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안보실장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각각 미국과 중국으로 향했다. 한국의 외교 수장이 이례적으로 중국을 첫 해외 순방국으로 선택하자 미국이 한·미·일 안보실장회의 개최로 맞불을 놓은 모양새다. 정 장관이 “미·중은 선택 대상이 아니다”고 강조했지만 한국이 양국 패권 경쟁 속에서 위험한 ‘줄타기 외교’를 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 장관은 2일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정부 전용기를 타고 중국 샤먼으로 출국했다. 정 장관은 3일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장관과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연다.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미국으로 출국한 서 실장은 2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에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기타무라 시게루 일본 국가안보국장과 회담한다. 3자 간 안보실장회의에 앞서 한·미, 한·일 간 양자 회담이 차례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간 시차를 고려하면 거의 동시간대에 행정부와 청와대의 외교 수장들이 각각 미·중과 회의 테이블에 앉는 것이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변 4강의 치열한 외교전 속에서 열리는 한·중 외교장관회담은 시기와 장소 모두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장관은 첫 해외 순방국으로 중국을 선택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출범 후 첫 외교·국방 수장의 해외 순방국으로 한·일을 선택한 것과 상반된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지난달 17일 한·미 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중국은 강압과 위협으로 홍콩 경제를 침식시키고, 대만의 민주주의를 약화시키고, 신장위구르와 티베트의 인권을 유린한다”며 중국에 직격탄을 날렸다. 그런데 정 장관이 2주 만에 중국을 방문하며 마치 양해를 구하는 모양새로 비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이 대만을 반중(反中)의 핵심 고리로 삼고 있는 가운데 이번 회담은 중국에서 대만 영토와 1.8㎞밖에 떨어지지 않은 샤먼에서 개최된다. 한국에 미국 주도의 반중 전선에 참여하지 말라는 중국의 압박이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가운데 미국은 한·미·일 안보실장회의에서 대중(對中) 문제가 의제가 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반도체 공급망과 남중국해 문제가 의제에 오를 것이라고 설명하며 “다른 전략적·경제적 목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고 논의를 기술 문제까지 확장할 것”이라고 했다. 2018년 미·북 싱가포르 공동선언이 유효하냐는 질문에는 “싱가포르 합의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면서도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어 “비핵화라는 공통의 목표와 한반도를 넘어 아시아 전체의 긴장을 줄이기 위해 한·일 양국과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워싱턴=주용석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