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과 함께 사는 세상 -반려견과 사람 사이, 규칙이 필요하다

(출처 : 이미지투데이)


“앉아, 라고 아무리 말해도 안 들어요. 저한테 반항하는 건가요?”

세 살짜리 개를 데려온 보호자가 나에게 묻는다. 그는 상담 받는 동안 수시로 개에게 “이리 와.”, “하지 마!”, “앉아, 앉으라고!” 등등의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개는 아랑곳 않고 병원 안을 이리저리 돌아다녔고, 그 때마다 그는 분통을 터뜨렸다.

“개를 복종시킬 수 있는 훈련법 좀 알려주세요.”

동물 행동의학 전문가이자 수의사로 오랫동안 반려동물을 돌보면서 느낀 것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과 동물의 관계를 상하복종관계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무조건 ‘안 돼!’, ‘하지 마!’, ‘야!’, ‘이리와’ 라는 식의 강압적으로 명령하는 복종훈련 방식은, 반려견의 두려움을 유발하겠지만 근본적으로 행동을 변화시켜 주진 않는다. 일시적으로 말을 듣는 것처럼 행동하더라도 다시 본래대로 돌아온다.

왜 그럴까? 일방적으로 금지하거나 허용하는 복종훈련은 동물의 기본적인 습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개가 짖거나 뭔가를 물어뜯고 달려드는 등의 행동을 싫어한다. 하지만 이는 개의 자연스러운 본능에서 나온 행동이다. 개가 사람처럼 말하고, 손으로 만지며, 두 팔을 뻗어 안을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은가.

사람들이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가 동물을 자꾸 의인화 한다는 것이다. 동물인데 사람 입장에서 되는 행동과 안 되는 행동을 정하고, 이렇게 혼을 내거나 야단을 치면 알아듣겠지, 이번에 따끔하게 이야기했으니 다음엔 안 그러겠지, 하고 믿는다. 이거야말로 사람의 착각이다. 동물은 동물이지, 사람이 아니다. 짖기, 물어뜯기, 달려들기, 냄새 맡기 등 반려견의 습성과 본능을 잘 이해한 후에 허용해줄 행동과 허용할 수 없는 행동을 구분하고, 이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고 존중해줄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즉, 규칙을 정해야 한다.

규칙은 사람과 동물의 관계를 상하복종관계가 아닌 상호존중관계로 만드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사람의 법이 사람 개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의무를 지키게 하여 다함께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존재하듯이, 사람과 반려견과의 규칙 역시 두 존재가 더불어 행복하게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어떤 사이든 상하복종관계로는 오래 갈 수 없다. 사람-동물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규칙을 잘 교육받은 반려견은 사람이 많은 공간에 데려가도 사고를 일으키지 않는다. 보호자는 안심이 되어 다양한 공간에 데려갈 수 있다. 반려견은 재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고 사람은 다치지 않으니, 모두에게 다 이득이다.

그렇다면 규칙은 언제부터 가르쳐야 할까? 반려견이 처음 집에 왔을 때부터 규칙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족끼리 충분한 이야기를 한 후 규칙을 정하는 것이다. 규칙을 가르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보호자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 전체가 일관된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보호자들이 반려견에게 그때그때 기분 내키는 대로 행동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예를 들어 어제 가족 식사 자리에서 짖었더니 간식을 받았는데, 다음 날 짖었더니 누군가는 혼내주고 다른 누군가는 간식을 준다면, 반려견이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반려견은 보호자에게 어제까지 허용 받은 행동은 오늘도, 내일도 허용 받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보호자가 규칙을 정하고 가족 모두가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좋은 행동, 나쁜 행동을 구분하여 좋은 행동은 강화 시켜 주고, 나쁜 행동은 억제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체벌을 하지 않아도 혼을 내지 않아도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긍정강화훈련이다. 잘한 행동은 칭찬하고 간식을 주고 스킨십을 해주어 강화시키고, 못한 행동을 나무래고 혼을 내기보다는 칭찬과 보상을 통해 학습을 하고 약속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반려견의 근본적인 행동 변화를 일으키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때문에 보호자는 귀찮다는 마음에 소홀해지거나 중도포기할 수 있다. 하지만 반려견의 문제행동을 방치하면 불의의 사고를 피할 수 없다. 귀찮더라도 기다려야 한다.

인터넷이나 TV 등 매체에서 10, 20분의 짧은 시간 안에 반려견의 행동이 바뀌는 것을 보여주어 사람들의 오해가 더 커진 면도 있다. 동물의 행동이 변화하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과 훈련이 필요한지, 그 훈련이 어떤 방식이었는지가 소개되지 않은 채 드라마틱한 결과만 나타나니 그럴 수밖에 없다. 나 역시 병원을 찾아오는 많은 분들로부터 “얼마나 걸려요”, “며칠이면 고칠 수 있나요?”라는 성급한 질문을 받는다. 우리가 원하는 건 ‘좋은 행동’이 쭉 가는 것이고, 그런 근본적 행동변화는 단시간에 가능하지 않다.

반려견 보호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은,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반려견을 천천히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라는 것이다. 처음부터 규칙을 가르치지 않아 늦은 것 같다고? 지금이라도 정해서 가르치자. 당신의 반려견과 오래오래 살고 싶다면 꼭 필요하다. 만약 반려견의 현재 상태가 문제견인지 아닌지에 대한 구분이 힘들면 가까운 동물병원이나, 반려견 행동의학치료 전문병원에서 수의사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 인구 천만 시대, 이제 우리의 사고도 발전할 때가 되었다. 복종훈련이 아닌 규칙 교육으로 행복한 반려견 문화를 만들어가자.

최인영 수의사

러브펫동물병원 대표원장

(타임스퀘어점, 홈플러스중계)

마이펫TV

신지의 궁금해요 펫닥터 행동학 수의사 MC

개같은 내인생 수의사 MC

TV조선 시그널 동물구조 수의사 출연중

한국동물산업교육원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