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TV의 주식카톡방은 타사와 차별화되는 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추천주 선정 방법인데 전문가 1명이 주관적으로 선정하는 기존의 방법이 아닌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TV출연 전문가들이 의견을 합쳐 하나의 종목을 선정, 회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이탈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1440원 턱밑까지 상승(원화 가치는 하락)했다. 미국 등 주요국 금리 결정을 앞두고 경계감이 고조된 것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분석됐다.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오후 3시30분 기준)은 전날보다 3원90전 오른 1438원90전에 거래됐다. 이날 환율은 2원 오른 1437원으로 출발한 뒤 1430원 후반에서 움직였다.환율이 오른 것은 이날 증시에서 외국인이 대거 빠져나간 영향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16포인트(1.29%) 내린 2456.81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들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약 7125억원을 순매도했다.일본 엔화, 중국 위안화 등 아시아통화 약세도 환율에 상승압력으로 작용했다.탄핵을 둘러싼 불확실성도 원화 약세 압력을 주는 요인이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여부 결정까지 원화 약세 흐름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국 통화정책도 변수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연다. 일본은행(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도 예정돼있다. Fed는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으로 전망되지만 향후 인하 속도를 조절하는 발언이 나올 것이란 예상이 많다. BOJ는 금리 인상보다는 동결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3원87전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933원33전)보다 54전원 상승했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해 외환위기 가능성을 묻는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외채를 갚지 못하는 게 외환위기인데, 현재 외환에 대해 우리나라는 채권국이고
삼성증권을 통해 거래된 해외주식 자산규모가 30조원을 돌파했다.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전년대비 73%이상 자산규모가 늘었다. 17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이 회사의 해외주식 자산규모가 30조 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73% 증가한 수치다. 삼성증권의 해외주식 자산은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34.1%를 기록하며 빠르게 늘었다. 해외주식 거래 계좌 수도 전년 대비 47% 늘어난 53만개를 기록했다.삼성증권 관계자는 "삼성증권의 해외주식 투자정보를 담은 유튜브 콘텐츠 등 다양한 리서치 자료, 글로벌 40개 시장의 주식매매서비스를 제공한 점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증권은 유럽 주요 6개국(영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갈)의 주식을 온라인으로 직접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삼성증권을 통해 거래하는 해외주식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투자한 국가는 미국이었다. 일본, 영국 등이 각각 2위, 3위로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대형 빅테크 기업 주식이었다. 지수형 상장지수펀드(ETF)도 상위 보유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삼성증권은 해외주식투자와 관련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주식 매매가 가능한 모바일 앱 '엠팝(mPOP)'과 해외주식을 원화로 바로 거래할 수 있는 통합증거금 서비스가 대표적이다.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브로드컴, 인텔, AMD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차세대 기판인 유리기판을 도입한다는 소식에 SKC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본업인 2차전지 소재 사업이 부진하지만 내년부터 유리기판이 판도를 뒤집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SKC는 1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1.72% 하락한 10만8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소폭 하락했지만 최근 1주일 간 20.2% 급등했다. ‘제2의 엔비디아’로 불리는 미국 브로드컴이 유리기판 도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유리기판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커지며 기대를 모으는 부품이다. 기존 반도체 기판보다 발열을 줄일수 있고 소비전력도 3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SKC를 비롯해 삼성전기 LG이노텍 일본 신코 등이 개발하고 있는데, 업계에선 SKC가 기술력에서 세계에서 가장 앞서있다고 평가한다.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는 올해 상반기 미국 조지아주에 세계 최초 유리기판 양산 공장을 완공했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7월 조지아주 공장을 찾아 “앱솔릭스가 생산할 유리 기판은 반도체 제조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기대로 SKC 주가는 상반기 20만원대까지 치솟았지만 주력사업이었던 동박 사업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으로 부진하면서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사그라드는 듯했던 유리기판에 대한 기대는 최근 브로드컴의 도입 소식에 되살아났다. 브로드컴은 반도체 칩에 유리기판을 적용하기 위한 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C는 또 지난달말 미국 상무부로부터 반도체지원법(칩스법)상 국가 첨단 패키징 제조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