 타스 통신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안토노프 대사가 탄 뉴욕-모스크바 노선 여객기가 이날 오전 모스크바 북쪽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이에 앞서 워싱턴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자체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안토노프 대사가 러-미 관계 수정에 관한 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귀국길에 올랐다"고 전했다.

안토노프 대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워싱턴 D.C.-모스크바 간 직항 노선이 폐쇄된 상태라 뉴욕 공항에서 모스크바로 출발했다고 타스 통신은 전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지난 17일 안토노프 대사가 미-러 양국 관계 협의를 위해 본국으로 소환지시를 받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러시아의 주미 대사 소환 발표는 미국 측이 러시아의 2020년 미 대선 개입 의혹을 제기하며 응징을 경고한 뒤에 곧바로 나왔다.

미 CNN 방송은 앞서 16일 미국 국가정보국(DNI)이 작년 미 대선 국면에서 러시아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당선시키고 바이든 당시 민주당 후보를 낙선시키기 위한 공작을 벌였다는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런 공작을 인지했고 2016년 미 대선과 마찬가지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당선시키기 위해 바이든 후보를 공격하는 정보 작전을 직접 지시했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이 같은 DNI 보고서 내용과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17일 러시아가 미 대선 개입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자국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경고했다.

바이든은 또 푸틴 대통령을 '살인자'로 보느냐는 ABC 기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러시아 야권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의 독극물 중독 사건에 러시아 정부가 개입돼 있다는 서방측 주장에 근거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바이든 미 행정부는 앞서 이달 2일 러시아 정부가 나발니 독살 시도의 배후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 7명의 러시아 고위관리, 5곳의 연구소 및 보안기관, 14개 기업체 등을 제재한다고 밝혔으며 이 제재는 18일부터 발효했다.

미국이 나발니 중독 사건과 관련해 대러 제재를 발표한 지 불과 2주여 만에, 지난해 미 대선에도 러시아가 개입한 혐의를 제기하며 추가 제재를 경고하고, 이에 러시아가 주미 대사를 긴급 소환하는 강수로 맞대응하면서 양국 간 외교적 긴장의 수위가 한껏 고조되고 있다.

미-러 갈등 격화…주미 러시아 대사 소환 귀국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