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에서 가장 고민스러운 것 중의 하나가 거리이다. 많은 골퍼들이 거리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많은 골퍼들이 거리를 내는데 있어, 상체 꼬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상체가 얼마만큼 회전해야 하는지, 어느정도가 적당한 것인지에 대해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하면,
백스윙시에 정면에서 등이 보일 정도로 회전하면 좋다는 것을 동영상을 통해 본 골퍼가 있었다. 연습을 하면서 연습시간 내내 등을 많이 회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레슨이 시작되었다.
레슨은 질문을 시작되었다. 상체는 얼마까지 회전되어야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상체는 얼마나 회전해야 될까요? 라는 것이었다.
저는 회전을 가능한한 많이 해보라고 했고, 유연성이 많으신 분이라 등이 보일만큼 회전을 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가야 한다고 생각하셨다.
그렇다면, 꼬임이 만들어졌음에도 왜 상체를 더 가려고 할까요?
몸의 꼬임과 비트는 것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꼬임을 만들어지고 난후, 더 이상 안가도 될 백스윙의 회전으로 하체가 무너지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골프에서는 근육의 안정성과 이동성(가동성)을 통해 스윙을 만든다. 백스윙시에는 하체가 안정된 상태에서 상체가 가동범위까지 이동하면 된다. 더 많이 이동하려고 하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게 된다.
하체가 무너지면 아래의 그림처럼 어깨가 과하게 회전하여 몸이 비튼 것 처럼 바뀌게 되는 경우,
무게중심이 오른쪽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
리버스 피봇(Reverse Pivot)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지 않는 시점은 어딘가?
골퍼의 유연성에 따라 조금씩은 달라지지만, 하체가 무너지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런 상태는 하체의 무게 중심이 오른쪽 발 안쪽에 있는 경우, 오른쪽 무릎이 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오른쪽 골반이 오른쪽으로 빠지지 않는 경우처럼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하체의 근육들이 자연스럽게 꼬임을 위한 안정성을 갖추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체를 이동시키면 상체의 복근주변과 등근육이 꼬인 느낌이 나기 시작한다.
너무 많이 꼬으려고 한다면, 꼬임의 상태를 넘어 다시금 풀려버리게 된다.
고무줄을 꼬을때, 그 한계점에 닿으면 고무줄이 끊어지듯이, 사람의 신체도 과한 꼬임을 만들게 되면, 몸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꼬임의 형태를 다른 방식으로 풀어버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꼬임은 하체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가능하고 상체를 너무 많이 돌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거리를 내기 위해서 상체의 회전은 필요하다. 하지만 안가도 될 상체를 너무 많이 보내려고 한다면, 오히려 몸에 만들어진 꼬임이 풀려버릴지도 모른다.
이번 주는 자신의 백스윙을 점검하면서 덜 해도 될 회전으로 스윙이 망가지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바란다.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이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3000m 계주에서 아쉽게 메달을 놓친 가운데 마지막 주자였던 김길리가 눈물을 쏟았다. 최민정은 계주에서의 아쉬운 결과로 동계아시안게임 한국 선수 최다관왕 타이틀을 놓쳤지만 속상한 티를 내지 않고, 김길리를 위로했다.9일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일정을 모두 마친 여자 쇼트트랙 김길리는 취재진의 인터뷰에 응하고자 믹스트존에 들어섰다가 터지는 울음을 참지 못해 세 번이나 발길을 돌렸다.한국 쇼트트랙은 이번 대회 여자 종목에 걸린 4개의 금메달을 모두 노렸는데, 마지막 계주에서 메달을 놓쳤다. 경기 초반 1위를 달리던 한국은 결승선을 7바퀴 남겨두고 중국에 선두 자리를 내줬다가 다시금 1위로 올라서며 역전승을 노렸으나, 마지막 바퀴에서 김길리가 중국 궁리와 접촉하며 미끄러졌다. 궁리는 그대로 가장 먼저 결승선에 들어갔고, 한국은 4위로 통과했다.김길리는 "마지막에 언니들과 함께 시상대에 올라가 세리머니를 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 마지막에 내가 넘어지는 바람에 다 같이 시상대에 못 올라갔다"며 "너무 미안하고 아쉬운 마음"이라고 말했다.이어 레이스 당시를 떠올린 그는 "중국과 경쟁이 치열하고, 마지막 주자라 부담이 컸던 것 같다"며 "마지막에 살짝 실수하면서 중국 선수와 접촉이 생겨 넘어졌다"고 설명했다.연신 눈물을 닦아내던 김길리를 위로한 건 최민정이었다. 그는 비록 4관왕에 오르진 못했으나, 한국 여자 선수 최초로 동계 아시안게임 3관왕에 올랐다.최민정은 "길리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이해한다. 어릴 때부터 마지막 주자를 많이 했기에 그 부담감이 얼마나 큰지 잘
아시아의 얼음 위에서 한국보다 빠른 나라는 없었다. 한국 쇼트트랙이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압도적인 레이스를 펼치며 개막 사흘 만에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따냈다. ‘쇼트트랙 GOAT(Greatest Of All Time·역대 최고의 선수)’ 최민정(29)과 김길리, 박지원 등 간판스타들이 이끌고 장성우 등 신예가 뒷받침하며 역대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최다 금메달 타이 기록을 세웠다. 1년 앞으로 다가온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 대한 전망도 밝혔다.○불리한 여건에서도 中 압도중국 하얼빈은 한국에 의미가 큰 도시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며 한국의 독립 의지를 다진 곳이 바로 하얼빈이다. 한국의 아시아 최대 경쟁국인 중국에서 열린다는 점도 이번 대회에 의미를 더했다. 한국은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편파 판정의 피해를 보면서 ‘눈 뜨고 코베이징’이란 아픈 기억을 얻었다.이번 대회를 앞두고도 한국 대표팀에 불리한 여건이 이어졌다. 쇼트트랙 대회가 모두 오전에 열리는데 한국 대표팀의 공식 훈련은 모두 오후로 배정됐다. 훈련할 때 영상기기 반입도 저지당해 훈련 분석도 차단됐다. 좁은 경기장 트랙은 아웃코스 추월로 판정 논란을 피하는 한국 선수에게 더욱 불리하게 작용했다.하지만 한국은 메달 레이스 첫날인 지난 8일부터 5개 금메달 중 4개를 싹쓸이했다. 남자 500m 단 한 종목에서만 중국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에게 금메달을 내줬지만 이마저도 ‘밀어주기’ 의혹이 제기됐다.9일에도 한국 쇼트트랙은 질주를 멈추지 않았다. 여자 1000m에 나선 최민정은 아시안게임 기록을 두 차례나
LIV골프로 세계 무대에 첫발을 디딘 장유빈(23)이 데뷔전에서 출전선수 54명 가운데 공동 49위를 기록하며 높은 벽을 실감했다.장유빈은 지난 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리야드GC(파72)에서 열린 LIV골프 리야드(총상금 2500만달러) 대회 마지막 날 3라운드에서 버디 4개, 보기 5개로 1오버파 73타를 쳤다. 최종 합계 이븐파 216타를 기록한 그는 재미동포 선수 앤서니 김 등과 함께 공동 49위로 데뷔전을 마쳤다.장유빈은 2024시즌 한국프로골프(KPGA)투어를 주름잡은 간판스타다. 지난해 상금, 대상 포인트, 평균 타수 등 주요 부문을 석권한 그는 제네시스 대상자에게 주어지는 미국프로골프(PGA)투어 Q스쿨 기회를 포기하고 LIV골프행을 택해 LIV골프에 진출한 최초의 한국 선수가 됐다.하지만 데뷔전에서는 이렇다 할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그가 속한 아이언헤드팀 동료들 역시 하위권으로 개막전을 마쳤다. 데니 리(뉴질랜드)는 5언더파로 공동 33위, 주장 케빈 나(미국)는 1오버파로 공동 52위에 그쳤다.조수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