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시] 뛰어난 시는 고심(苦心) 넘어 무심(無心)에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날이 개다(新晴)
새로 갠 날씨 좋아 초가 정자에 들르니
살구꽃 새로 영글고 버들가지 푸르네.
시가 이뤄지는 건 무심한 곳에 있는데
애써 먼지 낀 책에서 영감을 구걸했네.
爲愛新晴寄草亭 杏花初結柳條靑
詩成政在無心處 枉向塵編苦乞靈
고려 말 문사 이숭인(李崇仁·1349~1392)의 시다. 맑게 갠 봄날 풍광으로 시의 원리를 일깨워준다. 여기저기 덧칠하고 꾸며낸 언사가 아니라 비온 뒤 벙그는 꽃망울과 버들가지 빛깔처럼 맑고 선명한 것이 좋은 시라는 것이다. ‘뛰어난 시의 바탕은 고심(苦心)이 아니라 무심(無心)’이라는 이치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
어릴 때부터 글솜씨가 특출했던 그는 일찌감치 이를 체득했던 모양이다. 그 덕분에 16세에 급제해서 21세에 태학(太學) 교수가 되고 이후에도 승진을 거듭했다. 23세 때에는 명나라 과거에 응시할 고려 문사(文士)를 뽑는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했으나 너무 어리다(25세에 미달) 해서 떠나지 못하기도 했다.
얼마나 뛰어났으면 이색(李穡)이 “이 사람의 문장은 중국에서 구할지라도 많이 얻지 못할 것”이라고 극찬할 정도였다. 실제로 명나라 태조가 그의 표문(表文)을 보고 “표의 문사가 참으로 놀랍다”고 했고, 중국 사대부들도 탄복했다.
명 태조가 그를 한번 보고 싶다고 해서 1386년(우왕 12년) 정조사(正朝使)로 방문했는데, 최고의 환대와 파격적인 예우를 받았다. 황제는 고관들과의 경연에서 그의 재질이 단연 돋보이자 관위에다 백옥을 얹어 문창성(文昌星)을 표시하고 관복 한 벌, 벼루 한 개를 따로 선물했다. 그 벼루는 지금도 후손인 성주 이씨 종가에 보관돼 있다.
그러나 격랑의 시절 탓에 많은 옥고와 유배를 당해야 했고, 조선 개국에 동참하지 않았다가 결국 귀양지에서 장살되고 말았다. 그가 유배지에서 오랜 벗 권근과 주고받은 시 속에도 그의 서늘한 시 정신과 무심필법(無心筆法)이 살아 있다. 권근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새 정권에서 요직을 섭렵했다. 뜻을 달리하는 바람에 한 사람은 권부의 중심으로, 한 사람은 변방의 적소로 가야 했으니 얄궂은 운명이다.
유배 중인 이숭인은 권근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썼다.
‘한 줄기 시내는 맑고 사방 산은 깊으니/ 세상 밖의 마음이라 한낮에도 그윽하구나./ 서울이라 벗님네 편안히 지내시는가./ 인편을 만나거든 소식이나 전해주오.’
며칠 후 권근의 답이 도착했다.
‘문밖에는 누런 먼지 깊이가 만 길이라/ 서울에 봄이 오니 나 홀로 마음 상하네./ 알겠구나, 그대의 한낮 그윽한 맛/ 이곳 속세를 향해서 이야기를 말아 주오.’
누런 먼지가 만 길이나 덮인 서울이라 봄이 와도 봄인 줄 모르고 홀로 마음만 상한다는 것이었다.
이숭인의 시에 속기(俗氣)가 없고 고아한 것은 ‘제승방(題僧房)’에서도 마찬가지다. ‘오솔길 하나로 산이 남북으로 갈리었고/ 송홧가루는 비 머금어 마구 날리네./ 도인은 우물물 길러 초가집으로 돌아가고/ 한 줄 푸른 연기 흰 구름을 물들이는구나.’
고차원적 승화의 심상이 선경처럼 높고 맑다. 애써 만들려는 솜씨보다 저절로 이뤄지는 관조의 느낌이랄까. 게다가 비 머금은 송홧가루 사이로 흰 구름을 물들이는 한 줄 푸른 연기라니! 천의무봉의 감응이 따로 없다.
이숭인
새로 갠 날씨 좋아 초가 정자에 들르니
살구꽃 새로 영글고 버들가지 푸르네.
시가 이뤄지는 건 무심한 곳에 있는데
애써 먼지 낀 책에서 영감을 구걸했네.
爲愛新晴寄草亭 杏花初結柳條靑
詩成政在無心處 枉向塵編苦乞靈
고려 말 문사 이숭인(李崇仁·1349~1392)의 시다. 맑게 갠 봄날 풍광으로 시의 원리를 일깨워준다. 여기저기 덧칠하고 꾸며낸 언사가 아니라 비온 뒤 벙그는 꽃망울과 버들가지 빛깔처럼 맑고 선명한 것이 좋은 시라는 것이다. ‘뛰어난 시의 바탕은 고심(苦心)이 아니라 무심(無心)’이라는 이치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
어릴 때부터 글솜씨가 특출했던 그는 일찌감치 이를 체득했던 모양이다. 그 덕분에 16세에 급제해서 21세에 태학(太學) 교수가 되고 이후에도 승진을 거듭했다. 23세 때에는 명나라 과거에 응시할 고려 문사(文士)를 뽑는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했으나 너무 어리다(25세에 미달) 해서 떠나지 못하기도 했다.
얼마나 뛰어났으면 이색(李穡)이 “이 사람의 문장은 중국에서 구할지라도 많이 얻지 못할 것”이라고 극찬할 정도였다. 실제로 명나라 태조가 그의 표문(表文)을 보고 “표의 문사가 참으로 놀랍다”고 했고, 중국 사대부들도 탄복했다.
명 태조가 그를 한번 보고 싶다고 해서 1386년(우왕 12년) 정조사(正朝使)로 방문했는데, 최고의 환대와 파격적인 예우를 받았다. 황제는 고관들과의 경연에서 그의 재질이 단연 돋보이자 관위에다 백옥을 얹어 문창성(文昌星)을 표시하고 관복 한 벌, 벼루 한 개를 따로 선물했다. 그 벼루는 지금도 후손인 성주 이씨 종가에 보관돼 있다.
그러나 격랑의 시절 탓에 많은 옥고와 유배를 당해야 했고, 조선 개국에 동참하지 않았다가 결국 귀양지에서 장살되고 말았다. 그가 유배지에서 오랜 벗 권근과 주고받은 시 속에도 그의 서늘한 시 정신과 무심필법(無心筆法)이 살아 있다. 권근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새 정권에서 요직을 섭렵했다. 뜻을 달리하는 바람에 한 사람은 권부의 중심으로, 한 사람은 변방의 적소로 가야 했으니 얄궂은 운명이다.
유배 중인 이숭인은 권근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썼다.
‘한 줄기 시내는 맑고 사방 산은 깊으니/ 세상 밖의 마음이라 한낮에도 그윽하구나./ 서울이라 벗님네 편안히 지내시는가./ 인편을 만나거든 소식이나 전해주오.’
며칠 후 권근의 답이 도착했다.
‘문밖에는 누런 먼지 깊이가 만 길이라/ 서울에 봄이 오니 나 홀로 마음 상하네./ 알겠구나, 그대의 한낮 그윽한 맛/ 이곳 속세를 향해서 이야기를 말아 주오.’
누런 먼지가 만 길이나 덮인 서울이라 봄이 와도 봄인 줄 모르고 홀로 마음만 상한다는 것이었다.
이숭인의 시에 속기(俗氣)가 없고 고아한 것은 ‘제승방(題僧房)’에서도 마찬가지다. ‘오솔길 하나로 산이 남북으로 갈리었고/ 송홧가루는 비 머금어 마구 날리네./ 도인은 우물물 길러 초가집으로 돌아가고/ 한 줄 푸른 연기 흰 구름을 물들이는구나.’
고차원적 승화의 심상이 선경처럼 높고 맑다. 애써 만들려는 솜씨보다 저절로 이뤄지는 관조의 느낌이랄까. 게다가 비 머금은 송홧가루 사이로 흰 구름을 물들이는 한 줄 푸른 연기라니! 천의무봉의 감응이 따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