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에서 맞았던 한 성탄절에 있었던 일이다. 고객과 친구, 지인들에게 성탄을 복되게 보내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이 중에는 무슬림 친구와 지인들도 있었다. 이상하지 않은 일이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명절이 되면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끼리도 서로의 명절을 축하해 주고 때로는 집을 방문하여 음식을 나누거나 이웃에 선물 꾸러미 등을 나누어 주기도 하는 전통이 있다. 무슬림이 아닌 필자도 이슬람 명절에 초대되어 명절 음식을 나누며 교제한 적이 많다.
[인도네시아 톡톡] '메리 크리스마스' 사라져 가는 인니 성탄절
그런데 그 해 성탄절 인사 후 받은 답장 중에는 껄끄러운 것도 있었다. 내용은 이러했다. ‘성탄 인사 고마워. 하지만 난 무슬림이기 때문에 네가 기념하는 방식으로 성탄절을 기념하지는 않아. 이걸 꼭 얘기해야 할 것 같아. 즐거운 휴일 보내길 바래’.

얼핏 당황스럽고 무례하게까지 느껴질 수 있는 메시지이다.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 할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최대한 정중하게 ‘메리 크리스마스’ 인사를 되돌려 주기 위해 많이 고민한 흔적이 보이기도 했다.

올해 성탄절에도 한 무슬림 지인은 SNS에 성탄절을 보내는 상태 메시지를 적으면서 굳이 ‘종교적 절기’ 가 아닌 ‘휴일’ 로서의 성탄절을 기념한다는 언급을 빼놓지 않았다. 이 지인은 몇 년전 성탄절에도 SNS에 이웃들이 선물꾸러미를 주었는데 이 꾸러미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어떻게 하면 이웃들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고 관계를 해치지 않으면서 선물들을 돌려줄 수 있을지에 대한 장문의 고민을 나누기도 하였다.

왜 무슬림들이 성탄 선물과 인사를 어떻게 되돌려 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일까?

10년쯤 전 말레이시아에서 공부할 때 인도네시아 친구들이 해 준 이야기들이 떠올랐다. 얼마 전부터 일부 이슬람 종교지도자들이 성탄절에 기독교인 이웃과 친구들에게 ‘메리 크리스마스’ 라고 인사하고 성탄을 함께 기념하는 것이 율법에 어긋난다는 입장을 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런 행위가 성탄절에 담긴 기독교 교리에 대한 동의로 해석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요즈음에는 SNS나 유투브를 통해 종교지도자들의 이런 발언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큰 영향력이 있는 한 대중설교자는 3년 전 쯤 무슬림이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인사하는 것이 살인보다 더 큰 죄일 수 있다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

크리스마스 장식과 의상도 많이 사라졌다. 2016년 인도네시아 최고 종교지도자 기구인 ‘인도네시아 울라마 회의(MUI, Majlis Ulama Indonesia)’는 무슬림이 성탄절 장식을 하거나 의상을 입는 것이 율법에 어긋난다는 해석(파트와)을 냈다. 도시에 따라서는 몰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크리스마스 장식을 비공식적으로 금지하는 조치들도 내려지고 있다. 2016년 MUI 발표 이후 자카르타에서도 몰 같은 곳에서 크리스마스 장식과 노래가 많이 사라졌다.

이와 같은 변화는 율법을 엄격하게 해석하고 지키는 무슬림이 많아지는 최근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다양성과 관용의 원칙을 밝힌 국시 ‘빤짜실라’를 우선시 하는 입장을 가진 이들은 이런 변화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두렵기도 하다. 이번 성탄절에도 대통령이 나서 성탄절이 인도네시아의 다양성과 관용을 나타내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다른 목소리도 있다. 이슬람 종교지도자 중에 ‘메리 크리스마스’라는 인사가 율법에 비추어 볼 때 문제가 없다고 의견을 밝히는 이도 많다. 이번 성탄절이 지난 후에도 무슬림들이 기독교인인 이웃들의 예배 안전을 지켜 준다던지, 종교가 다른 이웃들이 함께 성탄을 축하한다던지 하는 미담들도 언론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 톡톡] '메리 크리스마스' 사라져 가는 인니 성탄절
이러한 가운데 자카르타에서 인기가 높은 한국계 제과업체가 관계된 해프닝도 있었다. 이 업체의 한 점포에서 크리스마스 케잌에 ‘메리 크리스마스’ 같이 성탄절 관련 인사 문구를 새기는 것을 할랄 인증을 이유로 해 줄 수 없다는 공지를 내 건 것이다. (지난 10월 17일부터 인도네시아에서 판매, 유통되는 모든 제품은 할랄 인증을 득해야 한다는 내용의 新할랄법이 시행 중이다.)

이 일이 화제가 되자 할랄 인증 업무를 수행해 왔던 ‘인도네시아 울라마 회의(MUI)’는 이 점포의 조치가 지나치다며 케잌에 성탄 인사를 새긴다고 하여 할랄이 아닌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내 놓았다. 해당 제과회사도 논란이 커지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이 공지는 점포 매니저의 개인적 행위일 뿐 회사의 공식 방침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막으려 하였다.

해당 점포의 대응이 지나쳐 보이기도 하지만 이해가 되기도 한다. 외국계 회사들은 종교 관련 이슈에 대해 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당 회사는 몇 년 전 자사 제품이 할랄이 아니라는 가짜뉴스에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했다. 외국계 회사라는 점 때문에 더 쉽게 표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는 新할랄법 시행과 사회 분위기에 맞춰 점포 차원에서 그 나름대로 대응을 했는데 반대로 인도네시아의 다양성과 관용이 축소되는 사례로 소개가 된 것이다. 모자라지도 지나치지도 않게 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최근 인도네시아 사회가 보다 종교적이 되면서 지금까지 전혀 문제가 아니었던 일들이 갑자기 논란을 일으키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성탄절마다 반복되는 ‘메리 크리스마스’를 둘러싼 소모적 논란이야말로 이러한 현상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인도네시아인들과 교류하며 살아가야 하는 외국인들도 싫든 좋든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지금까지 당연했던 것들을 더 이상 당연하게 여길 수 없는 불편도 감수해야 할 것 같다.

* 위 내용은 필자 소속기관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양동철 한경닷컴 칼럼니스트(crosus@koreaexi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