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접종 예정 특수·보건교사 접종도 연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7일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9일까지 열리는 유럽의약품청(EMA) 총회에서 AZ 백신과 일부 특이 혈전 발생 간 연관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 중인 만큼 그 결과를 확인하고 국내 접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자문회의 의견에 따라 추진단은 EMA 조사 결과를 보고 국내 접종 여부를 다시 평가하는 한편, 국내·외 유사사례 발생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고, 접종 후 이상반응을 조기에 인지해 진료받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당초 전국 특수학교 종사자와 유치원·초중고교 보건교사, 어린이집 장애아전문 교직원·간호인력 등 약 7만명은 오는 8일부터 근무지 소재 보건소에서 AZ 백신을 맞을 예정이었지만 연기됐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이번 조치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자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선제적으로 실시한 조치"라면서 "유럽의약품청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11월 집단면역' 목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한시적 백신 접종 보류로 정부의 2분기 접종 계획이 시작부터 일부 차질을 빚게 된 이유에서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