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빅이슈] 수백만 달러 증발…'51% 공격'이 뭐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요 암호화폐(가상화폐) 중 하나인 비트코인 골드(Bitcoin Gold), 버지(Verge)등에 잇따라 ‘51%공격’ 시도가 이어져 수백만 달러의 피해를 입게 되면서 이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51%공격이란 한 채굴자가 전체 해시파워의 과반수(51%) 이상을 독점해 무단으로 블록체인의 장부내용을 조작하는 공격 방법이다.
해시 파워란 일종의 연산 능력으로, ‘장부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 정도로 쉽게 풀어서 해석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채굴자가 해시파워의 과반 이상을 독점하게 되면 이들이 멋대로 장부를 수정하더라도 블록체인 시스템 상에서 이를 ‘진짜 장부’로 인식해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채굴자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채굴자가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는 경우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비트코인과 같이 채굴 경쟁이 심하고 채굴 비용이 높은 코인의 경우,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실상 51% 공격을 입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하지만 채굴 경쟁이 심하지않은 암호화폐들의 경우는 다르다. 거대한 자금력을 가진 특정 세력이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까지 시중의 암호화폐 중 51% 공격에 의해서 블록체인이 붕괴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렇게 51% 공격을 당하게 되는 순간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장부가 조작되었다는 점을 즉시 인지할 수 있어서다.
51% 공격에 의해 해당 블록체인의 장부가 왜곡되었다고 알려지게 되면, 순식간에 암호화폐의 가치가 폭락하게 되어 공격자들 역시 금전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51% 공격의 파괴력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51% 공격을 시도하는 순간 역설적으로 해킹한 암호화폐의 가치가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해킹 빈도나 위험성에 비교하자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전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시중 암호화폐의 개발진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복합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각종 패치등을 통해 암호화폐의 무결성을 계속해서 높여 나가고 있다.
김산하 윤혁민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51%공격이란 한 채굴자가 전체 해시파워의 과반수(51%) 이상을 독점해 무단으로 블록체인의 장부내용을 조작하는 공격 방법이다.
해시 파워란 일종의 연산 능력으로, ‘장부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 정도로 쉽게 풀어서 해석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채굴자가 해시파워의 과반 이상을 독점하게 되면 이들이 멋대로 장부를 수정하더라도 블록체인 시스템 상에서 이를 ‘진짜 장부’로 인식해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채굴자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채굴자가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는 경우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비트코인과 같이 채굴 경쟁이 심하고 채굴 비용이 높은 코인의 경우,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실상 51% 공격을 입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하지만 채굴 경쟁이 심하지않은 암호화폐들의 경우는 다르다. 거대한 자금력을 가진 특정 세력이 51%이상의 해시파워를 독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까지 시중의 암호화폐 중 51% 공격에 의해서 블록체인이 붕괴된 사례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렇게 51% 공격을 당하게 되는 순간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장부가 조작되었다는 점을 즉시 인지할 수 있어서다.
51% 공격에 의해 해당 블록체인의 장부가 왜곡되었다고 알려지게 되면, 순식간에 암호화폐의 가치가 폭락하게 되어 공격자들 역시 금전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51% 공격의 파괴력은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51% 공격을 시도하는 순간 역설적으로 해킹한 암호화폐의 가치가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해킹 빈도나 위험성에 비교하자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전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시중 암호화폐의 개발진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복합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각종 패치등을 통해 암호화폐의 무결성을 계속해서 높여 나가고 있다.
김산하 윤혁민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