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산 고용상황, 전국 대비 악화 심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이후 부산 고용상황 변화와 원인 분석
제조업, 산업생산 위축으로 전국 대비 크게 악화...서비스업, 자영업자 증가로 선전
부산은 코로나19 영향이 전국보다 심하지 않았음에도 지난해 취업자가 전년대비 2.1%(-3만 6000명) 감소했다. 0.8% 감소한 전국보다 높고, 대구(-2.9%)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코로나19의 산업별 영향에서 부산은 전국과 다르다. 전국은 대면소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 고용 부진이 제조업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은 제조업 고용상황이 크게 악화됐다.
부산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에 전년대비 2만 9000명(-10.2%) 감소했다. 이는 전체 취업자 감소 3만6000명의 80.5%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제조업의 1.2% 감소율보다 크게 높다.
반면 부산 서비스업은 취업자는 감소했지만 전국에 비해서는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이 심했던 지난해 상반기(4월) 기준 부산은 전년동반기대비 1만8000명(-1.5%) 감소했다. 이는 전국(-2.6%)보다 0.9%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부산 고용상황 변화와 원인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부산 고용상황 악화가 전국보다 심했던 원인으로 지역 노동시장의 경제위기 대응력 취약과 고용탄력성 약화, 노동력 수요 측면에서 단기간의 비자발적 이직자 급등과 구인 감소를 지적했다.
부산은 경제위기 시 우선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는 10인 미만 영세사업체 종사자 비중이 2019년 기준 43.7%로 전국(40.8%) 보다 높다. 300인 이상 대기업 종사자 비중은 11.1%로 전국(14.5%) 보다 낮다.
부산은 2019년 부가가치 기준 제조업 비중이 17.7%로 전국(27.6%)에 비해 약 10%p 낮다.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9.3%), 운수 및 창고업(6.8%), 부동산업(10.4%) 등 저부가가치산업의 비중이 전국에 비해 높다. 이처럼 부산은 산업구조가 취약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대응력이 약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고용탄력성 저하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연계성이 약화하고 있다. 전 산업이 전국보다 고용탄력성이 낮다. 특히 제조업은 2016, 2018년 마이너스 성장 때 취업자 감소율이 더 크게 발생했다. 게다가 부산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해고·감원·폐업·일거리 부족 등으로 인한 사업체 비자발적 이직자가 단기간 급등했다.
지난해 부산 사업체 비자발적 이직자는 전년대비 50.3%(7만 4000명) 급등했다. 전국의 증가율 8.7%에 비해 크게 높다. 기업체 구인도 크게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4월에는 전년동월대비 40%가 넘는 감소세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부산 제조업 고용 악화가 전국보다 더 심했던 원인에 대해 지역기업의 제조업 환경변화 대응력이 취약한 상황에서 코로나19 영향이 더해져 생산 위축이 가속화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제조업 생산이 전국은 전년 대비 0.3% 감소한데 반해 부산은 92.7에서 84.9로 8.4% 감소했다.
부산 서비스업 고용이 전국에 비해 선전한 원인에 대해서는 서비스업 자영업자 증가를 꼽았다. 지난해 상반기 부산 서비스업 자영업자는 자영업 비중이 높은 업종이 크게 증가해 전년동반기대비 1만 1000명(3.4%)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도매 및 소매업이 35.1%, 숙박 및 음식점업이 32%, 부동산업이 33.8%,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이 39.7%로 자영업 비중이 30%를 웃돈다. 이같은 상황에서 도매 및 서비스업 15.1%, 숙박 및 음식점업이 13.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이 25.3% 증가했다.
최근 20·30대 서비스업 자영업자가 크게 증가했. 부산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전년동반기대비 20대 자영업자가 55.1%, 30대가 18.4% 증가했다. 이는 각각 8.5%와 4.3% 감소한 전국과 차별화되는 현상이다.
보고서는 부산의 고용상황 부진 지속과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전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 근본적 원인으로 지역 산업구조의 취약을 지적하고,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성장과 일자리 창출 연계 강화와 경기대응력 제고를 대응 방안으로 제시했다.
제조업 고부가가치화, 비교우위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신성장산업과 4차 산업혁명 관련산업 육성, 지역 중소 제조업 업종 다각화 및 전환에 필요한 지원책 강화, 영화·영상·콘텐츠·마이스(MICE) 등 부산 비교우위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 4차 산업혁명 관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업과 지역 대학간 연계 강화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상엽 경제동향분석센터 분석위원은 “고용절벽 완화를 위해 생활방역 공공일자리사업과 같은 공공부문 중심의 단기 직접일자리사업과 고용보험 가입률 제고를 통한 고용유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은 20·30대 자영업자 증가가 서비스산업 고용 선전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식기반서비스업 창업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식기반서비스업 창업은 젊은 층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할 수 있다”며 “급등하는 20·30대 무급가족종사자는 진학이나 취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도 받지않는 니트(NEET)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역 차원의 고용지원서비스와 직업능력개발 지원으로 노동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가 진정될 경우 구인·구직, 직업교육훈련 등 고용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해 지역 각 기관에 산재한 고용지원서비스시스템의 연계 및 통합 추진도 제시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제조업, 산업생산 위축으로 전국 대비 크게 악화...서비스업, 자영업자 증가로 선전
부산은 코로나19 영향이 전국보다 심하지 않았음에도 지난해 취업자가 전년대비 2.1%(-3만 6000명) 감소했다. 0.8% 감소한 전국보다 높고, 대구(-2.9%)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코로나19의 산업별 영향에서 부산은 전국과 다르다. 전국은 대면소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 고용 부진이 제조업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은 제조업 고용상황이 크게 악화됐다.
부산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에 전년대비 2만 9000명(-10.2%) 감소했다. 이는 전체 취업자 감소 3만6000명의 80.5%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제조업의 1.2% 감소율보다 크게 높다.
반면 부산 서비스업은 취업자는 감소했지만 전국에 비해서는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이 심했던 지난해 상반기(4월) 기준 부산은 전년동반기대비 1만8000명(-1.5%) 감소했다. 이는 전국(-2.6%)보다 0.9%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부산 고용상황 변화와 원인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부산 고용상황 악화가 전국보다 심했던 원인으로 지역 노동시장의 경제위기 대응력 취약과 고용탄력성 약화, 노동력 수요 측면에서 단기간의 비자발적 이직자 급등과 구인 감소를 지적했다.
부산은 경제위기 시 우선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는 10인 미만 영세사업체 종사자 비중이 2019년 기준 43.7%로 전국(40.8%) 보다 높다. 300인 이상 대기업 종사자 비중은 11.1%로 전국(14.5%) 보다 낮다.
부산은 2019년 부가가치 기준 제조업 비중이 17.7%로 전국(27.6%)에 비해 약 10%p 낮다.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9.3%), 운수 및 창고업(6.8%), 부동산업(10.4%) 등 저부가가치산업의 비중이 전국에 비해 높다. 이처럼 부산은 산업구조가 취약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대응력이 약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고용탄력성 저하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연계성이 약화하고 있다. 전 산업이 전국보다 고용탄력성이 낮다. 특히 제조업은 2016, 2018년 마이너스 성장 때 취업자 감소율이 더 크게 발생했다. 게다가 부산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해고·감원·폐업·일거리 부족 등으로 인한 사업체 비자발적 이직자가 단기간 급등했다.
지난해 부산 사업체 비자발적 이직자는 전년대비 50.3%(7만 4000명) 급등했다. 전국의 증가율 8.7%에 비해 크게 높다. 기업체 구인도 크게 감소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4월에는 전년동월대비 40%가 넘는 감소세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부산 제조업 고용 악화가 전국보다 더 심했던 원인에 대해 지역기업의 제조업 환경변화 대응력이 취약한 상황에서 코로나19 영향이 더해져 생산 위축이 가속화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제조업 생산이 전국은 전년 대비 0.3% 감소한데 반해 부산은 92.7에서 84.9로 8.4% 감소했다.
부산 서비스업 고용이 전국에 비해 선전한 원인에 대해서는 서비스업 자영업자 증가를 꼽았다. 지난해 상반기 부산 서비스업 자영업자는 자영업 비중이 높은 업종이 크게 증가해 전년동반기대비 1만 1000명(3.4%)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도매 및 소매업이 35.1%, 숙박 및 음식점업이 32%, 부동산업이 33.8%,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이 39.7%로 자영업 비중이 30%를 웃돈다. 이같은 상황에서 도매 및 서비스업 15.1%, 숙박 및 음식점업이 13.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이 25.3% 증가했다.
최근 20·30대 서비스업 자영업자가 크게 증가했. 부산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전년동반기대비 20대 자영업자가 55.1%, 30대가 18.4% 증가했다. 이는 각각 8.5%와 4.3% 감소한 전국과 차별화되는 현상이다.
보고서는 부산의 고용상황 부진 지속과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전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 근본적 원인으로 지역 산업구조의 취약을 지적하고,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성장과 일자리 창출 연계 강화와 경기대응력 제고를 대응 방안으로 제시했다.
제조업 고부가가치화, 비교우위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신성장산업과 4차 산업혁명 관련산업 육성, 지역 중소 제조업 업종 다각화 및 전환에 필요한 지원책 강화, 영화·영상·콘텐츠·마이스(MICE) 등 부산 비교우위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 4차 산업혁명 관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업과 지역 대학간 연계 강화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상엽 경제동향분석센터 분석위원은 “고용절벽 완화를 위해 생활방역 공공일자리사업과 같은 공공부문 중심의 단기 직접일자리사업과 고용보험 가입률 제고를 통한 고용유지를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은 20·30대 자영업자 증가가 서비스산업 고용 선전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식기반서비스업 창업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식기반서비스업 창업은 젊은 층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할 수 있다”며 “급등하는 20·30대 무급가족종사자는 진학이나 취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도 받지않는 니트(NEET)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지역 차원의 고용지원서비스와 직업능력개발 지원으로 노동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가 진정될 경우 구인·구직, 직업교육훈련 등 고용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해 지역 각 기관에 산재한 고용지원서비스시스템의 연계 및 통합 추진도 제시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