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봄여행 "꽃놀이 대신 안전한 '룸콕' 힐링여행 선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기어때 '봄 여행 트렌드' 설문조사
관광지보다 숙소에 머무는 휴양 선호
호텔·리조트, 독채형 숙소 수요 급증
관광지보다 숙소에 머무는 휴양 선호
호텔·리조트, 독채형 숙소 수요 급증

숙박·모바일티켓 예약플랫폼 여기어때가 31일 발표한 '봄 여행 트렌드' 결과에 따르면 '룸콕 힐링여행'이 봄 여행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봄 여행의 대명사인 '꽃놀이'만큼 선호도가 올라가면서다. 여기어때 모바일앱 이용자 3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1%는 올해 봄 여행을 숙소에서 머무는 힐링여행으로 즐기겠다고 답했다. 벚꽃, 진달래 등 봄꽃 명소를 찾아가는 꽃놀이(63%)와 맞먹는 수치다.
룸콕 힐링여행 수요 증가는 여행 계획과 경비에서 숙박의 비중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응답자의 47%는 봄 여행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숙소를 꼽았다. 1박2일 기준 평균 27만9000원의 여행경비 중 숙박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3만9000원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숙소는 다양한 편의시설과 즐길거리를 갖춘 호텔·리조트(70%), 풀빌라·펜션(67%)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속에서도 봄 여행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봄 여행을 떠날 것인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86%가 '그렇다'고 답했다. 여행기간은 1박2일(51%)과 2박3일(38%)이 전체 응답의 90% 가까이를 차지해 연차 등 휴가보다 주말을 이용한 단기여행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