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당 받은 주파수 반납해야
현재 통신 3사의 5G 서비스는 3.5㎓(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에서 비단독모드(NSA) 방식을 쓰고 있다. 데이터는 5G망을,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는 LTE망을 이용한다. 이에 비해 SA 방식은 모두 5G망을 통해 이뤄진다. 5G SA가 상용화되면 5G의 핵심 기술로 손꼽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할 수 있다. 단일한 물리적 네트워크를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보안망 등 용도별로 전용화, 세분화해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지연 속도가 대폭 줄어들고 배터리 소모량 역시 감소한다. 기업이나 특정 산업 전용 5G 품질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5G SA가 시작되면 기업에서 5G를 활용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G 기지국은 내년 말께 현재 LTE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할 전망이다. 정부가 통신 3사 뒤에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작년 11월 올해 6월 이용 기간이 종료되는 2G·3G·LTE 주파수 310㎒(메가헤르츠) 재할당 정책 방안을 발표했는데, 재사용 계약 가격과 주파수 대역 할당을 5G 기지국 구축 실적에 연동하게 한 것이다. 일종의 ‘반의무화’로 5G네트워크 완성을 유도한 셈이다. 최저 금액인 3조1700억원을 내기 위해선 2022년 말까지 각사의 5G 기지국 수가 12만 국을 넘어야 한다. 지난해 말로 통신3사는 이 기준의 절반인 약 6만 국 정도를 설치했다. 당시 과기정통부는 “주요 다중시설이나 교통 인프라 등을 포함해 LTE 기지국이 설치된 곳은 12만 곳인 만큼 초기 5G 투자 여건을 고려했을 때 이 정도 숫자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5G의 이론상 최대 속도인 20Gbps(초당 기가비트)를 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28㎓ 대역도 올해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이다. 통신 3사는 현재 상용화한 3.5㎓ 대역에서 사별로 80~100㎒를 쓰고 있다. 반면 28㎓ 대역에선 세 회사가 800㎒씩 할당받았다.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가 물리적으로 넓기 때문에 속도 역시 이에 비례해 빨라진다. 28㎓ 대역 주파수는 직진성이 강한 반면 회절성이 약해 기지국을 촘촘하게 세우는 게 관건이다.
통신 3사는 올해 말까지 28㎓ 대역 기지국을 1만5000개씩 세워야 한다. 2018년 주파수를 할당받으면서 정부와 약속한 숫자다. 의무할당 기준의 10%를 넘기지 못하면 주파수를 반납해야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KT가 kt위즈 수원 홈구장 등에 기지국을 세우고 무선 라우터를 활용한 시범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