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영화에 기대어 쓰다] '빛의 과거', 타인의 거울로 마주한 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들은 부산을 포함해서 서울이외의 곳은 다 ‘시골’로 칭하고 있었다. 또한 위도와는 상관없이 속초에서도 서울은 ‘올라오는’ 도시였다.
은희경의 소설 속 한 문장이 나를 과거의 한 장면으로 데리고 갔다. 방학이 되면 우리 자매는 막내 이모가 계시는 서울로 보내졌다. 이모는 성공한 중산층이었고 동부 이촌동의 ‘맨션’ 에 살고 있었다. 신선한 ‘훼미리 주스’ 가 아침마다 배달되어 왔고 사촌들은 겨울에도 내복 바람으로 집안을 활보하고 다녔다. 윗풍이 세서 추위와 싸워야 했던 우리집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사촌동생은 ‘뉴코아’라는 이름도 생소한 백화점에서 새하얀 피겨 스케이트도 구입했다. 목이 긴 피겨 스케이트는 사촌동생의 긴 다리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 대리석으로 만든 우아한 식탁에는 계란 노른자 빛깔의 ‘체다치즈’가 매 끼니마다 반찬으로 올라왔다. 몸에 좋다며 먹어보라는 이모의 말씀에도 불구하고 된장이나 김치에 이미 익숙해져 버린 내 입맛에는 지나치게 느끼하고 밋밋할 뿐이었다.
그날은 이모집에 손님이 왔다. “어머, 웬 애들이 이렇게 많아?” 거실에서 나긋나긋한 서울말이 들려왔고 연이어 이모의 “응, 시골에서 온 조카들이야” 라는 목소리도 들려왔다. 순간 크나큰 충격에 휩싸였다. 나와는 상관없는 명사라고 생각했던 ‘시골’ 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질감은 생경했고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듯 얼얼하기 까지 했다. ‘한국의 3대도시’ 중 하나에서 살았던 나는 내가 살고 있는 곳을 시골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시골이라면 으레 떠오르기 마련인 논이나 밭, 소나 닭이 등장하는 마당은 내가 살았던 도시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 그림이었다. 이모는 어린 나의 자존심을 여지없이, 그리고 잔인하게 밟아버렸다. 한 순간에 시골 촌놈으로 전락(?)한 그 날의 기억이 왜 이다지도 선명하게 남아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표면적으로 <빛의 과거>는 지방 출신의 학생이 서울의 여대에 입학하면서 겪는 청춘의 방황과 성취, 좌절과 고민을 담고 있다. 대학 신입생이 마주한 계급 차이, 서울과 지방의 격차 등도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기상과 통금시간, 점호, 면회와 전화 등 군대생활을 연상시키는 기숙사의 일과와 규칙은 70년대의 시대상을 그대로 보여주었고 수업거부, 봄의 축제, 음악 감상실, 기숙사 오픈 하우스 등은 아련한 대학시절의 낭만을 떠올리게 했다.
작가가 된 희진이 기숙사 시절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 위하여’를 출간한다. 유경은 책을 통해 자신의 과거와 마주하게 되지만 “그녀가 본 세상이 내가 본 것과 너무도 달랐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한다. 기억이 왜곡되고 재편되는 이유일 것이다. 분명 같은 사건을 겪었지만 시간이 지나 얘기를 나눠보면 전혀 다르게 그 상황을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할 때가 있다. 심지의 ‘팩트’ 마저 다르게 기억하기도 한다.
“나는 나를 누구라고 알고 살아왔던 걸까.”
“과거의 내가 나 자신이 알고 있던 그 사람이 아니라면 현재의 나도 다른 사람일 수밖에 없다.”
희진의 소설에 등장하는 나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처럼 묘사되었고 유경 역시 희진을 오해하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희진이 감당해야 했던 고독과 가난, 그리고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받은 모욕을 유경은 그녀의 소설을 통해 비로소 알게 된다. 소설을 매개로 펼쳐진 과거의 기억은 픽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과장되거나 인물을 희화할 수는 있지만 팩트조차 자신의 기억과 다르게 그려졌다는 사실 앞에서 유경은 기억의 본질에 의문을 품게 된다.
“여러 사람과 공유한 시간이므로 누구도 과거의 자신을 폐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편집하거나 유기할 관리 정도는 있지 않을까?
희진의 시점에 거부감을 느낀 유진의 항변이다. 하지만 편집하고 유기한 기억이 ‘진정한 나’ 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누구의 기억이 진실인가?’ 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기억이 서로 다를 수 있고 그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서 ‘끝내 만져보지 못할 빛’ 의 과거 속으로 시간 여행을 떠날 수 있다면 족하지 않을까.
소설은 성차별이 만연했던 당시의 시대상도 고발한다.
“여성의 지성은 남자를 보필할 때에만 인정받을 수 있고 여자가 남자를 능가할 만큼 눈치가 없으면 진정으로 똑똑한 게 아니”라거나 “모성과 처녀성이 다 있는 여인상이라는 게 무슨 뜻이야?”
라는 문장은 소설의 무대가 된 시대가 고작 40년 전이라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70년대의 젠더 감수성은 무지 그 자체였다.
“군대의 비극은 섞인다는 것”이라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문장을 인용하며 유경은 타인과 섞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 실감하게 된다. 20대의 여대생들이 모인 기숙사에서 그녀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가진 개별적인 자이였다. 너무나 달랐지만 ‘섞임’을 강요하는 체제에 순응해야 했고 거부하는 순간 경계 밖으로 가차 없이 밀려났다. 암울했던 군사독재 시대의 그늘은 여대 기숙사에도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기숙사에 우연히 숨어든 남학생이 시국 사건과 관련한 수배자로 밝혀지면서 ‘방장’ 격인 최성옥은 퇴학을 당하고 그와 친했던 송선미는 자퇴를 하고 만다. 유경 자신도 학보사 기자 일을 그만두게 된다. 또래 여대생들은 각자의 ‘다름’이 필연적으로 나갈 수 밖에 없는 ‘섞임’ 의 파도에 이리 저리 휘둘리면서 ‘이해’ 보다는 ‘오해’에 가까운 방식으로 함께 할 수 밖에 없었다. ‘다름’ 과 ‘섞임’을 오가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 위해 발버둥쳤지만 매 순간 당도한 무수한 선택지 앞에서 그녀들은 빛과 어둠을 통과해 서투르게 앞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었다. ‘기숙사’ 라는 폐쇄된 공간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딜 준비를 하는 청춘들이 미리 경험하는 인생 학습장이었다.
내가 기억하는 은희경은 <새의 선물>의 진희가 그 시작이다. 나와 자아를 철저하게 분리해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 했던 진희는 시종일관 냉소적인 시선을 견지한다. 반면 <빛의 과거> 속 유경은 자신을 타자화한 친구의 글을 통해 과거의 자신과 강제로 대면해야 했다. 유경은 누구에게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치명적 약점이 있었다. 말을 더듬는 것이었다. 드러나기 보다는 숨으려 했고 매사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이 때문이었다. 하지만 희진은 유경의 약점에 대해서도 한마디로 일갈했다. “회피야말로 가장 비겁한 악이다” “그 정도를 치명적 장애나 결핍이라도 되는 듯이 감추려 들고 괴로워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와 결핍을 가까이에서 본 적 없는 그녀의 ‘공주다움’이었다.” 라고. 결국 유경은 희진의 시선으로 바라본 자신의 모습 받아들이고 일부로 인정하게 된다.
“김희진이 소설에 쓴 대로 그때의 나는 허위의식과 자기방어의 성채에 갇혀 있었고 둘 중 어떤 것을 건드리든 비관적으로 변하게 돼 있었다. 비관은 가장 손쉬운 선택이다.” “그리고 이제 세상이 뭔가 잘못됐다면 그 시스템 안에서 살아남으려 했던 나의 수긍과 방관의 몫도 있다는 것을 알 나이가 되었다.” 고 한 유경의 고백은 기성세대로서의 책임과 과오에 대한 작가 은희경의 회한으로도 들린다. 소설이 삶을 재현하려는 시도라고 했을 때 <빛의 과거> 가 재현한 시대 역시 우리의 이야기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시간을 함께 했던 지인들의 기억속에서 나는 어떻게 편집되고 재편되어 존재하고 있을까?
그날은 이모집에 손님이 왔다. “어머, 웬 애들이 이렇게 많아?” 거실에서 나긋나긋한 서울말이 들려왔고 연이어 이모의 “응, 시골에서 온 조카들이야” 라는 목소리도 들려왔다. 순간 크나큰 충격에 휩싸였다. 나와는 상관없는 명사라고 생각했던 ‘시골’ 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질감은 생경했고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듯 얼얼하기 까지 했다. ‘한국의 3대도시’ 중 하나에서 살았던 나는 내가 살고 있는 곳을 시골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시골이라면 으레 떠오르기 마련인 논이나 밭, 소나 닭이 등장하는 마당은 내가 살았던 도시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 그림이었다. 이모는 어린 나의 자존심을 여지없이, 그리고 잔인하게 밟아버렸다. 한 순간에 시골 촌놈으로 전락(?)한 그 날의 기억이 왜 이다지도 선명하게 남아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표면적으로 <빛의 과거>는 지방 출신의 학생이 서울의 여대에 입학하면서 겪는 청춘의 방황과 성취, 좌절과 고민을 담고 있다. 대학 신입생이 마주한 계급 차이, 서울과 지방의 격차 등도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기상과 통금시간, 점호, 면회와 전화 등 군대생활을 연상시키는 기숙사의 일과와 규칙은 70년대의 시대상을 그대로 보여주었고 수업거부, 봄의 축제, 음악 감상실, 기숙사 오픈 하우스 등은 아련한 대학시절의 낭만을 떠올리게 했다.
작가가 된 희진이 기숙사 시절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 위하여’를 출간한다. 유경은 책을 통해 자신의 과거와 마주하게 되지만 “그녀가 본 세상이 내가 본 것과 너무도 달랐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한다. 기억이 왜곡되고 재편되는 이유일 것이다. 분명 같은 사건을 겪었지만 시간이 지나 얘기를 나눠보면 전혀 다르게 그 상황을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할 때가 있다. 심지의 ‘팩트’ 마저 다르게 기억하기도 한다.
“나는 나를 누구라고 알고 살아왔던 걸까.”
“과거의 내가 나 자신이 알고 있던 그 사람이 아니라면 현재의 나도 다른 사람일 수밖에 없다.”
희진의 소설에 등장하는 나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처럼 묘사되었고 유경 역시 희진을 오해하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희진이 감당해야 했던 고독과 가난, 그리고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받은 모욕을 유경은 그녀의 소설을 통해 비로소 알게 된다. 소설을 매개로 펼쳐진 과거의 기억은 픽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과장되거나 인물을 희화할 수는 있지만 팩트조차 자신의 기억과 다르게 그려졌다는 사실 앞에서 유경은 기억의 본질에 의문을 품게 된다.
“여러 사람과 공유한 시간이므로 누구도 과거의 자신을 폐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편집하거나 유기할 관리 정도는 있지 않을까?
희진의 시점에 거부감을 느낀 유진의 항변이다. 하지만 편집하고 유기한 기억이 ‘진정한 나’ 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누구의 기억이 진실인가?’ 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기억이 서로 다를 수 있고 그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서 ‘끝내 만져보지 못할 빛’ 의 과거 속으로 시간 여행을 떠날 수 있다면 족하지 않을까.
소설은 성차별이 만연했던 당시의 시대상도 고발한다.
“여성의 지성은 남자를 보필할 때에만 인정받을 수 있고 여자가 남자를 능가할 만큼 눈치가 없으면 진정으로 똑똑한 게 아니”라거나 “모성과 처녀성이 다 있는 여인상이라는 게 무슨 뜻이야?”
라는 문장은 소설의 무대가 된 시대가 고작 40년 전이라는 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70년대의 젠더 감수성은 무지 그 자체였다.
“군대의 비극은 섞인다는 것”이라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문장을 인용하며 유경은 타인과 섞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 실감하게 된다. 20대의 여대생들이 모인 기숙사에서 그녀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가진 개별적인 자이였다. 너무나 달랐지만 ‘섞임’을 강요하는 체제에 순응해야 했고 거부하는 순간 경계 밖으로 가차 없이 밀려났다. 암울했던 군사독재 시대의 그늘은 여대 기숙사에도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기숙사에 우연히 숨어든 남학생이 시국 사건과 관련한 수배자로 밝혀지면서 ‘방장’ 격인 최성옥은 퇴학을 당하고 그와 친했던 송선미는 자퇴를 하고 만다. 유경 자신도 학보사 기자 일을 그만두게 된다. 또래 여대생들은 각자의 ‘다름’이 필연적으로 나갈 수 밖에 없는 ‘섞임’ 의 파도에 이리 저리 휘둘리면서 ‘이해’ 보다는 ‘오해’에 가까운 방식으로 함께 할 수 밖에 없었다. ‘다름’ 과 ‘섞임’을 오가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 위해 발버둥쳤지만 매 순간 당도한 무수한 선택지 앞에서 그녀들은 빛과 어둠을 통과해 서투르게 앞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었다. ‘기숙사’ 라는 폐쇄된 공간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딜 준비를 하는 청춘들이 미리 경험하는 인생 학습장이었다.
내가 기억하는 은희경은 <새의 선물>의 진희가 그 시작이다. 나와 자아를 철저하게 분리해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 했던 진희는 시종일관 냉소적인 시선을 견지한다. 반면 <빛의 과거> 속 유경은 자신을 타자화한 친구의 글을 통해 과거의 자신과 강제로 대면해야 했다. 유경은 누구에게도 드러내고 싶지 않은 치명적 약점이 있었다. 말을 더듬는 것이었다. 드러나기 보다는 숨으려 했고 매사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이 때문이었다. 하지만 희진은 유경의 약점에 대해서도 한마디로 일갈했다. “회피야말로 가장 비겁한 악이다” “그 정도를 치명적 장애나 결핍이라도 되는 듯이 감추려 들고 괴로워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와 결핍을 가까이에서 본 적 없는 그녀의 ‘공주다움’이었다.” 라고. 결국 유경은 희진의 시선으로 바라본 자신의 모습 받아들이고 일부로 인정하게 된다.
“김희진이 소설에 쓴 대로 그때의 나는 허위의식과 자기방어의 성채에 갇혀 있었고 둘 중 어떤 것을 건드리든 비관적으로 변하게 돼 있었다. 비관은 가장 손쉬운 선택이다.” “그리고 이제 세상이 뭔가 잘못됐다면 그 시스템 안에서 살아남으려 했던 나의 수긍과 방관의 몫도 있다는 것을 알 나이가 되었다.” 고 한 유경의 고백은 기성세대로서의 책임과 과오에 대한 작가 은희경의 회한으로도 들린다. 소설이 삶을 재현하려는 시도라고 했을 때 <빛의 과거> 가 재현한 시대 역시 우리의 이야기임에 틀림없다.
과거의 시간을 함께 했던 지인들의 기억속에서 나는 어떻게 편집되고 재편되어 존재하고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