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사진=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대중음악공연을 주최, 주관, 제작하는 국내 35개사가 모여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하 음공협)을 발족했다.

음공협은 지난달 15일 대중음악공연업계 최초로 각 사의 대표자 및 책임자들과 첫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시대의 대중음악공연 현안에 대해 토의, 이후 지난 8일 35개사의 참여와 6개사의 집행부 결정 하에 출범했다.

음공협 측은 "평소 이해관계가 달랐던 대중음악공연 업체들이 처음으로 한목소리를 냈다는 점, 대중을 상대로 한 업계에서 책임감과 산업화에 대해 공통의 모색을 시작했다"며 대형 페스티벌, 아이돌 콘서트, 월드투어, 해외 아티스트 내한, 방송을 연계한 투어, 비수도권 공연 등 대중음악 공연 등을 추진해온 기업들이 음공협을 통해 뜻을 모았음을 강조했다.

음공협에 따르면 한국 대중음악공연 산업은 국내 아티스트와 스태프의 국내외 활동을 근거로 매출액이 2조원(2019년 기준)으로 추산된다. 이는 티켓 매출과 프로덕션, 대관시설 및 렌탈, 산업 전반의 고용, 아티스트 개런티와 소속사의 부가가치를 포함한 1차적인 집계로, 연계된 음반 및 음원, 머천다이징, K팝과 관련한 여행, 항공, 화물은 물론 공연장 인근 상권의 간접효과까지 더할 경우 경제적 효과는 6조원에 이른다는 게 음공협 측의 설명이다. 대중음악산업 종사자는 최소 4만4000명에 이른다고.

음공협 측은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서 대중음악공연은 적극적인 방역수칙 준수로 인한 단 한 명의 확진 사례가 없었음에도 불구, 일반적인 모임 및 행사와 동일하게 분류됐다. 클래식, 연극, 뮤지컬 등 여타 공연은 '동반자 외 거리 두기'만 지키면 규모와 상관없이 개최할 수 있는 반면, 대중음악 공연은 비말 전파 가능성 등 왜곡된 시각으로 인해 99명까지만 참석 가능한 차별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중음악 공연 업은 애매한 기준으로 1년 이상 제대로 된 업무 시도조차 못하고 생존권을 위협받는 대한민국의 유일무이 한 업종이 됐다. 실제로 티켓 예매처인 인터파크와 예스24의 콘서트 부문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매출은 전년대비 90%가 감소했다. 이에 따라 기획사, 제작사, 프로덕션, 공연장, 아티스트 등 관련 업종과 종자사의 폐업 및 실직, 휴직 상태가 이어지면서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음공협은 정부 관계 부처에 대화를 요청하며 ▲대중음악공연 타 업종 및 타 공연 장르와의 차별 완전 철폐 ▲대중음악공연 정상화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현장 진단키트(PCR 외)를 비롯한 방역 지원 ▲본 협회와 상시 TF를 구성, 대중음악공연 전반의 규정 및 정책 논의 ▲관계부처를 아우를 수 있는 대중음악공연 전담 핫라인 설치 ▲코로나19 시대 정부시책 협조로 빚어진 기하급수적 피해에 대한 실질적 보상 마련(국공립 시설 사전 대관 및 할인 지원 외)까지 총 5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음공협은 일반 콘서트, 페스티벌, 내한 공연, 비수도권 공연은 물론 해외 투어와 프로덕션까지 아우른 조직을 통해 전국적인 사단법인 협회로 발전시킬 계획임을 밝혔다. 아울러 관객, 스태프, 아티스트를 포함한 대중음악 공연 관련자들의 권리 및 혜택 조성, 더 나아가 선진국 못지않은 산업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각오도 더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