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를 내는 기본 - 상체꼬임은 어떻게 해야 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골프에서 가장 고민스러운 것 중의 하나가 거리이다. 많은 골퍼들이 거리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많은 골퍼들이 거리를 내는데 있어, 상체 꼬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상체가 얼마만큼 회전해야 하는지, 어느정도가 적당한 것인지에 대해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하면,
백스윙시에 정면에서 등이 보일 정도로 회전하면 좋다는 것을 동영상을 통해 본 골퍼가 있었다. 연습을 하면서 연습시간 내내 등을 많이 회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레슨이 시작되었다.
레슨은 질문을 시작되었다. 상체는 얼마까지 회전되어야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상체는 얼마나 회전해야 될까요? 라는 것이었다.
저는 회전을 가능한한 많이 해보라고 했고, 유연성이 많으신 분이라 등이 보일만큼 회전을 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가야 한다고 생각하셨다.
그렇다면, 꼬임이 만들어졌음에도 왜 상체를 더 가려고 할까요?
몸의 꼬임과 비트는 것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꼬임을 만들어지고 난후, 더 이상 안가도 될 백스윙의 회전으로 하체가 무너지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골프에서는 근육의 안정성과 이동성(가동성)을 통해 스윙을 만든다. 백스윙시에는 하체가 안정된 상태에서 상체가 가동범위까지 이동하면 된다. 더 많이 이동하려고 하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게 된다.
하체가 무너지면 아래의 그림처럼 어깨가 과하게 회전하여 몸이 비튼 것 처럼 바뀌게 되는 경우, 무게중심이 오른쪽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 리버스 피봇(Reverse Pivot)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지 않는 시점은 어딘가?
골퍼의 유연성에 따라 조금씩은 달라지지만, 하체가 무너지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런 상태는 하체의 무게 중심이 오른쪽 발 안쪽에 있는 경우, 오른쪽 무릎이 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오른쪽 골반이 오른쪽으로 빠지지 않는 경우처럼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하체의 근육들이 자연스럽게 꼬임을 위한 안정성을 갖추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체를 이동시키면 상체의 복근주변과 등근육이 꼬인 느낌이 나기 시작한다.
너무 많이 꼬으려고 한다면, 꼬임의 상태를 넘어 다시금 풀려버리게 된다.
고무줄을 꼬을때, 그 한계점에 닿으면 고무줄이 끊어지듯이, 사람의 신체도 과한 꼬임을 만들게 되면, 몸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꼬임의 형태를 다른 방식으로 풀어버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꼬임은 하체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가능하고 상체를 너무 많이 돌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거리를 내기 위해서 상체의 회전은 필요하다. 하지만 안가도 될 상체를 너무 많이 보내려고 한다면, 오히려 몸에 만들어진 꼬임이 풀려버릴지도 모른다.
이번 주는 자신의 백스윙을 점검하면서 덜 해도 될 회전으로 스윙이 망가지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바란다.
많은 골퍼들이 거리를 내는데 있어, 상체 꼬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상체가 얼마만큼 회전해야 하는지, 어느정도가 적당한 것인지에 대해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하면,
백스윙시에 정면에서 등이 보일 정도로 회전하면 좋다는 것을 동영상을 통해 본 골퍼가 있었다. 연습을 하면서 연습시간 내내 등을 많이 회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레슨이 시작되었다.
레슨은 질문을 시작되었다. 상체는 얼마까지 회전되어야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상체는 얼마나 회전해야 될까요? 라는 것이었다.
저는 회전을 가능한한 많이 해보라고 했고, 유연성이 많으신 분이라 등이 보일만큼 회전을 하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가야 한다고 생각하셨다.
그렇다면, 꼬임이 만들어졌음에도 왜 상체를 더 가려고 할까요?
몸의 꼬임과 비트는 것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꼬임을 만들어지고 난후, 더 이상 안가도 될 백스윙의 회전으로 하체가 무너지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골프에서는 근육의 안정성과 이동성(가동성)을 통해 스윙을 만든다. 백스윙시에는 하체가 안정된 상태에서 상체가 가동범위까지 이동하면 된다. 더 많이 이동하려고 하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게 된다.
하체가 무너지면 아래의 그림처럼 어깨가 과하게 회전하여 몸이 비튼 것 처럼 바뀌게 되는 경우, 무게중심이 오른쪽 바깥쪽으로 빠지는 경우, 리버스 피봇(Reverse Pivot)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하체의 안정성이 무너지지 않는 시점은 어딘가?
골퍼의 유연성에 따라 조금씩은 달라지지만, 하체가 무너지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런 상태는 하체의 무게 중심이 오른쪽 발 안쪽에 있는 경우, 오른쪽 무릎이 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오른쪽 골반이 오른쪽으로 빠지지 않는 경우처럼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하체의 근육들이 자연스럽게 꼬임을 위한 안정성을 갖추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체를 이동시키면 상체의 복근주변과 등근육이 꼬인 느낌이 나기 시작한다.
너무 많이 꼬으려고 한다면, 꼬임의 상태를 넘어 다시금 풀려버리게 된다.
고무줄을 꼬을때, 그 한계점에 닿으면 고무줄이 끊어지듯이, 사람의 신체도 과한 꼬임을 만들게 되면, 몸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꼬임의 형태를 다른 방식으로 풀어버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꼬임은 하체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가능하고 상체를 너무 많이 돌릴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거리를 내기 위해서 상체의 회전은 필요하다. 하지만 안가도 될 상체를 너무 많이 보내려고 한다면, 오히려 몸에 만들어진 꼬임이 풀려버릴지도 모른다.
이번 주는 자신의 백스윙을 점검하면서 덜 해도 될 회전으로 스윙이 망가지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