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컨설턴트 이내화입니다. 우리 사회에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단어가 있다면 단연코 <100세 쇼크>입니다. 예전엔 오래 살면 <축복>이었는데 이젠 이것이 <재앙>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형국이다 보니 이를 풍자한 이야기들도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아마 태어나면 100년씩이나 살아야 하다 보니 나온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바로 <100년 인생 코드>입니다. <100년 인생 코드>란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시중에 떠도는 이야기를 모아 나름대로 각색해서 정리한 것을 소개 합니다. 논어 위정편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15이면 志學(지학), 30이면 而立(이립) , 40이면 不惑(불혹), 50이면 知天命(지천명), 60이면 耳順(이순), 70이면 從心(종심)이라…> 이것을 나름 해석해보면 15세가 되면 배움에 뜻을 두고 공부를 하고, 30이면 그 뜻이 확고해지고. 40이면 어디에서 미혹되어 흔들리지 않고, 50이면 하늘의 뜻을 알게 되고, 60이면 모든 것을 들으면 이해를 하게 되고, 70이면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별 탈이 없다는 것입니다. <15이면 志學(지학), 30이면 而立(이립) , 40이면 不惑(불혹), 50이면 知天命(지천명), 60이면 耳順(이순), 70이면 從心(종심)이라..> 아마 여러분도 학창시절에 한두 번 외웠던 구절일 것입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이렇습니다. 15이면 지학이 아니라 <학원>이고, 30이면 이립이 아니라 <입사>고, 40이면 불혹이 아니라 <별책부록>이고, 50이면 지천명이 아니라 <경수>고, 60이면 이순이 아니라 <지공>이고, 70이면 종심이 아니라 <폐집>입니다. 도무지 무슨 말을 하는지 잘 이해가 되질 않을 것입니다. 이 말을 코믹스럽게 풀이하면 이렇습니다. <15이면 지학이 아니라 <학원>이고는 바로 15세이면 학문에 뜻을 새우는 게 아니라 정처 없이 학원에 다녀야 한다는 것입니다. 30이면 이립이 아니라 <입사>라는 것은 확고한 인생의 뜻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해 입사 즉 우선 회사 들어가야 한다는 현실입니다. 40이면 불혹이 아니라 <별책부록>이다라는 말은 아주 의미심장합니다. 40이면 한창 일 할 때인데 세상의 중심이 아니라 별책 부록 즉 변방으로 말려나고 만다는 것입니다. 50이면 지천명이 아니라 <경수>라는 것은 이 나이가 되면 인생의 의미를 알아야 하는 데 경수 즉 <경제수명>을 다한 사람이 되고 만다는 메시지입니다. 한참 듣고 보면 재미있기도 하지만 요즘 세상살이를 아주 꼭 집어 하는 이야기입니다. 계속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60이면 이순이 아니라 <지공>이다는 말은 60이면 세상살이가 편해져야 하는데 지공 즉 지하철을 공짜로 타는 어르신이 된다는 것입니다. 끝으로 70이면 종심이 아니라 <폐집>이라는 것은 70이면 무엇을 해도 아무런 탈이 없을 정도로 인생의 후반기를 보내야 하는데 <폐집> 즉 폐지를 줍는 그런 일을 한다는 것입니다. 지하철에서 노인들이 폐지를 줍는 일을 하는 것을 자주 보았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100년 인생을 잘 보내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필자가 기업체에서 강의를 하면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이젠 당신도 <출구전략>을 짜야 한다.” 이 말이 무슨 말일까요? 대개 좋은 직장이나 안정된 직장에 다니는 이들은 이 전략이 없어서 드리는 말입니다. 조직의 보호막 속에 사는 직장인들은 보호막을 걷어내면 끝장이 되고 맙니다. 그런데 직장인들은 이 점에 대해 무지할 정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이런 생각을 한번 해보십시오. “내가 이 직장에서 퇴출되면 뭐해서 먹고 살지?” <20-60-80>법칙이란 게 있습니다. 이 말은 20대에 직업을 갖고 60대에 은퇴를 하고 80대에 생을 마감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젠 이것이 아니라 <30-50-100>법칙이라고 합니다. <30-50-100>법칙이란 무슨 말일까요? 30대에 직장을 구하고, 50대에 은퇴를 한 뒤 100세까지 살다 삶을 마감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30-50-100>법칙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50>과 <100>이란 숫자입니다. 이 숫자가 시사하는 건 50대에 은퇴를 해서 약 40-50년간은 돈을 벌지 못한 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만나는 직장인들에 당부하는 말이 있습니다. 경재 수명에 대한 것입니다. 즉 월급, 점심식사, 휴가, 연월차, 자녀 학자금, 의료보험과 국민연금 지원 등 온갖 것을 지원해주는 온실 같은 회사에서 나오면 다음엔 “무엇을 해서 먹고 살겠는가?” 특히 지금 다니는 회사가 너무 좋은 이들은 늘 이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설날 연휴 내내 당신이 생각해야 할 게 한 가지 있습니다. 바로 당신의 <출구전략> 입니다. 지금 당신의 <출구전략>이 보이십니까? 오늘의 성공 포인트! “100세 시대엔 <입구>가 아니라 <출구>입니다” ⓒ이내화214130(crele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