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LG, '5조 적자' 휴대폰 사업 26년 만에 접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전자 5일 이사회
"모바일 사업부 해체 결정"
"모바일 사업부 해체 결정"

LG전자가 휴대폰 사업에서 철수하는 배경은 눈덩이 처럼 불어난 누적 적자 탓이다.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은 2015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누적 적자가 5조원에 달한다. LG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3조1918억원이데, 증권가에선 스마트폰 사업 적자가 아니었다면 4조원을 넘겼을 것으로 추산했다. LG전자는 휴대폰 사업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2019년부터 국내 생산을 전면 중단하고 베트남에서 제품을 생산했다. 또 2017년 5000여명 수준이던 모바일 사업부 인력도 지난해 3700여명 수준까지 줄였다. 이후에도 LG 벨벳, LG 윙 등 전략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반등을 위해 몸부림쳤지만 잇따라 제품 흥행에 실패하며 시장 점유율이 갈수록 떨어졌다. 과거 프라다폰, 초콜릿폰 등 글로벌 히트작으로 LG그룹의 중축이었던 휴대폰 사업이 프리미엄급 시장에선 애플과 삼성에, 중저가 시장에선 중국 업체들에 밀리며 스마트폰 시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