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이굽이 東江은 '白雲山'을 휘감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는?… 김, 이, 박…
가장 흔한 이름은?… 철수, 영희…
그렇다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산 이름은?… 앞산, 뒷산, 백운산?
‘뭔 쉰소리냐’ 하겠지만 그만큼 同名異山 ‘백운산’이 많다.
‘백운산’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만 3곳(정선, 포천, 광양)이 올라 있다.
이를 포함해 전국에 ‘백운산’은 줄잡아 30여 개는 될거다.
산객 가득 실은 버스가 가쁘게 엔진음을 토하며 힘겹게 나리재를 넘어서자,
깎아지른 단애와 시리도록 짙푸른 동강이 모습을 드러낸다.
잠시 후, 버스는 동강을 가로질러 점재마을을 잇는 ‘점재교’ 초입, 점재나루에 닿았다.
대형버스는 다리를 오갈 수 없다. 강물이 불어나면 이 다리는 잠긴다. 잠수교다.
여름 백운산을 찾았다가 그래서 헛걸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버스에서 내렸다. 귓볼이 시릴 만큼 강바람이 세차다.
출렁이는 물결 위로 초겨울 햇살이 알알이 부서진다.
겨울 맞다. 그새 산객들 복장도 두툼해졌다. 등로를 어림잡기 위해 안내판에 표시된 지형을 훑어 봤다.
산세는 거칠고 강물은 白蛇가 또아리를 튼 듯 거침없다. 굽이쳐 흐르는 동강을 건너면서 잠시 뗏사공을 떠올린다.
한양까지 뗏목 실어 나르던 뗏사공들의 애환을 아는지 모르는지,
오늘도 동강은 굽이굽이 휘돌아 유장하게 흘러간다.
이젠 뗏목도, 뗏사공도 세월 속으로 흘러가버렸다.
뗏목이 오가던 물길은 래프팅족들이 점령해버렸으니… 잠수교를 건너 좌측으로 난 길을 200여 미터 진행하면
우측 산비탈을 따라 목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산길은 이곳서부터 시작된다.
계단은 그다지 가파르지 않으나 초반이라선지 금새 숨 가쁘다.
수목은 이미 겨울 채비를 다한듯 앙상한 모습이다.
벼랑을 치고오른 세찬 골바람은 목덜미를 휘감으며 겨울을 재촉하고
서걱대는 낙엽 소리는 산 속의 정적을 깨우며 가을을 배웅한다.
30분 쯤 올라서니 능선 안부 삼거리, ‘병매기고개’다.
왼쪽 2분 거리에 전망대가, 오른쪽은 정상 방향 수리봉 능선 길이다.
‘괜히 벼랑 끝 위태스런 곳에 전망대를 설치했을까,
그만큼 뷰가 좋다는 것일텐데, 그렇다면 봐 주는게 예의(?)다. 왼쪽은 직벽 낭떠러지인데다 암릉 길은 종이를 겹쳐놓은 것처럼
‘판상절리’ 형태라 한순간도 긴장을 늦출 수가 없다.
전망대에 이르자, 동강 곡류의 환타지가 맛보기로 펄쳐졌다.
굽이 도는 강물은 ‘오메가’를 그리며 沼를 만들었다.
동강 12경 중 제 3경이라는 ‘나리소’와 ‘바리소’가 발 아래 있다.
병매기고개로 되돌아와 다시 정상 방향으로 걸음을 옮긴다.
수리봉 능선길도 까칠하긴 매한가지다.
삐쭉 빼쭉 튀어나온 돌을 딛고 오르다보니 걸음이 더디다.
게다가 찬바람이 작정한 듯 몰아쳐 몸 중심을 흐트린다.
바람은 앞서걷던 여성의 모자를 앗아 벼랑 아래로 날려 버렸다.
일행 男이 의기양양하게 잡목을 휘어잡으며 벼랑에 매달렸다.
간신히 모자를 회수하긴 했지만 위험천만한 일로
이럴땐 모자를 포기하는 게 정답이지 싶다.
산 길은 다시 가파르게 솟구친다.
등로는 온통 비스듬히 박힌 절리 형태의 판석 때문에 정말 미끄럽다.
판석 표면은 유리처럼 반질거리고 모서리는 칼등처럼 각져 있어
등산화 바닥창의 기능만 믿고 무심코 딛다간 큰 코 다칠 수 있다.
산 길은 줄곧 아찔한 직벽 낭떠러지를 끼고 나 있어 더욱 그러하다.
그만큼 추락위험을 알리는 안내판 개수도 많이 눈에 띈다. 10시 30분에 점재나루를 출발, 12시에 정상에 닿았다.
2km 걷는데 1시간 30분 걸린 셈이다.
날머리인 제장마을까지 하산 거리는 좀 더 길다.
칠족령을 거쳐 크고 작은 봉우리 너댓개는 오르내려야 한다.
때마침, 두둥실 흰구름이 ‘백운산’ 정상석 정수리에 멈춰섰다.
하늘과 땅이 통했다? 침소봉대하자면, 이는 곧 ‘天地合一’이다. 이곳 백운산의 조망은 형용할 수 없을만큼 수려하다.
굽이치는 동강의 물줄기는 농염한 여인의 S라인을 탐하듯
부드럽게 휘감아 돈다. 넋을 놓을 만큼 ‘치명적’으로 아름답다. 곡류천(曲流川)으로 불리는 S협곡의 지리학적 이름은 사행천(蛇行川`meander).
계곡 사이를 흐르는 강물의 차별침식에 의해 만들어진 지형이다.
사행천이 평지에 생성되면 하회마을이나 예천 회룡포처럼 특색 있는
수변(水邊)마을이 생겨나고 산지(山地)에 들어서면
영월 태화산이나 홍천 금학산처럼 멋진 水태극이 만들어진다.
태극지형의 백미는 단연 동강(東江)이다.
백운산 자락에 형성된 S협곡은 그 조형미나 구도에서 최고의 완성도를 자랑한다.
파랗던 하늘에 갑자기 먹구름이 번지더니 이내 눈발이 흩날린다.
그 양은 미미했으나 백운봉 정상에서의 첫 눈에 방점을 찍는다.
칼바람이 제법 세차다. 땀이 식으면서 한기가 스며든다.
정상을 200m 벗어난 오른쪽에 분화구처럼 움푹 꺼진 곳에 자리를 폈다.
펀치볼을 연상케 하는 지형이라 주변 낙엽이 모조리 굴러들어
그야말로 ‘낙엽의 늪’을 이룬 곳이다.
일행들과 한시간 남짓, 식도락 삼매경에 빠졌다가 헤어나와
다시 남서쪽 칠족령, 제장마을 방향으로 걷기 시작했다.
훌훌 털어버리고 빈 마음으로 걸어야 하거늘,
잔뜩 털어넣고 둔하게 걸어야 하다니…맞다. ‘미련 곰탱이’다.
정선 백운산행의 진면목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천길단애의 아찔함과 동강의 백미, S라인의 황홀함은
칠족령을 지나 문희나루 갈림길에 이를 때까지 쭈욱 계속된다,
세상만사 온갖 시름 다 잊고 구름 위를 걷는 기분이 이러할까? 동강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백운산은 동강을 따라 6개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동강은 정선, 평창 일대의 깊은 산골에서 흘러내린 물줄기들이
정선읍내에 이르러 조양강이 되고 이 강에 동남천 물줄기가 합해지는
정선읍 남쪽 가수리 수미마을에서부터 영월에 이르기까지의
51km 구간을 동강이라고 따로 이름했다.
이 동강은 영월읍에 이르러 서강과 합수해 남한강이란 이름으로
멀리 여주, 서울을 거쳐 황해로 흘러간다.
벼랑 끝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는 아찔한 등로를 따라
6개 봉우리를 오르락내리락 했다. 그러는 사이, 어느 산꾼을 추모하는 돌탑을 지나 갈림길에 닿았다.
날머리 제장마을 주차장까지 1km를 남겨둔 지점이다.
오른쪽으로 틀면 문희마을과 칠족령전망대로 가는 길,
곧장 직진하면 제장마을 방향이다.
정선 백운산 산행의 시작과 끝에는 반드시 동강 渡江이 있다.
십수년 전만 해도 마을 사람들은 줄 배를 타고 강을 오갔지만.
지금은 잠수교가 놓여 더이상 고립무원의 오지가 아니다.
그만큼 산꾼들 발길도 잦아져 자연환경 훼손이 염려된다. 백운산은 2003년,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지정되었다.
백운산은 산 중의 산이요, 동강은 강 중의 강이다.
동강이 있어 백운산이 빛나고 백운산이 있어 동강이 빼어나다.
아마도 오래도록 눈가에 맴 돌 것 같다.그런 산이고 강이다 점재교-병매기고개-백운산-칠족령-제장마을
가장 흔한 이름은?… 철수, 영희…
그렇다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산 이름은?… 앞산, 뒷산, 백운산?
‘뭔 쉰소리냐’ 하겠지만 그만큼 同名異山 ‘백운산’이 많다.
‘백운산’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에만 3곳(정선, 포천, 광양)이 올라 있다.
이를 포함해 전국에 ‘백운산’은 줄잡아 30여 개는 될거다.
산객 가득 실은 버스가 가쁘게 엔진음을 토하며 힘겹게 나리재를 넘어서자,
깎아지른 단애와 시리도록 짙푸른 동강이 모습을 드러낸다.
잠시 후, 버스는 동강을 가로질러 점재마을을 잇는 ‘점재교’ 초입, 점재나루에 닿았다.
대형버스는 다리를 오갈 수 없다. 강물이 불어나면 이 다리는 잠긴다. 잠수교다.
여름 백운산을 찾았다가 그래서 헛걸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버스에서 내렸다. 귓볼이 시릴 만큼 강바람이 세차다.
출렁이는 물결 위로 초겨울 햇살이 알알이 부서진다.
겨울 맞다. 그새 산객들 복장도 두툼해졌다. 등로를 어림잡기 위해 안내판에 표시된 지형을 훑어 봤다.
산세는 거칠고 강물은 白蛇가 또아리를 튼 듯 거침없다. 굽이쳐 흐르는 동강을 건너면서 잠시 뗏사공을 떠올린다.
한양까지 뗏목 실어 나르던 뗏사공들의 애환을 아는지 모르는지,
오늘도 동강은 굽이굽이 휘돌아 유장하게 흘러간다.
이젠 뗏목도, 뗏사공도 세월 속으로 흘러가버렸다.
뗏목이 오가던 물길은 래프팅족들이 점령해버렸으니… 잠수교를 건너 좌측으로 난 길을 200여 미터 진행하면
우측 산비탈을 따라 목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산길은 이곳서부터 시작된다.
계단은 그다지 가파르지 않으나 초반이라선지 금새 숨 가쁘다.
수목은 이미 겨울 채비를 다한듯 앙상한 모습이다.
벼랑을 치고오른 세찬 골바람은 목덜미를 휘감으며 겨울을 재촉하고
서걱대는 낙엽 소리는 산 속의 정적을 깨우며 가을을 배웅한다.
30분 쯤 올라서니 능선 안부 삼거리, ‘병매기고개’다.
왼쪽 2분 거리에 전망대가, 오른쪽은 정상 방향 수리봉 능선 길이다.
‘괜히 벼랑 끝 위태스런 곳에 전망대를 설치했을까,
그만큼 뷰가 좋다는 것일텐데, 그렇다면 봐 주는게 예의(?)다. 왼쪽은 직벽 낭떠러지인데다 암릉 길은 종이를 겹쳐놓은 것처럼
‘판상절리’ 형태라 한순간도 긴장을 늦출 수가 없다.
전망대에 이르자, 동강 곡류의 환타지가 맛보기로 펄쳐졌다.
굽이 도는 강물은 ‘오메가’를 그리며 沼를 만들었다.
동강 12경 중 제 3경이라는 ‘나리소’와 ‘바리소’가 발 아래 있다.
병매기고개로 되돌아와 다시 정상 방향으로 걸음을 옮긴다.
수리봉 능선길도 까칠하긴 매한가지다.
삐쭉 빼쭉 튀어나온 돌을 딛고 오르다보니 걸음이 더디다.
게다가 찬바람이 작정한 듯 몰아쳐 몸 중심을 흐트린다.
바람은 앞서걷던 여성의 모자를 앗아 벼랑 아래로 날려 버렸다.
일행 男이 의기양양하게 잡목을 휘어잡으며 벼랑에 매달렸다.
간신히 모자를 회수하긴 했지만 위험천만한 일로
이럴땐 모자를 포기하는 게 정답이지 싶다.
산 길은 다시 가파르게 솟구친다.
등로는 온통 비스듬히 박힌 절리 형태의 판석 때문에 정말 미끄럽다.
판석 표면은 유리처럼 반질거리고 모서리는 칼등처럼 각져 있어
등산화 바닥창의 기능만 믿고 무심코 딛다간 큰 코 다칠 수 있다.
산 길은 줄곧 아찔한 직벽 낭떠러지를 끼고 나 있어 더욱 그러하다.
그만큼 추락위험을 알리는 안내판 개수도 많이 눈에 띈다. 10시 30분에 점재나루를 출발, 12시에 정상에 닿았다.
2km 걷는데 1시간 30분 걸린 셈이다.
날머리인 제장마을까지 하산 거리는 좀 더 길다.
칠족령을 거쳐 크고 작은 봉우리 너댓개는 오르내려야 한다.
때마침, 두둥실 흰구름이 ‘백운산’ 정상석 정수리에 멈춰섰다.
하늘과 땅이 통했다? 침소봉대하자면, 이는 곧 ‘天地合一’이다. 이곳 백운산의 조망은 형용할 수 없을만큼 수려하다.
굽이치는 동강의 물줄기는 농염한 여인의 S라인을 탐하듯
부드럽게 휘감아 돈다. 넋을 놓을 만큼 ‘치명적’으로 아름답다. 곡류천(曲流川)으로 불리는 S협곡의 지리학적 이름은 사행천(蛇行川`meander).
계곡 사이를 흐르는 강물의 차별침식에 의해 만들어진 지형이다.
사행천이 평지에 생성되면 하회마을이나 예천 회룡포처럼 특색 있는
수변(水邊)마을이 생겨나고 산지(山地)에 들어서면
영월 태화산이나 홍천 금학산처럼 멋진 水태극이 만들어진다.
태극지형의 백미는 단연 동강(東江)이다.
백운산 자락에 형성된 S협곡은 그 조형미나 구도에서 최고의 완성도를 자랑한다.
파랗던 하늘에 갑자기 먹구름이 번지더니 이내 눈발이 흩날린다.
그 양은 미미했으나 백운봉 정상에서의 첫 눈에 방점을 찍는다.
칼바람이 제법 세차다. 땀이 식으면서 한기가 스며든다.
정상을 200m 벗어난 오른쪽에 분화구처럼 움푹 꺼진 곳에 자리를 폈다.
펀치볼을 연상케 하는 지형이라 주변 낙엽이 모조리 굴러들어
그야말로 ‘낙엽의 늪’을 이룬 곳이다.
일행들과 한시간 남짓, 식도락 삼매경에 빠졌다가 헤어나와
다시 남서쪽 칠족령, 제장마을 방향으로 걷기 시작했다.
훌훌 털어버리고 빈 마음으로 걸어야 하거늘,
잔뜩 털어넣고 둔하게 걸어야 하다니…맞다. ‘미련 곰탱이’다.
정선 백운산행의 진면목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천길단애의 아찔함과 동강의 백미, S라인의 황홀함은
칠족령을 지나 문희나루 갈림길에 이를 때까지 쭈욱 계속된다,
세상만사 온갖 시름 다 잊고 구름 위를 걷는 기분이 이러할까? 동강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백운산은 동강을 따라 6개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동강은 정선, 평창 일대의 깊은 산골에서 흘러내린 물줄기들이
정선읍내에 이르러 조양강이 되고 이 강에 동남천 물줄기가 합해지는
정선읍 남쪽 가수리 수미마을에서부터 영월에 이르기까지의
51km 구간을 동강이라고 따로 이름했다.
이 동강은 영월읍에 이르러 서강과 합수해 남한강이란 이름으로
멀리 여주, 서울을 거쳐 황해로 흘러간다.
벼랑 끝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는 아찔한 등로를 따라
6개 봉우리를 오르락내리락 했다. 그러는 사이, 어느 산꾼을 추모하는 돌탑을 지나 갈림길에 닿았다.
날머리 제장마을 주차장까지 1km를 남겨둔 지점이다.
오른쪽으로 틀면 문희마을과 칠족령전망대로 가는 길,
곧장 직진하면 제장마을 방향이다.
정선 백운산 산행의 시작과 끝에는 반드시 동강 渡江이 있다.
십수년 전만 해도 마을 사람들은 줄 배를 타고 강을 오갔지만.
지금은 잠수교가 놓여 더이상 고립무원의 오지가 아니다.
그만큼 산꾼들 발길도 잦아져 자연환경 훼손이 염려된다. 백운산은 2003년,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지정되었다.
백운산은 산 중의 산이요, 동강은 강 중의 강이다.
동강이 있어 백운산이 빛나고 백운산이 있어 동강이 빼어나다.
아마도 오래도록 눈가에 맴 돌 것 같다.그런 산이고 강이다 점재교-병매기고개-백운산-칠족령-제장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