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10년…가입자 1000만 보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월 기준, 총 가입자 927만명
전년비 21.8% 증가
月 2만~3만원대…LTE 요금제 매력
MZ세대에 입소문
헬로모바일 등 사업자 공격 영업
전년비 21.8% 증가
月 2만~3만원대…LTE 요금제 매력
MZ세대에 입소문
헬로모바일 등 사업자 공격 영업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AA.26011169.1.jpg)
○약정 없고 저렴해 인기
알뜰폰은 이동통신 사업자 망을 빌려 독자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MVNO)가 판매하는 휴대폰을 말한다. 이동통신사의 대리점 및 판매점을 방문할 필요 없이 알뜰폰 사업자로부터 새 단말기를 개통할 수 있다. 가계 통신비 절감을 위해 방송통신위원회가 2010년 전기통신사업법을 개정하면서 선보였다.알뜰폰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이동통신사 요금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이다.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저렴한 요금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알뜰폰 업체별로 요금이 다르지만 4세대 이동통신인 LTE 요금제가 보통 월 2만~3만원대다.
![알뜰폰 10년…가입자 1000만 보인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AA.26018331.1.jpg)
○자급제+알뜰폰 조합도 유행
최근 알뜰폰 시장 확대는 젊은 세대, 이른바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이끌고 있다.알뜰폰이 MZ세대로부터 입소문을 탄 건 이들 가운데 수요가 높았던 애플 아이폰12 시리즈가 출시된 지난해 하반기부터다. KT의 알뜰폰 자회사 엠모바일, LG유플러스의 헬로모바일 등 알뜰폰 업체는 아이폰12 출시에 앞서 파격적인 할인 프로모션을 선보이며 MZ세대를 공략했다.
20대의 알뜰폰 유입은 수치로 확인된다.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알뜰폰 가입자의 20대 비중은 18%로 집계됐다. 2017년 하반기(11%)와 비교하면 3년 만에 60% 이상 늘었다. 같은 기간 10대 가입자는 1%에서 4%, 30대 가입자는 23%에서 24%로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아이폰12 출시 이후 스마트폰을 직접 사고 알뜰폰 유심을 끼우는 ‘자급제+알뜰폰’ 조합도 유행이 됐다. 아이폰12는 기기값이 100만원을 훌쩍 넘지만 자급제로만 20% 이상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가 올 1월 출시한 갤럭시S21 시리즈의 자급제 판매량 비율은 삼성전자 플래그십(전략) 제품 중 사상 처음으로 20%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면서 기존 2년 약정이 끝난 뒤 기기는 계속 쓰되, 기존보다 저렴한 요금제로 변경하려는 수요가 알뜰폰 가입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5G 3만원’ 요금도 곧 출시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8월 ‘알뜰폰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같은 해 11월 음성 및 데이터 도매대가를 인하했다. 올 1월엔 5G를 도매제공 의무서비스로 지정하면서 알뜰폰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5G 중저가 요금제를 내놓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알뜰폰 사업자는 바뀐 제도를 활용해 가입자 확대에 총력을 가한다는 방침이다. 이달부터 3만원대(12GB), 4만원대(30GB) 등 저렴한 5G 요금제를 선보일 계획이다. 기존엔 100~200GB 데이터 용량을 제공하며 6만~7만원대 요금을 받았지만, 데이터 용량을 줄이면서 가격을 내렸다.
알뜰폰 사업자는 각종 혜택을 추가하는 등 서비스 질을 높이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헬로모바일은 배달앱으로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후불 유심(USIM)카드를 구매해 30분 내로 이를 수령할 수 있는 ‘유심 배달’ 서비스를 최근 시작했다. KT엠모바일은 알뜰폰업계 최초로 가입자 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결합 요금제 ‘데이터 함께 쓰기’ 2종을 선보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와 접근성은 알뜰폰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결합할인이나 멤버십 등 이동통신사 고유의 혜택을 원하는 소비자가 여전히 많은 것도 마찬가지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은 요금제 변경, 각종 서비스 가입 등을 알아서 해 주는 이동통신사 대리점과 달리 스스로 개통해야 하는 등 중장년층에겐 여전히 진입 장벽이 높다”고 말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