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에서 70대 어른과 청년들의 말다툼이 있었다. 하마터면 경로석 어른들과 서 있던 젊은이들 사이에서 패싸움이 날뻔했다. 양쪽의 분위기를 살펴보니 모두들 분노에 찬 목소리였고, 악에 받친 눈빛은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어쩌다가 사회가 이렇게 무서워졌을까? “나 때는 안 그랬다.” 라고 말하면서, “라떼는 말이야(Latte is Horse.)” 라는 우스개 소리를 지껄이는 것이 즐겁지 않은 요즘이다.
지저분한 공장이나 멋들어진 회사나 이력서만 내면 오라는 곳이 밀려 있고, 일할 사람이 부족해서 인재를 찾으려는 기업가와 경영자가 넘쳤던 시절이 있었다. 국민소득 120달러에서 2만달러를 넘어가던 60년대부터 70년대를 지나 88 올림픽이 열리던 30년간이 그랬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록 발전과 성장을 구가하던 대한민국이 최근 10년동안 제자리걸음을 하던 와중에, 코로나바이러스까지 몰려와 세상이 뒤집어지고 세계가 혼돈으로 빠져드는 지금, 청년들의 얼굴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노인들의 목소리엔 분노가 깔려 있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미래는 두려움으로 가득 찼다.
“대책이 있습니까? 정부는 정말로 일자리 만들 능력이 있는 겁니까?”라고 묻는 젊은이들에게 정확한 답을 줄 수 있는 정부 당국자는 거의 없다. 이렇게 힘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나 대책(Alternatives and Options)”을 마련할 만한 능력이나 자질을 갖춘 리더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20여 년 동안의 정책 당국자들이나 정부관료들의 공통점은 통치철학이 없고, 실력이 없으면서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고 자기네 편만 드는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다름을 존중하지 않으면서, 편을 가르고 분열을 시키면서 그걸 “권력 유지의 전략”으로 쓰고 있다.
답답하기는 청춘이나 어른이나 마찬가지다. 몇몇 젊은이들과 토론을 하면서 대안을 찾아보고 대책을 마련하자고 이야기를 꺼냈으나 별 뾰족한 수가 없었다. 한국만 그런 게 아니고, 전 세계가 똑 같은 환란에 빠졌으니 명백한 대책이 있을 리가 없다. 그렇다고 이대로 주저앉을 수야 없지 않은가?
이런 와중에도 잘나가는 기업이 있고, 잘 팔리는 상품이 있고, 줄을 서는 식당이 있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국은 “실력과 품질”이다. 음식이나 게임이나, 책이나 자동차나 모두 품질이 좋으면 팔리고, 멀어도 맛있으면 찾아 간다. 실력이 있으면 갈 곳이 있다. 그건 역사가 증명한다. 그 실력은 또한 땀과 눈물, 핏방울의 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국회는 꿈을 잃은 청년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똑바로 가르칠 의무가 있다. 잔꾀부리지 말고, 잔재주로 젊은이들을 속이지 않아야 한다. 정부정책의 잘못을 인정하고, 유능한 인재를 영입하여 국가경제를 살릴 묘수를 찾아야 한다. 최근 신문에 경제 안보 교육 전문가들의 글이 눈에 띈다. 한국경총의 리더를 지낸 분이나 글로벌 무대에서 움직이는 분들의 조언과 전략 제안이 간혹 폐부를 찌른다. 그러나 고위공직자들은 모른 체 하고, 듣지도 않는 듯 하다.
청년들의 임무와 책임도 있다. 분노할 시간에 책을 읽고, 외국어 공부를 하고, 기술을 배워야 한다. 중소기업이든 공사판이든 찾아가서 무슨 일이든 해야 한다. 벽돌을 쌓거나 기왓장을 나르는 것도 실력이다. 용접기술로 예술작품을 만드는 사람도 있고, 디자인을 하면서 커피심부름을 하는 직원도 있다.
배운다는 마음으로 참고 견뎌야 한다. 급여의 수준이나 근로조건을 따질 때가 아니다. 정부에서 주장하는 최저임금이나 주 52시간의 거짓말에 속을 때가 아니다. 불러주면 가야 한다. 무슨 일에서나 배울 게 있고 얻는 게 있다. 고객의 바짓가랑이를 잡고, 엎드려 빌어도 괜찮다. 인생과 비즈니스 세계에 정답은 없다.
뉴욕타임즈와 BBC, Al Jazeera 등 외신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 전염병 대유행 이후(Post-Pandemic)”에는 2차 세계대전이나 세계 대공황보다 더 힘든 세월이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자세 또한 그렇게 힘들었던 시절을 견디어 낸 것만큼 버틸 수 있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
“요즘 그럴 사람이 어디 있습니까?”라고 되묻는 이가 있다. 옛날에는 그랬다. 지금도 그렇다.
“요즘 우리 젊은이들, 끈기가 없고 참을성이 없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 옆 사무실 여직원의 말이다.
※ 필자의 의견은 한경닷컴의 공식적인 견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홍석기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한국강사협회 회장 역임, 소설, “시간의 복수” 저자, 대학 및 기업체 전문 강사)
배우 김새론 씨(25)가 16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경찰에 따르면 서울 성동경찰서는 김 씨가 이날 오후 5시께 서울 성동구 행당동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는 지인의 신고를 받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외부 침입 흔적이나 타살 정황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새론은 2022년 5월 음주운전을 하다 가로수, 변압기 등을 들이받고 도주하는 사고를 내 벌금 2000만원을 확정 받았다. 이후 활동을 중단하고 자숙해 왔다.경찰 관계자는 “정확한 사망 경위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류병화 기자 hwahwa@hankyung.com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길원옥 할머니가 향년 97세의 나이로 16일 별세했다. 이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7명으로 줄었다.신영숙 여성가족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길 할머니 별세 소식을 전하면서 "길원옥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국내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셨던 분"이라고 고인을 설명했다.이어 "또 한 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떠나보내게 되어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면서 "생전에 많은 풍파를 겪으셨던 만큼 평안을 찾으시길 바란다"고 영면을 바랐다.길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남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7명이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모두 240명으로, 233명이 세상을 떠났다.생존자의 지역별 거주지는 서울과 대구, 경북, 경남 각 1명, 경기 3명이다.연령별로는 90∼95세 2명, 96세 이상 5명이다. 평균 연령은 95.7세다.신 직무대행은 "여성가족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께서 편안한 여생을 보내실 수 있도록 면밀히 살펴 지원하는 한편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 지속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