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주마간산 격으로 둘러 본 대만(Taiwan)의 몇몇 곳을, 가이드 설명과 안내 브로셔를 기초해 순전히 내 방식대로 얄팍하게 정리해 보았다. 처음 대만 투어에 나서는 분들께 아주 조금이라도 도움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장개석(蔣介石)을 빼놓고 대만을 얘기할 수는 없다. 대만의 초대 총통인 장개석에 관한 기록 사진, 유품 그리고 동상이 있는 ‘중정기념당’을 찾았다. ‘中正’은 장개석의 본명이다. 1975년 장개석 총통이 서거하자 그의 위업을 기리기 위한 기념당 설립이 추진되었고, 1980년 4월 5일 정식 개관했다. 중정기념당은 대만 역사와 국민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선 꼭 둘러보아야 하는 타이베이의 명소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웅장한 외관이 시선을 압도했다. 한 개인의 기념관으로서는 과하게 크다는 생각도 들었다. 축구장의 약 35배, 7만 5천여 평 정도 넓이란다. 처음 이걸 만들 때 굉장히 말들이 많았다고 한다. 1975년 장개석이 서거하고 1977년에 아들 장경국이 총통 자리를 이어받고나서 공사가 시작됐다. 타이베이 중심지인 이곳엔 민가도 있었다. 안 팔려는 사람도 있었으나 국가에서 반강제적으로 수용하다시피 하여 일대를 헐어버리고 지었다.
건물은 그리 크지 않다. 높이 75m에 500평 건물 빼고는 365일 24시간 개방하는 근린형 개방 공원이다. 자유광장에는 중정기념당 외에도 연극과 콘서트 등을 위한 국립극장과 국립콘서트홀이 있다.
서울 청계천 처럼 처음 조성할 땐 반대가 많았다. 하지만 지어놓고 보니 다들 좋아한다 했다. 다양한 야외 행사나 대규모 집회도 이곳에서 열린다. 또한 조경이 아름다워 산책과 조깅을 즐기는 시민들의 힐링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OLYMPUS DIGITAL CAMERA
광장에서부터 89개의 계단을 올라서야 장개석 동상이 있는 기념당에 들어설 수 있다. 89라는 숫자는 바로 장개석이 세상을 뜬 나이다. 거대한 동상 앞에 섰다. 때마침 근위병 교대식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근엄한 표정의 근위병들이 절도있게 임무를 수행 중이다.
미국 국회의사당에 있는 링컨 동상의 시선이 백악관을 향하고 있듯 장개석 동상의 시선도 우리의 청와대랄 수 있는총통부를 향하고 있다. 죽어서도 국가 안위를 위해 노심초사한다는 뜻이란다.
1949년 대만으로 건너 온 장개석은 곧장 계엄령을 내렸다. 세계에서 계엄령을 가장 오래 유지한 나라가 대만이다. 1949년부터 1987년까지 긴긴 세월이 계엄 하에 있었다. 밤11시부터 아침 5시까지 통금도 있었다. 장발도 단속하고 풍기문란도 엄히 단속했다. 장발이나 풍기문란 단속은 어째 낯설지 않다. 장발단속을 피해 골목길로만 숨어 다녔던 시절이 내게도 있었기 때문이다. 장개석은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차려내는 진수성찬이 마음에 안들었다. 하여 꽃잎이 다섯개인 나라꽃, 매화처럼 반찬을 5개로 줄인 이른바 ‘매화식단’을 개발해 국민들에게 간편식을 장려했다. 분식과 혼식을 장려했던 우리네 옛날 사정과 닮은 꼴이다. 이름하여 장개석의 ‘신생활운동’이다. 우리의 ‘새마을운동’도 대만의 ‘신생활운동’을 벤치마킹한 것이라데…
그는 1975년까지 총통의 자리를 유지했다. 즉, 죽는 그날까지 종신 총통이었다. 사후 그의 아들 장경국이 2년 후인 1977년 선거를 통해 역시나 종신 총통으로 추대됐다. 그러나 재임기간을 10년도 못 채우고 세상을 떴다. 대만인들은 장경국 총통이 좀 오래 살았더라면 대만 경제가 더 나아졌을 것이라고들 한다. 왜냐하면 장개석은 대만을 군사강국으로만 만들려 했지, 경제발전에는 관심이 덜했다. 왜? 여기서 계속 안주하는 게 아니고 머릿속은 온통 다시 본토를 수복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꽉 차 있었기 때문이이라고.
장남 장경국도 그걸 알았다. 그러나 도저히 본토를 자체 힘으로 수복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재임기간 동안 경제발전을 이룩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시간이 너무 짧았다. 그 다음 총통이 된 국민당 출신 이등휘 시절, 대만의 경제도, 정치도 무너져 내렸다. 대만인들은 장경국이 후임자를 잘못 선택한 결과라 했다.
장개석이 욕도 많이 먹었지만 발전에 기여한 공도 크다. 우리의 박정희와 비슷하다. 국가재건을 위해 박정희는 많은 노력을 했다. 돈 빌리러 서독으로, 대만으로 달려 갔다. 기념당 안 기록사진에서 그런 박정희의 모습도 발견했다. 대만에 와서는 돈도 빌리고 식량도 요청했다. 한 나라의 지도자로 남의 나라에 달려가 머리 숙여 돈 빌리고 식량 지원을 요청할 때 기분은 어땠을까? 말이 요청이지 구걸이나 다름없었을 터. 기록 영상이 머릿 속에 오버랩되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 앞에서 선 박정희는 충혈된 눈으로 연설했다. “국가가 부족하고 내가 부족해서 여러분이 이 먼 곳까지 나와 고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견뎌 내십시오. 곧 여러분을 조국으로 모셔 오겠습니다”
전시실에는 박정희가 장개석에게 선사한 훈장도 보였다. 돈 빌려주어, 식량 지원해 주어 고맙단 표식이었을까?
장개석 역시 나라를 발전시킨 공로는 크나 과오도 만만치 않다. 5·18의 아픔이 있는 우리처럼 대만에는 2·28의 아픔이 있다. 대만 2·28사건은 1947년 2월 28일 정부의 폭압에 맞선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남은 항쟁’, 이른바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 사건이다. 많은 사람이 죽었다. 장개석에게 이러한 과오는 늘 입안에 박힌 가시처럼 자신을 괴롭혔을지도 모른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