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추모식' 정치화한 보훈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軍 정치중립' 내세워 참석 제한
野의원 배제했다 뒤늦게 '카톡 초청'
문 대통령 올해도 '북한 소행' 언급 안해
송영찬 정치부 기자
'軍 정치중립' 내세워 참석 제한
野의원 배제했다 뒤늦게 '카톡 초청'
문 대통령 올해도 '북한 소행' 언급 안해
송영찬 정치부 기자

서해수호의 날을 하루 앞둔 지난 25일 오후 6시께 한 국회의원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이 같은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았다. 메시지에는 “기념식 참석 요청이 많아 참석 범위를 최대한(으로) 검토했다”는 부연 설명이 붙었다. 앞서 유승민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올해는 참석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히며 ‘야당 배제’ 논란이 벌어진 지 사흘 만이다.
황당무계한 보훈처의 이 같은 해석은 졸지에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식 참석까지 선거를 앞둔 정치 행보로 만들었다. 문 대통령은 26일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에서 열린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다. 취임 후 3년 만에 처음으로 참석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문 대통령이 5년 임기 중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두 번은 각각 지난해 4·15 총선과 올해 4·7 재·보선을 코앞에 두고서였다.
보훈처의 우려대로 천안함에 보수 색채가 씌워진 데는 사건에 대해 민주당이 보여준 태도가 큰 몫을 했다. 민주당은 2010년 천안함 폭침 후 계속해서 재조사 등을 요구하며 ‘북한 소행’이라는 사실을 부정했다. 문 대통령은 천안함 사건 직후 한 언론 인터뷰에서 “정확한 물증 없이 북한 소행으로 몰아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했다. 민주당이 북한 소행이라는 뜻이 들어간 ‘폭침’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때는 2012년 대선을 불과 두 달 앞둔 시점부터다. 문 대통령은 당시 대선 토론회에서 “이명박 정부가 안보를 강조하지만 실제로 보면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안보에 구멍이 뚫렸다”고 말하며 처음 썼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기념식에서는 “북한 소행이냐”는 한 유족의 질문에 “정부의 입장은 같습니다”고 답했다. 본인 입으로 “북한 소행”이라고 말해야 한다는 요구가 여전하지만 올해도 달라진 것은 없었다.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