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도 ESG경영 필수…평가결과 나쁘면 납품 막힐 수도"
“중소기업의 수출 상대방 해외 기업과 납품을 받는 국내 대기업들이 조만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자료를 요구할지 모릅니다.”

김정남 삼정KPMG 지속가능경영부문 상무(사진)는 17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전문매체 마켓인사이트와의 인터뷰에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들도 ESG 경영을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상무는 2000년대 중반부터 지속가능경영 분야에서 일했다. 김 상무는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ESG 경영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은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중견기업 경영진조차 ‘ESG가 법적 의무사항이냐’고 되묻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이미 국민연금 등 연기금과 대형 금융사들은 잇따라 ESG를 대출과 투자의 잣대로 활용한다고 선언했다”며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경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상장기업도 ESG 평가의 예외가 아니다. 김 상무는 “국내 대기업들이 조만간 협력업체에 ESG 평가 결과나 관련 자료를 요구할 수 있다”며 “대기업들은 해외 투자기관과 금융사들로부터 강한 압박을 받고 있어 ESG 지표가 나쁜 기업은 협력업체에서 배제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ESG 경영 드라이브를 건 SK그룹을 비롯해 국내 주요 글로벌 대기업은 ESG 평가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는 네이버도 최근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2040년까지 탄소배출량 마이너스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 상무는 “국내외 연기금이 윤리적으로 나쁜 기업엔 투자하지 않겠다는 ‘네거티브 스크린’ 방식을 사용해 투자 대상을 걸러내고 있다”며 “상당수 기관이 카지노, 군수산업 등에 투자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고 투자 배제 대상을 점점 넓혀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중견·중소기업은 친환경 요소뿐만 아니라 ESG의 ‘S’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사회적 가치란 노사관계와 산업재해율, 협력업체와의 상생 등 기업을 둘러싼 주체들을 배려하는지 측정하는 지표다. 일부 평가사는 기업 이사회와 직원 구성의 다양성, 경영진 월급과 직원 월급 간 격차 등까지 감안한다.

지배구조에선 주주평등 원칙이 잘 지켜지는지 신경써야 한다.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 원칙 등이 평가 대상이다. 김 상무는 “개인기업, 가족기업이라고 무조건 나쁜 평가를 받는 게 아니다”며 “스웨덴 발렌베리 그룹과 같이 가족 소유 기업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네이버도 이사회 독립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