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는 저마다의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스윙도 서로 틀린다고 한다. 그래서 자신과 비슷한 선수들의 스윙을 참고하면 좋다고 한다. 나 같은 체형은 상체가 발달된 경우이며 그래도 리듬이 부드럽기 때문에 타이거우즈의 스윙은 따라서 할 수 없지만 최경주프로나 프래드커플스 같은 선수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는 말을 들었다.

상체가 발달되어 있는 골퍼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어서 다운스윙때 어깨가 먼저 나가면서 Out-in의 궤도로 스윙을 하는 예가 많다고 한다. 나의 경우에도 가슴이 두껍고 상체가 발달되었기 때문에 스윙아크를 크게하는 스윙보다는 간결한 스윙이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러다 보면 간혹 하체의 리드가 안되고 어깨가 먼저 나가게 되어 Out-in의 궤도로 스윙을 하곤 한다.

Out-in의 궤도가 왜 슬라이스를 만드는 것일까?
임팩트 구간을 지나서 피니쉬로 이어질때 양팔을 곧게 펴서 올라가는 모습을 동경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동작은 임팩트때 머리가 공보다 뒤쪽에 머물러 있어야 가능한 동작이다. 그러나 다운스윙때 어깨가 먼저 나가게 되면 머리도 공보다 앞으로 나가게 되어 팔을 펴주지 못하게 되고 손이 공보다 앞서게 된다. 그리고 손목을 로테이션 시켜줄 수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슬라이스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골프백 이용한 연습
많은 골퍼들이 골프는 머리로는 이해하는데 잘 고쳐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제일 고민하는 부분이 어깨가 나가면서 발생되는 Out-in의 궤도이다. 사진과 같이 골프백을 공의 뒤쪽에 세워놓는다. 이때 백스윙때 클럽이 골프백에 걸리지 않을 정도에 세워놓는다. 그리고 다운스윙을 하면서 클럽이 골프백을 건드리지 않도록 하면 된다.
만약 다운스윙때 클럽이 골프백을 건드리거나 친다면 Out-in의 궤도로 스윙을 하고 있는 것이다.
O월O일 / 슬라이스 원인과 탈출 - 아웃-인 궤도 바로잡기





















단계별로 나누어서 스윙 연습
다운스윙시 클럽을 허리부근까지 내렸다가 다시 백스윙의 탑까지 올리는 동작을 2회 반복하고 3회째는 허리에서 멈추지 말고 바로 피니쉬까지 회전시키는 연습을 하자. 이때 허리부근까지 클럽을 끌로 왔을때의 모습은 엉덩이가 회전되어야 하며 오른 어깨는 뒤에 머물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클럽의 샤프트는 목표방향과 평행되도록 하며 손목의 콕킹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5회정도 연습을 한 뒤 공은 3회 이상 치지 않는다. 근육은 그렇게 오랫동안 기억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꾸준히 연습해 주는 것이 좋다.

위의 내용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게신 분께는 메일과 원포인트 레슨 또는 필드레슨을 통하여 성심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kimpro270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