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고용부 장관은 누구…늘공? 어공? 교수? 설왕설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선' 송옥주 환노위원장 입각설 '솔솔'
임서정 靑 수석·박화진 차관 등도 거론
안경덕 경사노위 상임위원 컴백설도
고용부 직원들은 "장관 안바뀌었으면…"
임서정 靑 수석·박화진 차관 등도 거론
안경덕 경사노위 상임위원 컴백설도
고용부 직원들은 "장관 안바뀌었으면…"
4·7 보궐선거가 여당의 참패로 결론나면서 쇄신용 개각 얘기가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다. 청와대 수석 인사는 물론 국무총리를 필두로 한 중폭 이상의 내각 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개각 대상 중 한 명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구설수는 없다. 단지 2018년 9월 취임해 문재인 정부 임기의 절반 이상을 함께해 온 장수 장관이라는 이유에서다.
고용부 직원들 사이에서도 곧 있을 개각과 관련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지만 정부세종청사 11동(고용부) 복도에는 장관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누가 오더라도 이만한 장관이 있겠는가"라는 국·과장들이 적지 않다. 반면 하위직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지난해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일 폭탄'의 추억을 떠올리며 힘 있는 장관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있다.
당초 고용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개각 당시 교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후임자로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 한정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등이 유력하다는 설도 파다했다. 하지만 이 두 사람이 각각 한국노동연구원장과 환경부장관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장관 교체 이야기는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그로부터 3개월 여, 또다시 개각 바람이 불면서 차기 장관은 누가 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유력 후보 2명이 사라지면서 모두가 고개를 끄덕일만한 인물은 부상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보니 고용부 안팎에서는 누가 될만한 사람인가를 거꾸로 되짚어보는 분위기다.
우선 송옥주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이다. 여성인데다 환노위원장으로 고용노동행정에 비교적 밝고 청문회 리스크도 적어 집권 후반기 고용노동행정 마무리에 적격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이제 재선이라는 점에서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행시 32회)도 거론된다. 직전까지 고용노동부 차관을 지낸데다 고용과 노사관계에 모두 정통하고, 무엇보다 직원들의 신망이 두텁다는게 장점으로 평가된다. 임 수석은 청와대로 영전한 이후에도 고생하는 고용부 직원들을 챙겨왔다는 후문이다.
임 수석에 앞서 고용부 차관을 지낸 이성기 한국기술교육대 총장도 후보다. 이 총장은 2017년 6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고용부 차관을 지내면서 문재인 정부 초기 고용노동 정책을 진두지휘한 인물이다.
박화진 현 차관(행시 34회)의 내부승진 가능성도 회자된다. 정권 후반기 국정과제 마무리를 위해서라면 현직 차관만큼 안정감있는 인물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내년 1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산업안전분야에 있어 박 차관만한 전문가도 없다는 게 내부 평가다.
2019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자리를 옮긴 안경덕 경사노위 상임위원(행시 33회)도 거론된다. 노사관계 업무에 정통하고 산업안전국장도 지내 안전보건 업무까지 밝은데다 직원들로부터 '큰 형님'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 조직 관리에는 그만한 인물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행시 35회)의 고용부 컴백설도 있다. 고용부 기획조정실장을 하다가 전격적으로 타 부처의 차관으로 영전한 인물이다. 일각에서는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의 전격 입각설도 제기하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게 관가의 중론이다.
정권 마지막 해 고용부 수장 교체와 관련 '어공(어쩌다 공무원)' 정치인보다는 '늘공(늘 공무원)' 발탁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지만 최근에는 고용·노사관계 관련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청와대의 평판 조회가 돌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개각 대상 중 한 명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구설수는 없다. 단지 2018년 9월 취임해 문재인 정부 임기의 절반 이상을 함께해 온 장수 장관이라는 이유에서다.
고용부 직원들 사이에서도 곧 있을 개각과 관련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지만 정부세종청사 11동(고용부) 복도에는 장관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누가 오더라도 이만한 장관이 있겠는가"라는 국·과장들이 적지 않다. 반면 하위직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지난해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일 폭탄'의 추억을 떠올리며 힘 있는 장관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있다.
당초 고용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개각 당시 교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후임자로 황덕순 전 청와대 일자리수석, 한정애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등이 유력하다는 설도 파다했다. 하지만 이 두 사람이 각각 한국노동연구원장과 환경부장관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장관 교체 이야기는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그로부터 3개월 여, 또다시 개각 바람이 불면서 차기 장관은 누가 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유력 후보 2명이 사라지면서 모두가 고개를 끄덕일만한 인물은 부상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보니 고용부 안팎에서는 누가 될만한 사람인가를 거꾸로 되짚어보는 분위기다.
우선 송옥주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이다. 여성인데다 환노위원장으로 고용노동행정에 비교적 밝고 청문회 리스크도 적어 집권 후반기 고용노동행정 마무리에 적격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이제 재선이라는 점에서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수석(행시 32회)도 거론된다. 직전까지 고용노동부 차관을 지낸데다 고용과 노사관계에 모두 정통하고, 무엇보다 직원들의 신망이 두텁다는게 장점으로 평가된다. 임 수석은 청와대로 영전한 이후에도 고생하는 고용부 직원들을 챙겨왔다는 후문이다.
임 수석에 앞서 고용부 차관을 지낸 이성기 한국기술교육대 총장도 후보다. 이 총장은 2017년 6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고용부 차관을 지내면서 문재인 정부 초기 고용노동 정책을 진두지휘한 인물이다.
박화진 현 차관(행시 34회)의 내부승진 가능성도 회자된다. 정권 후반기 국정과제 마무리를 위해서라면 현직 차관만큼 안정감있는 인물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내년 1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산업안전분야에 있어 박 차관만한 전문가도 없다는 게 내부 평가다.
2019년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자리를 옮긴 안경덕 경사노위 상임위원(행시 33회)도 거론된다. 노사관계 업무에 정통하고 산업안전국장도 지내 안전보건 업무까지 밝은데다 직원들로부터 '큰 형님'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 조직 관리에는 그만한 인물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행시 35회)의 고용부 컴백설도 있다. 고용부 기획조정실장을 하다가 전격적으로 타 부처의 차관으로 영전한 인물이다. 일각에서는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의 전격 입각설도 제기하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게 관가의 중론이다.
정권 마지막 해 고용부 수장 교체와 관련 '어공(어쩌다 공무원)' 정치인보다는 '늘공(늘 공무원)' 발탁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지만 최근에는 고용·노사관계 관련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청와대의 평판 조회가 돌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