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근영의 블록체인 알쓸신잡] 패닉의 의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말 개당 2,500만 원이 넘었던 비트코인 가격이 10개월 만에 400만 원대로 추락했습니다.
최고가 대비 15% 수준으로 폭락한 것입니다.
이럴 때 언론에서는 ‘투자자 패닉’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합니다.
영어 패닉(panic)은 잠든 사람에게는 악몽을, 나그네에게는 공포감을 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목신(牧神) ‘판’이 부는 ‘팬파이프’ 소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이 팬파이프 소리를 들은 모든 생물이 뻗어 버렸다고 하는데 공포에 질려 꼼짝달싹 못 하는 상황을 패닉이라 부릅니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에게 패닉은 어떤 의미일까요?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는 것은 대개 시장이 급락할 때 나타납니다.
급격한 하락에 공포에 질려 앞뒤를 가리지 못하고 수중에 남아있던 형편없이 쪼그라든 잔돈푼이라도 건지려는 마음에 남은 물량을 모두 던져 버리는 행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행동은 가격이 완전 바닥에 도달했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그러나 이번 가격 하락으로 제 주변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예상외로 크게 동요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굳이 이유를 따져 본다면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폭락한 후에 나타난 하락이라 어느정도 손실에 대한 면역이 되어 있는 것도 이유가 있지만,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포크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나는 하락 현상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반면 언론에서 패닉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 이른바 고수들은 기민하게 행동 합니다.
이른바 폭락장에서 기회를 엿보는 것이지요.
역사적으로 투자에서 대박이 터지는 상황은 대개 이렇게 시장의 변동성이 극심할 때 대박이 나오고 영웅이 등장하게 됩니다.
제가 잘 아는 우리나라 파생시장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는 지인 S회장은 2008년도 금융위기 폭락장에서 일주일 만에 550억의 수익을 내는 기염을 토합니다.
알바트로스라 불리는 S회장 역시 역사상 몇번 없는 대규모 하락장, 즉 패닉장에서 기회를 잡은 사람입니다.
이렇게 투자의 세계에서는 안전한 국채나 초우량 기업의 채권에 투자해서 대박을 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물론 투자의 세계에서는 리스크 헷지가 최우선입니다.
하지만 리스크 헷지(Hedge)란 의미는 위험을 감수한 투자에만 해당되며 헷지 행위란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대담한 용기가 없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안전한 상품에 리스크 헷지를 걸어봐야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세상사 모든일은 항상 위기 속에 기회가 있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은 인류의 역사에서 증명되어 왔습니다.
거의 패닉 현상을 보이며 출렁이고 있는 현 시점의 암호화폐 시장을 바라보며, 필자는 앞으로 1년쯤 후에 그 누가 이런 패닉장에서 현명하게 대처했는지를 꼭 확인해 볼 생각입니다.
이렇듯 투자의 세계에서 ‘패닉’은 ‘기회’를 뜻합니다.
신근영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최고가 대비 15% 수준으로 폭락한 것입니다.
이럴 때 언론에서는 ‘투자자 패닉’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합니다.
영어 패닉(panic)은 잠든 사람에게는 악몽을, 나그네에게는 공포감을 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목신(牧神) ‘판’이 부는 ‘팬파이프’ 소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이 팬파이프 소리를 들은 모든 생물이 뻗어 버렸다고 하는데 공포에 질려 꼼짝달싹 못 하는 상황을 패닉이라 부릅니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에게 패닉은 어떤 의미일까요?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는 것은 대개 시장이 급락할 때 나타납니다.
급격한 하락에 공포에 질려 앞뒤를 가리지 못하고 수중에 남아있던 형편없이 쪼그라든 잔돈푼이라도 건지려는 마음에 남은 물량을 모두 던져 버리는 행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행동은 가격이 완전 바닥에 도달했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그러나 이번 가격 하락으로 제 주변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예상외로 크게 동요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굳이 이유를 따져 본다면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폭락한 후에 나타난 하락이라 어느정도 손실에 대한 면역이 되어 있는 것도 이유가 있지만,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포크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나는 하락 현상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반면 언론에서 패닉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면 이른바 고수들은 기민하게 행동 합니다.
이른바 폭락장에서 기회를 엿보는 것이지요.
역사적으로 투자에서 대박이 터지는 상황은 대개 이렇게 시장의 변동성이 극심할 때 대박이 나오고 영웅이 등장하게 됩니다.
제가 잘 아는 우리나라 파생시장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는 지인 S회장은 2008년도 금융위기 폭락장에서 일주일 만에 550억의 수익을 내는 기염을 토합니다.
알바트로스라 불리는 S회장 역시 역사상 몇번 없는 대규모 하락장, 즉 패닉장에서 기회를 잡은 사람입니다.
이렇게 투자의 세계에서는 안전한 국채나 초우량 기업의 채권에 투자해서 대박을 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물론 투자의 세계에서는 리스크 헷지가 최우선입니다.
하지만 리스크 헷지(Hedge)란 의미는 위험을 감수한 투자에만 해당되며 헷지 행위란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대담한 용기가 없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안전한 상품에 리스크 헷지를 걸어봐야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세상사 모든일은 항상 위기 속에 기회가 있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은 인류의 역사에서 증명되어 왔습니다.
거의 패닉 현상을 보이며 출렁이고 있는 현 시점의 암호화폐 시장을 바라보며, 필자는 앞으로 1년쯤 후에 그 누가 이런 패닉장에서 현명하게 대처했는지를 꼭 확인해 볼 생각입니다.
이렇듯 투자의 세계에서 ‘패닉’은 ‘기회’를 뜻합니다.
신근영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