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과 외교부로부터 재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본 부동산 취득 목적의 송금은 551건에 달했다. 총 금액은 총 1억5100만달러를 기록했다.
송 의원이 발표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일본 부동산 취득목적 송금은 2009년 30건, 송금액은 700만달러(약 79억원)였으나, 2019년에 86건, 2200만달러(한화 약249억원)까지 불었다. 반일 감정이 높아졌던 2019년 송금 액수 및 취득 금액이 최고치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코로19 등의 영향으로 송금건수는 49건, 금액은 2000만달러(한화 약226억원)까지 줄었다.
2009년 이후 한국인의 일본 부동산 취득목적 연평균 송금건수와 송금액은 각각 46건, 1258만달러(한화 약 142억원)였다. 1건당 평균 송금액은 27만3550달러(약 3억원)으로 계산된다.
코로나19 이전까지 부동산 취득 목적의 송금건수와 송금금액이 늘어난 것과 달리 일본 장기체류자 및 이민신청자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송 의원에 따르면 2009년 일본에 장기체류를 신청한 한국인 1만3477명, 일본 이민신고자는 1798명이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각각 3685명과 126명으로 급감했다. 2009년 장기 체류자 및 이민신고자 대비 송금 건수는 0.2%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3%까지 상승했다.
송 의원은 "한국인의 일본 장기체류신청과 이민신고는 크게 감소했지만, 부동산 취득을 위한 송금건수와 금액은 오히려 증가했다"며 "불필요한 해외 부동산 취득으로 인한 외화 유출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박 후보의 남편인 이원조 변호사는 지난 2009년 6월 일본 도쿄의 아파트를 구입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됐다. 박 후보 측은 "도쿄 아파트는 이명박 정부 탄압의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이 전 대통령 임기 이후인 최근까지 아파트를 보유해왔다는 것을 문제 삼으며 박 후보 측 주장을 반박했다. 또, 그동안 고가의 임대료를 받은 정황이 있다며 투자 목적으로 구매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박 후보 측은 10년 넘게 아파트를 소유하다가 서울시장 출마를 앞둔 올해 2월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