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8명은 "올해 고용 상황, 코로나 이전보다 악화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연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 조사 결과
재테크 1위는 부동산…주식은 2위로 꼽혀
재테크 1위는 부동산…주식은 2위로 꼽혀
국민 10명 중 8명은 올해 고용 상황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이전(2019년) 대비 올해 고용 상황을 묻자 전체 응답자의 44.6%는 '매우 악화', 32.7%는 '조금 악화'라고 답했다.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응답은 전체의 8.3%(조금 개선 5.3%, 개선 3.0%)에 불과했다.
특히 취업 일선에 있는 20대 응답자의 경우 매우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과반(53.2%)이었고 조금 악화한다는 의견도 30.0%를 기록했다. 매우 개선된다는 응답은 0%로 나타나 청년층의 암울한 전망을 대변했다.
고용 상황이 악화할 주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45.3%)이 꼽혔으며,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는 기업규제완화(24.9%), 고용시장 유연화(21.9%), 공공일자리 확대(15.5%), 고용 증가 기업 인센티브(15.3%) 등이 꼽혔다.
연령별로 20대는 기업규제완화(25.0%)와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1.2%) 등 기업 활성화 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40대는 신산업육성지원(21.8%)을, 60대는 공공일자리확대(19.5%)를 꼽는 비중이 다른 연령보다 높았다.
향후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였고,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뒤를 이었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22.5%)이었으며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그 뒤를 이었다.
월급에 대한 전망도 암울했다. 응답자 10명 중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소득 증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을 묻자 주식·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 역량 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등의 순으로 답했다.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는 최근 규제 강화에도 부동산(30.1%)이 꼽혔고 주식(28.4%)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금·구리 등 실물자산(8.3%), 예·적금(6.8%), 암호화폐(6.1%), 외화(3.7%) 등의 답변도 나왔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부동산(30.9%)을, 여성은 주식(32.3%)을 가장 선호했다. 연령별로는 30대(33.4%)와 50대(30.4%), 60대(31.1%)는 부동산을, 20대(40.0%)와 40대(28.9%)는 주식을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이전(2019년) 대비 올해 고용 상황을 묻자 전체 응답자의 44.6%는 '매우 악화', 32.7%는 '조금 악화'라고 답했다.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응답은 전체의 8.3%(조금 개선 5.3%, 개선 3.0%)에 불과했다.
특히 취업 일선에 있는 20대 응답자의 경우 매우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과반(53.2%)이었고 조금 악화한다는 의견도 30.0%를 기록했다. 매우 개선된다는 응답은 0%로 나타나 청년층의 암울한 전망을 대변했다.
고용 상황이 악화할 주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45.3%)이 꼽혔으며,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는 기업규제완화(24.9%), 고용시장 유연화(21.9%), 공공일자리 확대(15.5%), 고용 증가 기업 인센티브(15.3%) 등이 꼽혔다.
연령별로 20대는 기업규제완화(25.0%)와 고용증가 기업 인센티브 확대(21.2%) 등 기업 활성화 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40대는 신산업육성지원(21.8%)을, 60대는 공공일자리확대(19.5%)를 꼽는 비중이 다른 연령보다 높았다.
향후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였고,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뒤를 이었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22.5%)이었으며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그 뒤를 이었다.
월급에 대한 전망도 암울했다. 응답자 10명 중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소득 증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을 묻자 주식·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 역량 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등의 순으로 답했다.
가장 유망한 재테크 수단으로는 최근 규제 강화에도 부동산(30.1%)이 꼽혔고 주식(28.4%)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금·구리 등 실물자산(8.3%), 예·적금(6.8%), 암호화폐(6.1%), 외화(3.7%) 등의 답변도 나왔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부동산(30.9%)을, 여성은 주식(32.3%)을 가장 선호했다. 연령별로는 30대(33.4%)와 50대(30.4%), 60대(31.1%)는 부동산을, 20대(40.0%)와 40대(28.9%)는 주식을 가장 좋은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