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 한 달 밖에 안됐는데…" 대학가, 코로나 재확산에 '울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촌 대학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면서 학생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수업과 실습이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동아리 활동 등 학생 교류마저 끊기면서다. ‘개강 특수’를 누려야 할 대학가 상인들도 “고사 직전”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대면 수업인데 현장 실습 어떻게 하나"
이날 연세대 서강대 이대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대학들은 방역 관리 강화에 나선 모습이었다. 2주 새 코로나19 확진자가 9명 발생한 서강대는 정문과 후문을 뺀 모든 출입구를 봉쇄했다. 외부인의 출입은 전면 금지됐다. 학생증이나 신분증을 제시한 학생과 교직원만 직원 통제하에 입장할 수 있었다. 이대에서는 확진자가 나온 교육관과 종합과학관 두 곳이 폐쇄됐다.학내 코로나 확진자가 늘면서 학생들의 불만도 커졌다. 중간고사 기간에 모든 수업이 비대면으로 전환됐고 일부 건물도 폐쇄됐기 때문이다. 서강대 자연과학부 학생 A씨(25)는 “자연대는 과 특성상 실습 비중이 많은데,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돼 걱정된다”고 푸념했다.
올해 서강대 기계공학과에 입학한 최모씨(19)도 “올해는 ‘새내기 생활’을 누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굉장히 아쉽다”며 “지금 선후배 간 교류가 없어 누가 선배인지도 잘 모른다”고 말했다.
대학가 상인 "손님 절반줄어 개점 휴업 상태"
학교의 코로나19 대응에 불만을 갖는 학생도 많았다. 서강대는 지난달 30일 기숙사생에게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모든 경제적 손실, 민사상 형사상 책임을 학생이 진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쓰게 해 논란을 빚었다.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과에 재학중인 송모씨는 “코로나 19 확산세가 전국적으로 심한데 감염 책임을 학생 개인에게 묻는다고 해 학생들 불만이 많다”고 전했다.이화여대 대학원생 김모씨(25)는 “논문 과제가 있는 조교들은 반드시 연구실에 나와서 업무를 해야한다”며 “학교에서 재택근무를 권고하지만, 대부분 도시락까지 준비해 연구실에서 식사와 업무를 해결한다”고 했다.
서강대 앞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씨도 “점심시간인데 좌석 20개 중 손님은 1명 뿐”이라며 “확진자 발생으로 손님이 끊겨 지금은 개점 휴업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양길성/최한종/최예린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