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불에 잘 타지 않는 준불연 성능의 스티로폼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건설연은 강재식 박사 연구팀이 스티로폼 단열재 자체에 난연제를 코팅하는 나노기반의 신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했고, 대규모 양산 시험을 거쳐 준불연 성능의 상용화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핵심기술은 스티로폼 원자재를 1차 발포시킨 비드 표면에 나노기술 기반의 신소재 난연제를 균등하게 코팅해 스티로폼 단열재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한국인정기구(KOLAS) 공인시험 결과 700도 내외의 복사열에서 가열했을 때 10분간 총 방출열량이 4~7MJ/㎡로 측정돼 안정적인 준불연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건설연 "불에 잘 안타는 준불연 스티로폼 개발"
이는 소방관이 화재 현장에 도착해 불길의 확산을 막고 화재진압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음을 뜻한다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연구원은 연소가스에 의한 가스위해성 시험에서 안정적인 성능이 측정됐고, 실제 규모의 건물에서 진행한 실험에서도 화재 확산 방지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외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유기계 단열재는 스티로폼으로 통칭하는 EPS(Expanded Polystyrene), 압축 스티로폼으로 알려진 압출법 발포폴리스티렌(XPS), 우레탄폼(PIR), 페놀폼(PF) 등이 있다.

단열성과 경제성, 현장 가공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화재시 불길이 급속히 확산되고 다량의 유해가스가 방출돼 인명 및 재산피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그동안 건물에너지 절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만 화재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외면받았던 유기계 단열재 산업에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