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래 최저치' 실질금리에…시중유동성 역대 최대폭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2월 시중유동성 3274조원
한달 동안 41조원 늘어
가계 주택담보대출 조달 늘어
실질금리 내려간 영향
한달 동안 41조원 늘어
가계 주택담보대출 조달 늘어
실질금리 내려간 영향
시중 유동성이 지난 2월에만 40조원 넘게 늘었다. 월간 기준 증가폭으로는 사상 최대치다. 가계와 기업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는 실질금리(명목금리-기대 인플레이션율)가 최근 4년 새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의 영향이 겹친 결과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1년 2월 중 통화 및 유동성’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통화량(M2·평잔)은 3274조4170억원으로 지난 1월에 비해 41조8000억원이 늘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1년 12월 후 월간 증가폭 기준으로 최대치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다.
상품별로 보면 요구불예금(11조원 증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9조2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6조3000억원) 등 수시로 현금을 뽑아쓸 수 있는 금융상품 잔액이 26조5000억원가량 늘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비금융기업은 31조5000억원, 가계는 9조4000억원 각각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의 주택담보대출이 불어난 데다 기업의 회사채 조달도 늘었다"며 "정책금융회사들의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국고채 3년 만기 금리를 비롯한 명목금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적용한 실질금리는 내려가면서 최근 유동성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계와 기업이 체감하는 실질금리가 내려가면서 그만큼 차입금 조달이 늘었다는 뜻이다.
은행의 실질 대출평균금리(신규취급 기준)는 지난 2월에 연 0.74%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 0.1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2017년 1월(연 0.71%) 후 가장 낮았다. 실질 대출금리는 은행의 명목 대출평균금리(연 0.74%)에서 향후 1년 동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 인플레이션율(2%)을 뺀 수치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1년 2월 중 통화 및 유동성’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통화량(M2·평잔)은 3274조4170억원으로 지난 1월에 비해 41조8000억원이 늘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1년 12월 후 월간 증가폭 기준으로 최대치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다.
상품별로 보면 요구불예금(11조원 증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9조2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6조3000억원) 등 수시로 현금을 뽑아쓸 수 있는 금융상품 잔액이 26조5000억원가량 늘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비금융기업은 31조5000억원, 가계는 9조4000억원 각각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의 주택담보대출이 불어난 데다 기업의 회사채 조달도 늘었다"며 "정책금융회사들의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국고채 3년 만기 금리를 비롯한 명목금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적용한 실질금리는 내려가면서 최근 유동성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계와 기업이 체감하는 실질금리가 내려가면서 그만큼 차입금 조달이 늘었다는 뜻이다.
은행의 실질 대출평균금리(신규취급 기준)는 지난 2월에 연 0.74%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 0.1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2017년 1월(연 0.71%) 후 가장 낮았다. 실질 대출금리는 은행의 명목 대출평균금리(연 0.74%)에서 향후 1년 동안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 인플레이션율(2%)을 뺀 수치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