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원 빌렸는데 1주일 이자 20만원…불법사채 내몰린 2030
자동차 부품업체에 다니는 표모씨(30)는 지난해 4월 처음으로 불법 사채에 손을 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일감 감소가 계기였다. 잔업수당이 줄어 300만원이던 월급이 170만원으로 쪼그라들었다. 6년 전 대출 사기로 떠안은 빚 6500만원까지 삶을 옥죄었다.

세 살 아이와 부인의 생계를 책임지기 어려워 결국 불법 사채업체에서 30만원을 빌렸다. 1주일 뒤 20만원의 이자를 얹어 상환하는 조건이었다. 연 3200%에 달하는 ‘폭탄 금리’다. 그는 “단기간에 이자가 치솟아 총 12곳의 불법 사채업체에서 돈을 빌려 가까스로 돌려막고 있다”고 토로했다.

2030세대가 불법 사채의 늪으로 내몰리고 있다. 등록 대부업체에 대한 잇단 법정 최고금리 인하로 신용도가 낮고, 소득이 적은 젊은이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진 가운데 코로나19발(發) 경제 악화까지 겹친 탓이다.

16일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 사채 피해를 본 876명 중 56.8%(498명)가 20·3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협회와 사법기관에 접수된 피해자 수를 합한 수치다. 지난해 2030세대 피해자 수는 2019년 365명에서 36.4% 증가했다.

2030세대를 노린 불법 사채업자들의 영업 방식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SNS 계정과 대출 알선 사이트를 통한 불법 거래는 기본이고, 개설이 쉬운 인터넷전문은행 계좌를 활용하는 업체도 있다.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려는 수법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등록 대부업에 대한 법정 최고금리가 오는 7월 20.0%로 내려가면 대출 문턱이 높아져 불법 사채시장으로 내몰리는 2030세대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양길성/최다은 기자 vertigo@hankyung.com