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김범석, 120만주 매도 '로켓 먹튀'?…투자자들 오해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투자자들이 쿠팡 상장 5거래일만에 순매도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4거래일 연속 1000억원 가까이 순매수했던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격히 사그라들었다. 쿠팡 투자 열기가 급격히 사그라든 원인 중 하나는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의 120만주 매도 소식이다. 하지만 오해가 많다. 회사 대표가 차익실현을 위해 보유지분을 판 한국의 일부 사례와는 전혀 다른 맥락이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한국 투자자들은 지난 17일 쿠팡을 약 8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예탁결제원 통계는 거래 후 통계 반영까지 3거래일이 소요된다. 쿠팡이 뉴욕증시에 상장한 지난 11일부터 16일까지 한국 투자자들은 8818만달러(약 99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기간 해외주식 중 순매수 1위다.
하지만 5거래일만에 순매도로 전환했다. 지난 16일 김범석 의장이 120만주를 매도했다는 공시가 나온 영향이 컸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대표의 자사 주식 매도가 악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김 의장이 차익실현을 위해 투자자들을 등졌다", "로켓 먹튀냐"하는 비판의 소리가 터져나왔다. 미국 기업공개 시장의 특성에서 비롯된 오해에 가깝다는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지난 16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 공시사이트는 김 의장이 15일 클래스 A주식 120만주를 주당 35달러에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거래 날짜(Transaction Date)가 15일로 나와있는 탓에 투자자들과 대부분 언론은 15일에 매도를 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상장 후 가격이 치솟자 매도에 나섰다는 비판이 제기된 배경이다. 하지만 이는 실거래 날짜가 아니라 전산상 신고 처리가 완료된 날짜를 뜻한다.
실제 김 의장의 매도한 120만주는 쿠팡이 기업공개를 위해 준비한 구주매출 2000만주의 일부다. 구주매출이란 기존 주주의 주식을 파는 것을 말한다. 이 구주매출은 상장 후 시장에서 팔리는 게 아니라 기업공개되는 주식 수에 포함된다. 쿠팡은 이번 상장 과정에서 신주 1억주와 구주 2000만주를 합쳐 총 1억2000만주를 공모했다. 김 의장의 120만주는 공모주에 들어가있었기 때문에 이미 상장 전에 매도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15일날에는 어떤 거래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거래일로 알려진 15일 쿠팡의 최저 거래가격이 49.02달러였음에도 김 의장의 매도가가 35달러로 공시된 이유다.
이 같은 구주매출은 대표의 차익실현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국 기업공개 시장에서는 기업이 공모주 규모를 키워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표의 구주를 공모주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김 의장의 120만주 매도는 거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고, 이는 미국 기업공개 시장의 관행과도 같은 것"이라며 "차익실현을 할 거면 상장 후에 비싼 가격에 팔지 뭐하러 공모가인 35달러에 팔겠느냐"고 설명했다. 실제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도 기업공개 과정에서 3000만주를 구주 매출로 내놨다. 에어비앤비의 최고경영자인 브라이언 체스키도 63만주를 같은 방식으로 매도했다.
다만 쿠팡의 주가 수준을 놓고서 증권업계에서는 고평가 논란이 여전하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쿠팡이 상장하면서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았던 만큼 성장주가 흔들리는 국면에서 조정을 계속 받는 상황"이라며 "시장 수급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만큼 개인 투자자들이 유행을 좇아가듯 투자할 상황은 아니다"고 조언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한국 투자자들은 지난 17일 쿠팡을 약 8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예탁결제원 통계는 거래 후 통계 반영까지 3거래일이 소요된다. 쿠팡이 뉴욕증시에 상장한 지난 11일부터 16일까지 한국 투자자들은 8818만달러(약 99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기간 해외주식 중 순매수 1위다.
하지만 5거래일만에 순매도로 전환했다. 지난 16일 김범석 의장이 120만주를 매도했다는 공시가 나온 영향이 컸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대표의 자사 주식 매도가 악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김 의장이 차익실현을 위해 투자자들을 등졌다", "로켓 먹튀냐"하는 비판의 소리가 터져나왔다. 미국 기업공개 시장의 특성에서 비롯된 오해에 가깝다는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지난 16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 공시사이트는 김 의장이 15일 클래스 A주식 120만주를 주당 35달러에 매도했다고 공시했다. 거래 날짜(Transaction Date)가 15일로 나와있는 탓에 투자자들과 대부분 언론은 15일에 매도를 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상장 후 가격이 치솟자 매도에 나섰다는 비판이 제기된 배경이다. 하지만 이는 실거래 날짜가 아니라 전산상 신고 처리가 완료된 날짜를 뜻한다.
실제 김 의장의 매도한 120만주는 쿠팡이 기업공개를 위해 준비한 구주매출 2000만주의 일부다. 구주매출이란 기존 주주의 주식을 파는 것을 말한다. 이 구주매출은 상장 후 시장에서 팔리는 게 아니라 기업공개되는 주식 수에 포함된다. 쿠팡은 이번 상장 과정에서 신주 1억주와 구주 2000만주를 합쳐 총 1억2000만주를 공모했다. 김 의장의 120만주는 공모주에 들어가있었기 때문에 이미 상장 전에 매도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15일날에는 어떤 거래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거래일로 알려진 15일 쿠팡의 최저 거래가격이 49.02달러였음에도 김 의장의 매도가가 35달러로 공시된 이유다.
이 같은 구주매출은 대표의 차익실현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국 기업공개 시장에서는 기업이 공모주 규모를 키워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표의 구주를 공모주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김 의장의 120만주 매도는 거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고, 이는 미국 기업공개 시장의 관행과도 같은 것"이라며 "차익실현을 할 거면 상장 후에 비싼 가격에 팔지 뭐하러 공모가인 35달러에 팔겠느냐"고 설명했다. 실제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도 기업공개 과정에서 3000만주를 구주 매출로 내놨다. 에어비앤비의 최고경영자인 브라이언 체스키도 63만주를 같은 방식으로 매도했다.
다만 쿠팡의 주가 수준을 놓고서 증권업계에서는 고평가 논란이 여전하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쿠팡이 상장하면서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았던 만큼 성장주가 흔들리는 국면에서 조정을 계속 받는 상황"이라며 "시장 수급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만큼 개인 투자자들이 유행을 좇아가듯 투자할 상황은 아니다"고 조언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