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선거운동 이틀째인 26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신촌 현대백화점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용산구 용문시장네거리 유세에서 각각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공식 선거운동 이틀째인 26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신촌 현대백화점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용산구 용문시장네거리 유세에서 각각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27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20대 경험치 부족' 발언으로 구설에 오른 것과 관련해 "절망한 이들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오세훈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역사적 경험치 부족'이 아니라 '불공정에 대한 분노'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오세훈 후보는 "20대 지지율에서 제가 세 배 가까이 앞선다는 보도가 나가자 종일 친문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가 시끄러웠다고 한다"면서 "설마 문재인 정권 출범 초기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20대 청년들이 이 정권과 민주당, 박영선 후보에게 등을 돌린 이유를 정말 모르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사상 최악의 부동산 참사와 일자리 참사의 최대 피해자가 바로 20~30대 청년들이다"라며 "조국 사태와 인국공 사태, 박원순 오거돈 시장의 성 비위, 선거를 앞두고 터져 나온 LH발 땅 투기 등 이루 열거하기조차 힘든 집권세력의 부정과 부패, 위선에 절망감을 느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영선 후보의 말처럼 역사에 대한 경험치가 낮거나 무지해서가 아니라 이 정권 실정의 최대 피해자이자, 공정과 정의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은 세대가 바로 20~30대 청년들이고, 그들의 분노와 배신감이 지지율로 나타난 것이다"라며 "대한민국의 허리가 될 청년들을 이른바 ‘영끌’ ‘빚투’의 생지옥으로 내몬 정권에서 국무위원까지 지낸 후보가 일말의 책임감과 반성도 없이 자신의 낮은 지지율을 청년들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절망한 이들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일이다"라고 비판했다.

앞서 박영선 후보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20대 지지율이 상당히 낮게 나온 것에 대해 "20대의 경우 40대와 50대보다는 경험치가 낮다"고 발언했다.

박영선 후보는 선거 유세 중 "코로나 때문에 제일 힘든 것이 20대다. 일자리와 미래가 불안한 데 대한 불만이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20대의 경우 과거의 역사 같은 것에 대해서는 40대와 50대보다는 경험치가 낮지 않나, 그래서 지금 벌어지는 여러 상황을 지금 시점에서만 보는 경향도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여당의 20대 비하 논란은 지난 2019년 당시 최고위원이었던 설훈 민주당 의원의 발언으로도 불거진 바 있다.

설훈 의원은 20대 남성층의 민주당 지지율 하락 이유에 대해 "이분들 교육을 받았을 때가 이명박, 박근혜 시절이었다"며 "교육을 제대로 받았나 하는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당시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도 "지난 정권에서 1960~70년대 박정희 시대를 방불케 하는 반공교육으로 아이들에게 적대감을 심어줬기 때문에 20대가 가장 보수적이다"라는 요지로 발언한 것이 알려지면서 '20대 비하' 논란이 일었다.

서울시장 야권후보 단일화 이후 실시된 첫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후보는 박영선 후보에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24일 서울 거주 18세 이상 806명에게 어느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55.0%가 오 후보, 36.5%가 박 후보라고 대답했다.

두 후보 간 격차는 18.5%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를 크게 벗어났다.

특히 20대에서 오세훈 후보 지지율은 60.1%, 박영선 후보는 21.1%로 나타나 무려 3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37.7%, 민주당이 30.1%, 국민의당이 9.1%, 정의당은 5.0%, 열린민주당은 3.7%였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