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객 붐비는 '더현대'…한섬, 신고가 행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횡보하던 한섬, 두달새 34% 상승
오프라인 매장 소비 본격 회복
장중 4만2400원까지 돌파
올해 영업이익 14% 증가 전망
'소비자 직거래' 패션사업 확장
하반기 화장품 사업 본격 진출
오프라인 매장 소비 본격 회복
장중 4만2400원까지 돌파
올해 영업이익 14% 증가 전망
'소비자 직거래' 패션사업 확장
하반기 화장품 사업 본격 진출
주차장 진입만 1시간, 카페 대기번호 672번. 현대백화점이 지난달 26일 서울 여의도에 개장한 더현대서울(사진)이 ‘핫플레이스’에 등극하면서 타임, 마인, SJSJ 등 패션 브랜드를 보유한 현대백화점그룹의 패션 자회사 한섬 주가도 덩달아 뛰고 있다. 더현대서울 개장 한 달 만인 26일 한섬은 52주 신고가를 또 한 번 경신했다. 코로나19로 작년 오프라인 채널 매출이 줄었지만 올해는 백화점, 아울렛 등 오프라인 채널에서 소비심리 회복이 관찰되고 있고, 온라인 매출 비중이 점차 상승하는 것도 실적 개선을 이끌 것이란 분석이다.
증시가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접어들면서 한섬의 올해 실적에 대한 기대가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섬은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5.1%, 4.1% 감소했지만 올해는 매출 1조2882억원(7.7% 증가), 영업이익 1168억원(14.4% 증가)을 낼 전망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각각 2.3%, 9.7% 증가한 수치다.
글로벌 의류 브랜드가 펼치고 있는 D2C(direct to consumer·소비자 직거래) 전략도 잘 해내고 있다는 평가다. D2C란 자사 온라인몰이나 전용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물건을 판매해 중간유통자를 없애는 방식이다. 차세대 주 소비층인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가 유통업체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대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해당 브랜드의 홈페이지에 직접 방문해 상품을 구매하자, 글로벌 의류기업들이 D2C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직접 판매 비중이 높을수록 소비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프리미엄 브랜드는 굳이 아마존이나 쿠팡과 같은 유통사에 입점하지 않더라도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며 “해외에서는 나이키가, 국내에서는 한섬이 온라인 채널 비중을 높이면서 잘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작년 한섬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한 와중에 영업이익률은 2019년 8.46%에서 작년 8.53%로 상승했다. 온라인 채널이 30%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낸 덕분이다. 한섬의 온라인 채널은 매출의 18%를 차지하지만 영업이익 비중은 절반에 달한다. 손효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상반기 여의도 현대백화점 출점, 하반기 화장품 사업 진출로 그동안 정체됐던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며 “화장품 사업에 초기 비용이 들 수 있겠지만 수익성 높은 온라인 채널과 부진했던 오프라인 채널의 매출 회복으로 수익성 하락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두 달간 30% 이상 급등
이날 한섬은 장중 4만2400원을 찍으며 52주 신고가를 또 한 번 경신한 뒤 전날과 같은 4만1750원에 장을 마쳤다. 작년 7월부터 올 1월 말까지 3만1000~3만5000원 사이에서 횡보하던 주가는 2월 들어서만 34.24% 상승하며 반등곡선을 그리고 있다. F&F(26.82%), 신세계인터내셔날(20.99%), LF(15.27%), 휠라홀딩스(4.56%) 등 다른 의류 브랜드 업체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증시가 유동성 장세에서 실적 장세로 접어들면서 한섬의 올해 실적에 대한 기대가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섬은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5.1%, 4.1% 감소했지만 올해는 매출 1조2882억원(7.7% 증가), 영업이익 1168억원(14.4% 증가)을 낼 전망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각각 2.3%, 9.7% 증가한 수치다.
○경기 반등하면 의류 매출↑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도 반영됐다. 한섬의 주력 상품인 3040 여성복 판매량은 경기와 연동되는 특성이 있어 ‘보복소비’로 인한 수혜가 크다는 설명이다. 배송이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섬은 매출의 절반 이상이 백화점에서 발생해 백화점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작년 2~4월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기 때문에 4월까지 기저효과에 의한 큰 폭의 매출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1분기 매출은 작년보다 16% 증가할 전망이다.글로벌 의류 브랜드가 펼치고 있는 D2C(direct to consumer·소비자 직거래) 전략도 잘 해내고 있다는 평가다. D2C란 자사 온라인몰이나 전용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물건을 판매해 중간유통자를 없애는 방식이다. 차세대 주 소비층인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가 유통업체를 통해 상품을 구입하는 대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해당 브랜드의 홈페이지에 직접 방문해 상품을 구매하자, 글로벌 의류기업들이 D2C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직접 판매 비중이 높을수록 소비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영업이익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프리미엄 브랜드는 굳이 아마존이나 쿠팡과 같은 유통사에 입점하지 않더라도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며 “해외에서는 나이키가, 국내에서는 한섬이 온라인 채널 비중을 높이면서 잘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작년 한섬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한 와중에 영업이익률은 2019년 8.46%에서 작년 8.53%로 상승했다. 온라인 채널이 30%에 달하는 영업이익률을 낸 덕분이다. 한섬의 온라인 채널은 매출의 18%를 차지하지만 영업이익 비중은 절반에 달한다. 손효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상반기 여의도 현대백화점 출점, 하반기 화장품 사업 진출로 그동안 정체됐던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며 “화장품 사업에 초기 비용이 들 수 있겠지만 수익성 높은 온라인 채널과 부진했던 오프라인 채널의 매출 회복으로 수익성 하락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